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4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68개 세 글자:29개 네 글자:27개 다섯 글자:9개 여섯 글자 이상:7개 🦚모든 글자: 141개

  • 정상 이 : (1)기업이 현재의 경제 활동을 계속하게 하는 보상으로 작용하는 최소한의 대가. 정상 이윤을 비용으로 간주하여, 초과 이윤이 0인 경우에 정상 이윤을 벌고 있다고 해석한다.
  • : (1)마진국(摩震國)에 둔 구 관계의 넷째 직위. 904년 궁예가 국호를 마진(摩震), 연호를 무태(武泰)라고 하고 광평성(廣評省) 따위의 관부를 설치할 때 두었다. (2)고려 초기에 둔 십육 관계의 열째 직위. 정오품에 해당하는 것으로, 왕건이 고려를 창건한 직후에 태봉의 관계를 본떠서 919년에 두었다. (3)고려 시대에 둔 향직(鄕職)의 육품 상(上) 품계. (4)고려 시대에, 정일품 종친과 훈신에게 주던 봉작. (5)조선 전기에, 종친의 대군(大君) 혹은 군(君)의 양첩(良妾) 장자에게 주던 품계.
  • : (1)자신의 세대에서 여러 세대가 지난 뒤의 자녀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은혜를 베풀어 혜택을 줌. 또는 그 은혜.
  • : (1)통일 신라 시대의 승려(798~868). 속성(俗姓)은 박(朴). 호는 쌍봉(雙峯)ㆍ징소(澄昭). 구산 조사의 한 사람으로 헌덕왕 17년(825)에 당나라로 가서 남천원(南泉院)의 보원 선사(普願禪師)의 법을 계승하여 신라에 전하였다. 구산문의 하나인 사자산문의 개조이다.
  • : (1)윗사람의 아들을 높여 이르는 말. (2)윤기가 있는 아름다운 얼굴. (3)‘사위’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 한치 : (1)조선 후기의 고증학자(1765~1814). 자는 대연(大淵). 호는 옥유당(玉蕤堂). 진사 시험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학문에만 전심하였으며, 실사구시와 무징불신(無徵不信)의 고증학적 학술 방법을 소개하였다. ≪해동역사≫ 70권을 편찬하였다.
  • : (1)조선 시대에, 한성부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이품이다. (2)임금을 돕고 모든 관원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일을 맡아보던 이품 이상의 벼슬. 또는 그 벼슬에 있던 벼슬아치.
  • 이재 : (1)구한말의 의병장(1849~1911). 자는 성집(聖執). 호는 미석(渼石). 동학 농민 운동 이래 혼란을 개탄하고 벼슬을 사직하고 향리에 은거하다가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을사오적의 참형을 상소하였다. 1907년 중국의 위안스카이를 방문하여 일본 침략으로부터 구원을 요청하였다.
  • 상업 이 : (1)상업 활동을 통하여 얻는 이윤. 상업 자본에 분배된 잉여 가치 부분이다.
  • 삼사좌 : (1)고려 시대에, 삼사(三司)에 속한 종삼품 벼슬. 공민왕 11년(1362)에 두었다.
  • 좌서 : (1)고려 시대에, 세자첨사부에 속한 벼슬. 충렬왕 3년(1277)에 두었다.
  • : (1)태봉ㆍ고려 초에 둔 품계의 하나. 태봉 때는 9품계 중 여덟째, 고려 태조 19년(936)에는 향직의 구품 상(上) 품계였으며 성종 이후로는 향직의 일품 상(上) 품계가 되었다.
  • : (1)중국 청나라의 학자(1724~1805). 자는 효람(曉嵐)ㆍ춘범(春帆). 호는 석운(石雲). ≪사고전서(四庫全書)≫의 편찬과 그 총목록을 대략적으로 설명한 책인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 편저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 : (1)조선 정조ㆍ순조 때의 승려(1743~1804). 호는 경암(鏡巖). 속성은 민씨(閔氏). 한퇴지(韓退之)의 배불론을 배격하고 시문(詩文)으로 선도(禪道)를 드날렸다.
  • 암성 침 : (1)‘암 침윤’의 전 용어.
  • 좌사 : (1)고려 공민왕 때에, 왕비부(王妃府)에 속한 정삼품 벼슬.
  • 삼세치 : (1)음력으로 윤달이 3년에 한 번씩 드는 일.
  • 길옥 : (1)색소폰 연주자ㆍ작사가ㆍ작곡가(1927~1995). 본명은 최치정(崔致楨). 평안북도 영변 출신이다. 동남아, 일본, 뉴질랜드 등에서 앨범을 취입했으며, 1992년 마셜 제도(Marshall Island)의 국가를 작곡하였다. 1987년 작곡한 <아침의 나라에서>가 서울 올림픽 대회의 공식 주제가로 쓰였으며, 미국의 예일 대학에서 한국의 전통 음악 리듬과 재즈 음악과의 접목에 관하여 특강을 하기도 했다. 1983년 서울 예술 전문 대학 실용 음악과 주임 교수로 재직하였고, 한국 음악 저작권 협회 12대 회장을 역임했다.
  • : (1)신하가 아뢰는 청을 임금이 허락함.
  • : (1)자신의 세대에서 여러 세대가 지난 뒤의 자녀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임금이 신하의 청을 허락하지 않는 일.
  • : (1)‘절윤하다’의 어근.
  • 회계적 이 : (1)총수입에서 명시적 비용을 뺀 금액. 기업들이 일상적으로 보고하는 이윤이다.
  • 한성부 판 : (1)조선 시대에, 한성부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이품이다.
  • 암 침 : (1)암 조직이 주위의 조직으로 뚫고 들어가 증식하는 일.
  • : (1)‘수윤하다’의 어근.
  • : (1)자식과 손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2)복을 자손에게 길이 전하는 것. (3)중국 남송(南宋)의 제5대 황제인 ‘이종’의 본명.
  • : (1)고분자 화합물이 용매를 흡수하여 부피가 늘어나는 일.
  • : (1)조선 시대에, 한성부와 평양부에서 판윤과 좌우윤을 보좌하는 일을 맡아보던 종사품 벼슬.
  • 계획리 : (1)국영 기업이나 경제 기관들이 예견한 이윤. ⇒남한 규범 표기는 ‘계획 이윤’이다.
  • 순리 : (1)‘순이윤’의 북한어.
  • 식민지리 : (1)‘식민지 이윤’의 북한어.
  • 농가 이 : (1)농가의 총소득에서 관련 생산비 및 제반 비용을 제외한 나머지 돈.
  • 세자좌서 : (1)고려 시대에, 세자첨사부에 속한 벼슬. 충렬왕 3년(1277)에 두었다.
  • 삼사소 : (1)고려 시대에, 삼사(三司)에 속한 정사품 벼슬. 공민왕 18년(1369)에 부사(副使)를 고친 것이다.
  • : (1)조선 선조 때의 무신(1552~1593). 자는 명보(明甫). 시호는 충의(忠毅). 임진왜란 때 좌의병부장(左義兵副將)으로서 성산(星山)ㆍ개령(開寧) 등지에서 공을 세웠으며, 진주성에서 대장이 되어 전투를 지휘하다가 전사하였다.
  • : (1)같은 조상의 피를 이어받아 겨레붙이가 되는 관계. (2)혈통을 이어받은 자손.
  • 한형 : (1)조선 시대의 문신ㆍ서예가(1470~1532). 자는 신경(信卿). 연산군 때 갑자사화 따위로 여러 차례 귀양을 갔으며, 중종반정 후 다시 등용되어 첨지중추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초서와 예서에 뛰어나 당대의 명필가로도 이름을 떨쳤다.
  • 순이 : (1)본전을 빼고 남은 순수한 이윤.
  • : (1)임금의 자손. (2)‘한산후’의 본명.
  • 태자중 : (1)고려 시대에 둔, 동궁(東宮)의 정오품 벼슬. 문종 22년(1068)에 정하였다.
  • 이하 : (1)시인(1906~1974). 아명은 대벽(大闢). 호는 연포(蓮圃). 서울 대학교와 덕성 여대 교수를 지냈으며, 광복 후에는 좌익 프롤레타리아 문학에 대항하여 중앙 문화 협회를 창설하였다. 작품에 시집 ≪물레방아≫, ≪실향(失鄕)의 화원≫ 따위가 있다.
  • : (1)중국 후한의 관리(?~121). 종이 제법(製法)의 대가로, 수피(樹皮)ㆍ마포(麻布)ㆍ어망(魚網) 따위로 채후지(菜侯紙)라는 종이를 만들었다.
  • 조광 : (1)중국 송나라의 제일 대 황제(927~976). 본디 후주(後周)의 절도사(節度使)로, 송나라를 건설하여 문치주의에 의한 군주 독재화를 꾀하였다. 재위 기간은 960~976년이다.
  • 폐 침 : (1)폐의 병소로부터 농(膿), 체액, 피 따위가 주위의 조직으로 퍼져 가는 상태. 엑스선 사진에서 정상적인 폐의 음영 대신 짙어진 음영을 볼 수 있다.
  • : (1)윤기가 나고 맑음. 또는 그 윤기.
  • 계의 : (1)임금이 신하가 아뢴대로 윤허하던 일.
  • : (1)흠뻑 젖음. 또는 흠뻑 적심.
  • : (1)중국 동진(東晉)의 학자(330~400). 자는 무자(武子). 이부 상서를 지냈다. 가난하여 여름밤에 반딧불이를 모아 그 빛으로 글을 읽었다고 한다.
  • : (1)‘생활과 윤리’를 줄여 이르는 말. 사회 탐구 영역 가운데 한 과목이다. ⇒규범 표기는 ‘생륜’이다.
  • : (1)중국 주대(周代) 초나라의 관직 이름. 정치를 하는 최고의 직위이다. (2)중국의 지방 장관을 달리 이르던 말. 진(秦)나라ㆍ한(漢)나라 이래 현지사(縣知事)를 현령(縣令)이라 하고, 원대(元代)에는 현윤(縣尹)이라 하였으므로 영과 윤을 합쳐 이른 것이다. (3)윗사람의 아들을 높여 이르는 말. (4)‘영윤하다’의 어근.
  • 중간 이 : (1)원가와 판매가의 차액.
  • 기업가 이 : (1)이윤을 추구하는 기업가가 앞으로의 시장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창조적ㆍ혁신적 생산 활동으로 기업을 경영하여 발생되는 수익.
  • 현상 : (1)사학자ㆍ교육가(1893~?). 호는 소성(小星). 3ㆍ1 운동 때 민족 대표 48인의 한 사람으로 활약하다가 복역하였으며, 광복 후 고려 대학교 초대 총장을 지내고 6ㆍ25 전쟁 때 납북되었다. 저서에 ≪조선 유학사(朝鮮儒學史)≫가 있다.
  • 순수 이 : (1)가격이 한계 비용과 일치하는 수준보다 가격은 올리고 생산량은 줄임으로써 얻게 되는 독점 기업의 이윤.
  • : (1)비나 이슬 따위에 젖어서 불음. (2)땀이나 물기가 배어 번짐.
  • : (1)먼 자손.
  • : (1)조선 시대에, 한성부에 속한 판윤 아래 종이품 벼슬. 좌윤(左尹)과 우윤(右尹)을 이른다.
  • : (1)고려 시대에, 종친(宗親)과 훈신(勳臣)에게 내리던 작호(爵號). 충렬왕 24년(1298)에 종친은 종이품, 훈신은 정삼품으로 정하였다. (2)조선 초기에, 왕자의 첩이 난 아들에게 내리던 작호. (3)고려 초기에, 임금의 적자(嫡子)를 이르던 말. (4)평년과 윤년을 아울러 이르는 말. (5)정위(正位)와 윤위(閏位)를 아울러 이르는 말.
  • 기업 이 : (1)기업적 축산 경영에서 경영 주체가 경영자로 활동한 대가로 얻게 되는 수익. 일반적으로 총 조수입에서 생산비를 공제한 것이다.
  • : (1)습기가 많은 느낌이 있음.
  • : (1)‘이윤’의 북한어.
  • : (1)어떤 계통을 전하여 받음.
  • 신경 주위 침 : (1)신경 또는 신경에 근접한 곳을 따라 나타나는 침윤.
  • : (1)조선 인종의 이복동생 경원 대군의 외숙인 윤원로, 윤원형 일파. 인종의 외숙인 윤임 일파와 세력 다툼을 벌였고, 이 때문에 을사사화가 일어났다. (2)신라 때에, 오소경(五小京)에 둔 외관(外官) 벼슬. (3)고려 시대에, 전중감ㆍ전중시ㆍ예빈시ㆍ대부시ㆍ소부시ㆍ위위시ㆍ군자시ㆍ사재시 따위에 둔 종사품 벼슬. 소감(少監) 또는 소경(少卿)을 고친 것으로, 윤(尹)의 다음이다. (4)고려 시대에, 지방의 민정을 보좌하는 일을 맡아보던 유수관 벼슬. 판관(判官)을 고친 것으로, 육품 이상의 관원이 임명되었다. (5)조선 초기에, 한성부ㆍ개성부ㆍ상서사 따위에 둔 정사품 벼슬.
  • : (1)임금에게 상소하여 윤허를 받던 일.
  • : (1)제왕의 혈통.
  • 정지 : (1)조선 후기의 시인(1808~1858). 별호는 수동(壽銅). 자는 경안(景顔). 호는 하원(夏園). 대표적인 위항 시인(委巷詩人)으로, 자유분방한 삶을 살았으며 많은 일화를 남겼다. 작품에 <관동상매(關東賞梅)>, <전춘시(餞春詩)>가 있고, 저서에 ≪하원시초(夏園詩鈔)≫가 있다.
  • : (1)조선 시대에, 인종의 외척 윤임 일파를 이르던 말. 을사사화로 세력을 잃었다.
  • 삼사우 : (1)고려 시대에, 삼사(三司)에 속한 종삼품 벼슬. 공민왕 11년(1362)에 두었다.
  • : (1)직계(直系)의 자손. 또는 정통(正統)의 자손. (2)먼 자손.
  • 경영 이 : (1)영리 목적의 조직체가 경영 활동을 통하여 얻는 이윤.
  • : (1)하느님 또는 천자(天子)의 계승자.
  • 극대 이 : (1)기업 활동에서 총수입에 대한 총비용의 차액을 최대화한 이윤.
  • 세자우서 : (1)고려 시대에, 세자첨사부에 속한 벼슬. 충렬왕 3년(1277)에 두었다.
  • 우사 : (1)고려 시대에, 왕비부에 속한 정삼품 벼슬. 공민왕 때 우첨사를 고친 것이다.
  • : (1)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파평(坡平), 해남(海南), 칠원(漆原), 남원(南原) 등 40여 본이 현존한다. (2)반질반질하고 매끄러운 기운. (3)-우-. 주로 수식받는 성분이 대상임을 나타내는 데에 쓴다.
  • : (1)‘심윤하다’의 어근.
  • 왕가 : (1)중국 명나라 말기의 농민 반란 지도자(?~1631). 섬서(陝西) 지방의 병사 출신으로 1627~1628년 가뭄으로 기근이 심해지자 농민을 규합하여 그 세력이 산서(山西), 하남(河南)에 이르렀고, 이후 민란이 연이어 발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 : (1)중국 은나라의 전설상의 인물. 이름난 재상으로 탕왕을 도와 하나라의 걸왕을 멸망시키고 선정을 베풀었다. (2)장사 따위를 하여 남은 돈. (3)기업의 총수입에서 임대, 지대, 이자, 감가상각비 따위를 빼고 남는 순이익.
  • : (1)조선 시대의 지방 관아인 부(府)의 우두머리. 종이품 문관의 외관직으로 영흥부와 평양부, 의주부, 전주부, 경주부의 다섯 곳에 두었다. (2)일제 강점기의 행정 단위인 부(府)의 우두머리. 지금의 시장(市長)에 해당한다. (3)‘부윤하다’의 어근.
  • 독점 이 : (1)독점 기업이나 독점적 기업 그룹이 시장을 지배하여 얻는 초과 이윤.
  • 지방 침 : (1)기관이나 조직에 지방이 스며드는 일.
  • : (1)고려 시대에 둔 향직(鄕職)의 팔품 품계.
  • 이범 : (1)독립운동가(1856~1940). 이범진의 아우로 1902년 간도 시찰원으로 파견되었다가 1903년 간도 관리사가 되어 간도에 있는 조선인을 보호하고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국권 강탈 후 의병을 모아 함경도 방면 일본 수비대와 싸웠으며, 3ㆍ1 운동 후 남만주에서 의군부를 조직하여, 청산리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1962년 건국 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독점적고률리 : (1)독점 자본가들이 상품을 독점 가격으로 공급함으로써 얻는 높은 이익. ⇒남한 규범 표기는 ‘독점적 고율 이윤’이다.
  • 반습 : (1)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수분량은 보유하고 있으나 연중 강수가 불규칙하여 안정적인 수확을 위해서는 관개시설의 마련이 필수적인 상태.
  • 경제학적 이 : (1)총수입에서,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모두 포함한 기회비용을 뺀 금액. 보통 회계상의 이윤보다 적다.
  • : (1)황제의 혈통.
  • 초과 이 : (1)평균 이윤을 초과하는 이윤. 평균적 생산 조건을 웃도는 조건이나 독점 가격에 의하여 얻어진다.
  • : (1)수분이 스며들어 젖음. (2)사상이나 분위기 따위가 사람들에게 번져 나감. (3)염증이나 악성 종양 따위가 번지어 인접한 조직이나 세포에 침입하는 일. (4)식물의 종자가 발아하기 전에 녹말이나 섬유소 따위의 물질에 의하여 수분을 흡수하는 현상.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은 피동적 흡수이다.
  • : (1)예전에, 벼슬아치들이 모여 나랏일을 처리하던 곳. (2)관리 또는 벼슬아치를 이르는 말. (3)중국 춘추 시대 말기의 사상가(?~?). 노자의 제자로서 노자를 따라 관서(關西)로 간 후 소식을 알 수 없다고 한다. 도가학파로 노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켜 청정 무위(淸淨無爲)를 주장했다.
  • 판부 : (1)고려 후기에, 도성 안의 사무를 맡아보던 개성부의 으뜸 벼슬. 품계는 종이품이다.
  • 요침 : (1)요도 벽이 헐어 오줌이 둘레의 조직으로 스며드는 병. 조직 괴사, 곪음, 확산성 염증을 일으키며 오한, 고열이 나고 요독증, 패혈증이 된다.
  • : (1)의주(義州) 부윤(府尹)을 달리 이르던 말.
  • 묵색창 : (1)그림이나 글씨의 먹빛이 썩 좋아 예술적인 아름다움이 있음.
  • : (1)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의 문신(1347~1416). 자는 대림(大臨). 호는 호정(浩亭). 제일 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도와 공을 세우고 정당문학에 올랐으며, ≪동국사략≫을 편수하고 ≪태조실록≫ 편찬을 지휘하였다. 저서에 ≪호정집≫이 있다. (2)강물이 땅을 윤택하게 한다는 뜻으로, 은덕이 널리 미침을 이르는 말.
  • : (1)대를 이를 자손.
  • : (1)베풀어 준 은혜나 도움.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윤으로 시작하는 단어 (558개) : 윤, 윤가, 윤가되다, 윤가하다, 윤각, 윤간, 윤간하다, 윤갈마, 윤감, 윤강, 윤강하다, 윤거, 윤거형, 윤건, 윤경, 윤경남, 윤경 화전, 윤경회, 윤고산 수적 및 관계 문서, 윤곤강, 윤공, 윤공하다, 윤곽, 윤곽 가공, 윤곽 게이지, 윤곽 결정소, 윤곽 광선, 윤곽괘, 윤곽 단체, 윤곽 대비 ...
윤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558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윤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4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