굿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36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57개 세 글자:204개 네 글자:53개 다섯 글자:38개 여섯 글자 이상:15개 🐈모든 글자: 368개

  • 두레굿 : (1)‘풍물놀이’를 달리 이르는 말.
  • 장수거리굿 : (1)환자에게 붙은 역신을 쫓기 위하여 무당이 갑옷을 입고 창과 활로 무장한 다음 말을 타고 하는 굿.
  • 내당굿 : (1)안방이나 대청에서 성주신, 조상신, 삼신에게 먼저 굿을 고하는 절차. (2)안당 앞에 굿상을 차려 놓고 밖에서 떠도는 서낭신, 손님신 따위를 모셔다 놓고 하는 굿.
  • 뜰항굿 : (1)‘홍역’의 방언
  • 광대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상쇠의 개인 놀이 가락.
  • 뿔굿뿔굿 : (1)‘뿔긋뿔긋’의 방언
  • 콩노굿 : (1)콩의 꽃.
  • 방틀굿 : (1)땅속으로 곧게 파 내려가 ‘井’ 자 모양으로 만든 방틀을 쌓아 올린 광산 구덩이.
  • 오기굿 : (1)‘오구굿’의 방언
  • 집구리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보통의 굿 가락.
  • 외마치질굿 : (1)호남 지방의 풍물놀이에 쓰이는 장단의 하나.
  • 대거리굿 : (1)별신굿 절차의 맨 마지막에 굿에 따라 든 잡귀들을 풀어먹이는 굿. 1인극으로 엮은 긴 대사가 들어가며 험하게 죽은 여러 귀신의 모습을 흉내 내면서 한을 풀어준다.
  • 우환굿 : (1)집안에 우환이 있을 때에 하는 굿.
  • 당산굿 : (1)당산에서 마을을 위하여 제사를 지낼 때에, 풍물놀이를 하며 노는 굿.
  • 굿 : (1)안방이나 대청에서 성주신, 조상신, 삼신에게 먼저 굿을 고하는 절차.
  • 싯겜굿 : (1)‘씻김굿’의 방언
  • 은산 별신굿 : (1)충청남도 부여군 은산에서 수호신에게 풍요와 평안을 기원하는 별신굿. 진대베기, 꽃받기, 상당굿, 당상강신굿, 하당굿, 독산제, 장신제 따위의 차례로 구성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은산 별신제’이다.
  • 굿 : (1)농가에서 농사일, 특히 논매기의 만물을 끝낸 음력 7월쯤에 날을 받아 하루를 즐겨 노는 일. ⇒규범 표기는 ‘호미씻이’이다.
  • 낙성굿 : (1)집을 다 짓고 나서 하는 굿.
  • 새암굿 : (1)마을의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음력 정월 중 수신(水神)이 내려오는 날을 점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세 명이 한밤중에 우물가에서 드린다. ⇒규범 표기는 ‘샘굿’이다.
  • 오귀굿 : (1)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여 극락왕생을 하기를 비는 굿. 대개 죽은 지 한 해나 두 해 뒤에 한다. ⇒규범 표기는 ‘오구굿’이다.
  • 굿 : (1)‘보굿’의 옛말.
  • 탈복굿 : (1)전라도 풍물놀이 판굿에서, 농악대원 모두가 농악복을 벗으면서 하는 놀이.
  • 기신굿 : (1)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무당이 주재한다는 점이 동신제와 다르다.
  • 을자진굿 : (1)농악대원들이 을자진을 치는 놀이.
  • 우물굿 : (1)마을의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음력 정월 중 수신(水神)이 내려오는 날을 점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세 명이 한밤중에 우물가에서 드린다.
  • 제왕굿 : (1)삼신에게 아기를 낳게 해 달라고 또는 낳은 뒤에 오래 살게 해 달라고 비는 굿.
  • 지신굿 : (1)땅을 다스리는 신령을 위하는 굿.
  • 맞이굿 : (1)‘영고’의 방언
  • 굿 : (1)‘숯가마’의 방언
  • 천왕굿 : (1)동해안(東海岸) 지역에서 행하는 별신굿의 한 거리.
  • 전야굿 : (1)기념일의 전날 밤에 하는 굿.
  • 결혼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총각과 처녀로 죽은 넋을 달래 준다. 총각의 무덤을 처녀의 무덤 옆으로 옮기거나 서로 합장하여 혼인 시킨 뒤, 그날 밤 총각 집 뜰에 차일을 두 곳에 치고 각각 넋을 씻긴다.
  • 동맞이굿 : (1)경상남도 진주, 사천 지방의 풍물놀이에 나오는 가락의 이름.
  • 고사굿 : (1)강원도에서 음력 정월에 의식으로 하는 풍물.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면서 한 해의 복을 빌어 주는 행사로서 경상 지신밟기, 전라 지신밟기에 해당한다.
  • 미지기굿 : (1)전라 풍물놀이 판굿의 하나. 한 줄은 상쇠가, 한 줄은 부쇠가 앞에 서서 서로 마주 보고 상쇠 둘이 전진하면 부쇠 둘이 물러나고 부쇠 둘이 전진하면 상쇠 둘이 물러나며 하는 놀이이다.
  • 강낭굿 : (1)풋옥수수를 이삭 껍질째로 쪄 내는 일
  • 평안도 다리굿 : (1)고려 이후 평양을 중심으로 평안도 지방에 정착된 사령 천도굿. 죽은 사람의 영혼이 극락으로 가기를 염원하거나 생존한 노인이 죽은 뒤 극락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 방심굿 : (1)지노귀굿 절차의 하나.
  • 허천굿 : (1)하회 별신굿 탈놀이에서, 마지막 날 마을 앞길에 제물을 차려 놓고 하는 굿.
  • 노래굿 : (1)호남(湖南) 풍물놀이에서, 상쇠가 전원을 한 줄로 세워 놓고 진양조장단으로 소리를 하는 과정.
  • 굿 : (1)걸립패나 두레패들이 넓은 마당에서 갖가지 풍물을 갖추고 순서대로 재주를 부리며 노는 풍물놀이.
  • 남해안 별신굿 : (1)남해안의 거제, 통영 지역을 중심으로 해안 마을과 도서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별신굿.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기원하는 굿으로, 주로 음력 정월 초에 거행된다.
  • 거리굿 : (1)길에서 하는 굿. (2)하회 별신굿 탈놀이에서, 마지막 날 마을 앞길에 제물을 차려 놓고 하는 굿. (3)동해안 별신굿의 맨 마지막 거리. 잡신을 풀어 먹여 보낸다. (4)굿에 모였던 귀신들에게 밥을 주고 경문을 읽어 마지막으로 귀신들을 보내는 굿.
  • 망월굿 : (1)음력 정월 대보름날 달이 떠오를 때에 달집에 불을 지르며 노는 풍속. 달집이 훨훨 타야만 마을이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고 한다. 그해 액운이 든 사람의 저고리 동정이나 동정에 생년월일시를 쓴 종이를 붙여 함께 태우기도 한다.
  • 평안 다리굿 : (1)고려 이후 평양을 중심으로 평안도 지방에 정착된 사령 천도굿. 죽은 사람의 영혼이 극락으로 가기를 염원하거나 생존한 노인이 죽은 뒤 극락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 쪽박굿 : (1)돌림병이 돌 때, 집집마다 마루나 토방에 쪽박을 문질러 그 요란한 소리로 병마를 놀래어 쫓는 굿. 바가지 대신 베 짜는 북을 문지르기도 한다.
  • 사례굿 : (1)굿을 하고 난 후 소원이 이루어졌다 하여 귀신에게 고마운 뜻을 전하려고 하는 굿.
  • 되풀이진굿 : (1)풍물놀이에서, 도래진 대형에서 상쇠를 앞세워 도로 풀어 나오는 놀이.
  • 띠배굿 : (1)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서 전해 오는 굿. 정월 초사흗날 바닷가 당집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비는 제사를 지내고, 띠로 만든 배에 허수아비를 실어 보내 묵은해의 불행한 운수를 씻어 낸다.
  • 곽머리 씻김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출상 전날에 관 앞에서 한다.
  • 퇴송굿 : (1)뒷전풀이로 하는 굿.
  • 대상씻김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대상 날 밤에 한다.
  • 장진굿 : (1)호남 풍물놀이 가운데 문굿의 첫째 거리. 휘모리장단에 맞추어 농기(農旗), 태평소, 영기(領旗), 상쇠, 부쇠, 종쇠, 장구, 소고, 잡색(雜色) 따위가 한 줄로 들어와 상쇠의 지휘에 따라 함께 인사를 한다.
  • 물롱굿 : (1)‘무릇’의 방언
  • 예배 굿 : (1)신이나 조상 등에 대하여 경배를 나타내는 의식으로서의 굿.
  • 대보름굿 : (1)한 해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림과 동시에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는 제의와 놀이가 어우러진 큰 굿.
  • 축원굿 : (1)하는 일이 잘되게 하여 달라고 신에게 비는 굿.
  • 풍류굿 : (1)호남 지방의 풍물놀이에 쓰이는 장단의 하나.
  • 흘림당산굿 : (1)약식으로 간단히 하는 풍물놀이.
  • 부정굿 : (1)무당굿의 열두 거리 가운데 첫째 거리. 신들을 청하기 전에 부정한 것을 깨끗이 하는 것을 이른다.
  • 두린굿 : (1)제주에서, 미친 증세를 낫게 하려고 베푸는 굿.
  • 천도굿 : (1)죽은 사람의 넋을 극락으로 보내는 굿.
  • 군웅굿 : (1)별신굿에서, 무녀가 놋동이를 입에 물고 장군신을 모시는 굿.
  • 불사굿 : (1)무당의 열두 거리 굿 가운데 하나. 제석신을 받들기 위하여 하는 굿으로 불교적 색채가 강하다.
  • 마당굿 : (1)대문 밖 마당에서, 굿에 모여들었던 귀신들을 보내는 마지막의 굿.
  • 앉은굿 : (1)장구를 치지 아니하고, 춤도 추지 아니하면서 하는 굿의 하나.
  • 꽃맞이굿 : (1)꽃이 필 무렵에, 무당이 자신의 몸주에게 하는 굿. 봄에 무당이 자신의 영력(靈力)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다.
  • 조상세존굿 : (1)지노귀굿의 첫 순서. 소반에 떡과 술을 차려 놓고 조상신과 세존에게 간단히 빈다.
  • 굿 : (1)몸에 내린 신을 맞아서 무당이 되려고 신에게 비는 굿.
  • 쌍진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두 진으로 나누어 치는 가락. 또는 그 가락에 맞추어 취하는 동작.
  • 새남굿 : (1)서울 지역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극락으로 인도하기 위해 하는 굿.
  • 굿 : (1)무당이 서서 뛰놀며 하는 굿.
  • 혼건지기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물에 빠져 죽은 이의 넋을 물속에서 건져 내어 그 한을 풀어 주고 영혼을 씻겨 준다. 익사한 곳에서 넋을 건져 내어 집 안에 모셔다 놓고 한다.
  • 굿 : (1)풍물놀이를 반주로 하여 치르는 굿.
  • 마실이굿 : (1)씻김굿이나 동해안 별신굿 따위에서, 손님마마를 위하는 굿.
  • 지노귀굿 : (1)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고 극락으로 인도하는 굿.
  • 불찍굿 : (1)제주에서, 불을 내는 귀신을 물리치고 복을 빌려고 베푸는 굿.
  • 동해안 별신굿 : (1)동해안 일대에서 해마다 또는 몇 해 만에 부락제 및 풍어제로 무당이 주관하여 베푸는 굿. 모두 열아홉 거리로, 이 가운데 탈놀이는 네 마당으로 되어 있다.
  • 굿 : (1)‘송곳’의 방언
  • 물부리굿 : (1)예전에, 매우 가물었을 때 관(官)에서 행하던 굿. 짚으로 용을 만들고 모든 무녀가 나와 꽹과리를 치고 소리하며 비 오기를 빈 후에 용을 객사로 맞아들였는데, 비가 올 때까지 계속하였다.
  • 산신탈굿 : (1)신라의 호국신(護國神)인 남산신을 위하여 그 탈을 쓰고 제사 지내던 굿. 신라 헌강왕이 그렇게 한 데서 유래한다.
  • 얼림굿 : (1)풍물놀이 판굿에서 원형으로 행진하는 춤.
  • 장승굿 : (1)장승에게 마을의 안녕이나 풍농을 기원하기 위하여 비는 굿.
  • 수륙굿 : (1)물과 육지의 홀로 떠도는 귀신들과 아귀(餓鬼)에게 공양하는 재.
  • 사자굿 : (1)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잘 보내 달라고 저승사자에게 비는 굿.
  • 입춘굿 : (1)제주도에서 입춘을 맞아 행하는 굿. 관청에서 주관하던 행사로 무당들이 모여 농사짓는 과정을 흉내를 내면서 풍년을 기원한다.
  • 병신굿 : (1)병신이나 다름없는 못난 짓.
  • 영산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현악 영산회상곡의 한 가락.
  • 무당굿 : (1)무당이 주관하여 벌이는 굿.
  • 대동굿 : (1)황해도의 해주, 옹진, 연평도 지역과 평안도 지역에서 성행하였던 마을굿. 지역 수호신인 당신(堂神)에게 마을의 평안과 생업의 번창을 기원하는 굿으로, 서해안 일대에서 행해지는 풍어제와 유사하다.
  • 마부 타령 굿 : (1)농사나 사업이 잘되고 자손이 번창하기를 비는 경사굿의 하나. 무당이 제석거리와 풍년을 비는 놀이를 시작하면, 마부가 나무 소를 몰고 들어와 무당과 대화하며 굿을 진행한다. 경기도 양주에서 행하여지고 있으나 황해, 평안, 함경에서도 행해졌다고 한다.
  • 성문굿 : (1)호남 풍물놀이에서, 상쇠가 문잡는굿의 두 줄로 된 대형에서 한 사람씩 차례로 영기를 돌아 모두 데리고 나오는 놀이.
  • 연등굿 : (1)음력 설날에서 정월 대보름날 사이에 제주에서 행하는 풍속의 하나. 신들을 즐겁게 할 목적으로 장대 끝에 채색 비단으로 말 머리 모양을 만들고 밤에 등불을 달고 돌아다닌다.
  • 화해굿 : (1)동해안 별신굿 굿거리의 하나. 각 마을의 신이 만나서 화해한다는 뜻을 지닌다.
  • 영감놀이굿 : (1)제주에서 영감신을 모셔다 노는 굿. 집에 잘 모셔 대접하면 큰 부자가 되게 하여 주며, 특히 어부들에게 고기 떼를 몰아다 준다고 한다.
  • 성주굿 : (1)집의 수호신으로 성주를 새로 모시는 굿.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를 한 뒤 또는 남자 주인인 대주(大主)의 나이가 17세, 27세, 37세 따위와 같이 7 자가 되는 해의 10월에 날을 가려 한다. ⇒규범 표기는 ‘성줏굿’이다.
  • 넋풀이굿 : (1)죽은 사람의 원한을 풀어 주는 굿.
  • 장독 지신굿 : (1)동래 지신밟기 셋째 마당인 김 생원 댁 지신풀이의 여섯째 풀이. 장독간에 가서 하는 것으로, 모든 장들을 맛 좋게 하여 달라는 뜻을 지닌다.
  • 혼례굿 : (1)총각과 처녀로 죽은 혼백을 달래려고 그 영혼들의 혼례를 올려 주는 굿.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 (99개) : 굿, 굿갈리다, 굿감독, 굿거, 굿거리, 굿거리가락, 굿거리굿, 굿거리 시조, 굿거리장단, 굿거리춤, 굿 거버넌스, 굿것, 굿게, 굿 구경 간 어미 기다리듯, 굿 구경을 하려면 계면떡이 나오도록, 굿극, 굿길, 굿 나이트, 굿 나잇, 굿놀음, 굿 놀이, 굿단두리, 굿단속, 굿단속하다, 굿당, 굿덕대, 굿도 볼 겸 떡도 먹을 겸, 굿돌, 굿 뒤에 날장구[쌍장구] (친다), 굿 들은 무당 재 들은 중 ...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굿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36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