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25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00개 세 글자:88개 네 글자:62개 다섯 글자:4개 여섯 글자 이상:3개 🐬모든 글자: 258개

  • 실내 유 : (1)방 안에서 하는 유희. 장기, 바둑, 당구, 화투, 탁구 따위가 있다.
  • 오금 : (1)도가에서 다섯 짐승의 자세를 흉내 내어 신체의 여러 관절을 부드럽게 하여 혈액 순환이 잘되게 하는 양생법. 범ㆍ사슴ㆍ곰ㆍ원숭이ㆍ새 등의 자세를 본떴다.
  • 최정 : (1)소설가(1912~1990). 호는 담인(淡人). 초기에는 주로 개인의 문제를 고백적인 수법으로 그리다가 차츰 객관적 리얼리즘과 민족적 역사의식에 바탕을 둔 작품을 발표하였다. 작품에 <지맥(地脈)>, <인맥(人脈)>, <천맥(天脈)>, <인간사(人間史)> 따위가 있다.
  • 장선 : (1)독립운동가(?~?). 3ㆍ1 운동이 일어나자 대한 애국 부인회를 조직하여 투옥된 애국지사들의 가족을 돕고 상하이 임시 정부와 연락하면서 독립운동을 벌였다.
  • : (1)‘종이’의 방언 (2)아침 햇빛. (3)다른 사람을 희롱하거나 빈정대며 놀림. (4)희롱하여 놀림. (5)고려 시대에 이루어진 풍자적인 즉흥극. 조선 시대의 소학지희로 이어졌다고 본다.
  • : (1)중국 북송(北宋)의 화가(?~?). 자는 순부(淳夫). 계절에 따른 경관(景觀)의 변화, 빛과 구름의 상태 따위의 묘사에 뛰어났다. 작품에 <계산추제도권(溪山秋霽圖卷)>, 저서에 화론(畫論) ≪임천고치≫ 따위가 있다.
  • 반선 : (1)민속놀이의 하나. 또는 그 놀이 기구. 큰 나무의 가지나, 두 기둥 사이로 가로지른 막대에 두 가닥의 줄을 매어 늘이고, 줄의 맨 아래에 밑싣개를 걸쳐 놓고 올라서서 몸을 움직여 앞뒤로 왔다 갔다 하면서 논다.
  • 배우지 : (1)시사적인 사건을 우스갯소리와 우스갯짓으로 표현하여 연출한 풍자적인 연극.
  • : (1)왕의 딸.
  • 수용 유 : (1)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유희. 그림책을 보거나 음악을 듣거나 영화 구경 따위를 즐기는 것으로, 한 살부터 여섯 살 사이에 가장 왕성하다.
  • 이금 : (1)대중 가수(1950~2007). 본명은 대금(大錦). 주로 1960년대에 활동하였으며 최초의 댄스 가수로 기록되어 있다. 대표곡으로는 <키다리 미스터 김>이 있다.
  • 손소 : (1)소설가(1917~1986). 인물의 심리를 묘사하는 데에 뛰어났다. 작품에 <이라기(梨羅記)>, <창포 필 무렵>, <그날의 햇빛은> 따위가 있다.
  • : (1)매우 기뻐함. 또는 큰 기쁨.
  • : (1)곡식이 풍성함.
  • 손병 : (1)항일 독립운동가(1861~1922). 자는 응구(應九)ㆍ규동(奎東). 호는 의암(義菴). 1882년 천도교에 입교하여 1887년에 제3대 대도주(大道主)가 되었다. 3ㆍ1 운동 때는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이었다.
  • 문념무 : (1)문관들은 안일하게 지내고 무관들은 희롱한다는 뜻으로, 안일에 빠져 제 직분을 다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 (1)중국 전국 시대 진나라 사람(?~?). 자는 공도(公度). 벼슬은 함곡관윤. 노자(老子)의 서유(西遊) 때에 도덕경 삼천언(道德經三千言)을 전수받았다. 저서에 ≪관윤자(關尹子)≫가 있다.
  • 서화 : (1)정월 대보름의 전날에 논둑이나 밭둑에 불을 붙이고 돌아다니며 노는 놀이. 특히, 밤에 아이들이 기다란 막대기나 줄에 불을 달고 빙빙 돌리며 노는 것을 이른다.
  • 가면인 잡 : (1)여러 사람이 다양한 가면을 쓰고 나와 춤과 노래를 하던 전통 연희.
  • 대상 유 : (1)사물을 대상으로 변환시키는 말의 의미 작용에 따라 무한히 달라지는 말과 사물 사이의 유희적 관계가 텍스트를 읽는 사람에게 주는 기쁨.
  • : (1)설법을 듣고 진리를 깨달아 마음속에 일어나는 기쁨.
  • : (1)등불을 많이 켜거나, 쥐불을 놓거나, 불꽃놀이 따위를 하며 노는 일.
  • : (1)성적(性的) 쾌락을 목적으로 하는 놀이.
  • 산악잡 : (1)서역악(西域樂)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민간 잡희(雜戱)의 총칭. 아악(雅樂)이나 정악(正樂)처럼 정식 무악(舞樂)이 아닌 모든 잡예(雜藝)를 가리킨다. 이러한 부류의 잡희는 중국 한나라 때 비롯되어 당나라에 계승되고, 한반도와 일본에까지 전파되었다.
  • 신정 : (1)조선 고종 때의 장군(1833~1895). 자는 중원(中元). 호는 향농(香農). 어영대장, 독판내무부사를 거쳐 통위사를 지냈다. 편서(編書)에 ≪훈련도감중기(訓練都監重記)≫가 있다.
  • 가자 : (1)1910년 이후 재래 민요를 기초로 하여 가요, 만담, 경극의 형식을 혼합하여 만든 새로운 형식의 타이완 대중 연극.
  • : (1)예전에, ‘장기’를 이르던 말.
  • 선열법 : (1)선정(禪定)에 들어간 즐거움과 부처의 교법을 듣는 즐거움.
  • 상가 : (1)중국 명나라 말기ㆍ청나라 초기의 무장(武將)(1604~1676). 명나라 때에는 광록도(廣鹿島) 부장(副將)이 되었다가 후에 청나라에 귀순하여 총병관(總兵官)을 수여받고, 이자성의 난을 정벌하여 평남왕(平南王)에 봉하여졌다.
  • : (1)바라는 일. (2)웃으며 장난하는 일. (3)중국 남송(南宋) 광종(光宗) 때의 연호(1190~1194).
  • : (1)새해의 복이나 기쁨.
  • : (1)예전에, 병사들이 나뭇가지를 무기 삼아 서로 겨루던 놀이.
  • 행진유 : (1)줄을 지어 발을 맞추며 앞으로 나아가면서 하는 유희.
  • 소춘대유 : (1)우리나라 최초의 극장식 가무악(歌舞樂) 공연. 1902년 12월 협률사에서 만든 무대로, 궁중 무용, 민속 무용, 판소리, 민요 따위의 종합적 공연이 이루어졌다.
  • 백설 : (1)대중 가수(1927~2010). 본명은 김희숙(金姬淑). 서울 출신으로, 1943년 조선 악극단 소속으로 데뷔하여 활동했다. 1996년 한국 방송(KBS) 가요 대상 공로상을 수상하였으며, 2010년 대한민국 연예 예술상 특별 공로상을 수상했다. 1990년대에는 한국 전쟁 당시 전선을 돌며 위문 공연을 한 공로로 국가 유공자에 선정되었다.
  • : (1)정재(呈才)보다 극적 요소가 많이 들어 있는 노래와 춤. (2)발상(發祥)의 여섯째 장(章). 한문 가사 4언 1구로 되어 있다.
  • 마두 : (1)여러 사람이 편을 갈라서, 굵은 밧줄을 마주 잡고 당겨서 승부를 겨루는 놀이.
  • 최은 : (1)언론인(1904~1984). ≪조선일보≫의 기자ㆍ학예부장을 지내고 여권 실천 운동자 클럽 회장, 대한 부인회 부회장, 3ㆍ1 운동 여성 참가자 봉사회장을 역임하였다.
  • : (1)중국 송나라의 유학자(1130~1200). 자는 원회(元晦)ㆍ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ㆍ회옹(晦翁)ㆍ운곡산인(雲谷山人)ㆍ둔옹(遯翁). 도학(道學)과 이학(理學)을 합친 이른바 송학(宋學)을 집대성하였다. ‘주자’라고 높여 이르며, 학문을 주자학이라고 한다. 주요 저서에 ≪시전≫, ≪사서집주(四書集註)≫, ≪근사록≫, ≪자치통감강목≫ 따위가 있다.
  • 막우막 : (1)걱정하지도 아니하고 기뻐하지도 아니한다는 뜻으로, 마음을 한군데만 집중하고 다른 일에는 전혀 관심을 두지 아니하는 것을 이르는 말.
  • 조명 : (1)소설가(1894~1942). 주로 현실과 인간성의 문제를 다룬 <김영일의 사>(1920), <파사(婆娑)>(1923)와 같은 작품을 썼다. 이후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KAPF)에 가담해 대표적인 작품인 <낙동강>을 발표했다.
  • 인신 공 : (1)사람의 몸을 희생 공물로 바치는 제사 의식.
  • : (1)단청에서, 머리초 끝에 띠 모양으로 그린 오색 무늬. (2)‘마구’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1)손뼉을 치며 기뻐함.
  • : (1)아름다운 여자. (2)‘여우’의 방언
  • 괴뢰 : (1)우리나라의 민속 인형극. 홍동지, 박첨지 따위의 여러 가지 인형을 무대 위에 번갈아 내세우며 무대 뒤에서 조종하고 그 인형의 동작에 맞추어 조종자가 말을 한다.
  • : (1)더할 나위 없이 넘치는 기쁨.
  • 처용 : (1)궁중의 연희 때와 세모(歲暮)에 역귀를 쫓는 의식 뒤에 추던 향악의 춤. 파랑ㆍ노랑ㆍ빨강ㆍ하양ㆍ검정의 옷을 입은 다섯 무동이 각기 처용의 탈을 쓰고 다섯 방위로 벌여 서서 여러 장면으로 바꾸어 가며 춤을 추는데, 그 사이에 처용가와 봉황음을 부른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처용무’이다.
  • 공하신 : (1)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을 비는 인사말.
  • : (1)성교(性交) 후에 하는 애무.
  • 이선 : (1)소설가(1911~?). 1937년에 단편 <계산서>로 문단에 데뷔하였고 이후 신문사ㆍ잡지사 기자를 지내면서 작품을 발표하였다. 작품에 <탕자(蕩子)>, <매소부(賣笑婦)>, <여인 명령(女人命令)> 따위가 있다.
  • : (1)남달리 사랑을 받는 여자. (2)군주의 첩.
  • : (1)감탄하거나 찬미할 때 내는 소리. ⇒규범 표기는 ‘오희’이다. (2)말을 재미 삼아 하는 일.
  • : (1)전통적인 판소리나 그 형식을 빌려 만든 가극(歌劇). 여러 사람들이 배역을 맡아 창(唱)을 중심으로 극을 전개하는 것으로, 20세기 초 협률사에서 판소리를 무대화하고 판소리에 등장하는 각 인물에 전담 배역을 붙여 노래와 연기를 하게 한 것을 계기로 발달하였다.
  • 안환 : (1)발해의 사신(?~?). 841년 일본에 녹사(錄事)로 대사 하복연과 동행하여 갔고, 일본으로부터 종오위하(從五位下)를 받았다.
  • : (1)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 원제(元帝) 때의 연호(264~265). 원제의 두 번째 연호이자 위나라의 마지막 연호이다.
  • 음의 유 : (1)독일의 작곡가 힌데미트가 1942년에 작곡한 곡. ‘대위법의 조성적 구조 및 피아노 주법에 관한 연구’라는 부제가 붙은 바흐의 평균율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곡이다.
  • 조형유 : (1)‘매스 게임’의 북한어.
  • 률동유 : (1)음악 율동에 맞추어 하는 유희. ⇒남한 규범 표기는 ‘율동유희’이다.
  • 강릉 관노 가면 : (1)강원도 강릉에서 전하여 오는 탈놀이. 강릉 단오제 때 관노들이 공연하던 것으로, 대사 없이 춤과 동작만으로 이루어진 국내 유일의 무언(無言) 가면극이다.
  • 간나 : (1)‘여자아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계집아이’이다. (2)남자들에게 몸을 파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갈보’이다.
  • 척사 : (1)편을 갈라 윷으로 승부를 겨루는 놀이. 둘 또는 두 편 이상의 사람이 교대로 윷을 던져서 도ㆍ개ㆍ걸ㆍ윷ㆍ모의 끗수를 가리며, 그에 따라 윷판 위에 네 개의 말을 움직여 모든 말이 먼저 최종점을 통과하는 편이 이긴다.
  • 홍명 : (1)소설가(1888~?). 호는 벽초(碧初)ㆍ가인(可人). 신간회에 참여하였으며, 광복 후 조선 문학가 동맹 중앙 집행 위원장을 지내고 월북하였다. 저서에 ≪학창산화(學窓散話)≫, 소설 ≪임꺽정≫ 따위가 있다.
  • 약마 : (1)제주도에서, 영등굿이 끝나고 영등할머니를 떠나보낼 때에 벌이던 놀이. 뗏목 위에 짚으로 작은 배를 만들어 제물을 실은 뒤 일제히 띄워 보내는데, 일 등을 차지한 뗏목은 물고기를 많이 잡게 된다고 한다. (2)음력 설날에서 정월 대보름날 사이에 제주에서 행하는 풍속의 하나. 신들을 즐겁게 할 목적으로 장대 끝에 채색 비단으로 말 머리 모양을 만들고 밤에 등불을 달고 돌아다닌다.
  • : (1)‘진희하다’의 어근. (2)양식을 주어 진휼함.
  • 구성 유 : (1)물건을 짜 맞추거나 그림을 그리면서 즐기는 유희. 그림 그리기나 공작 같은 창조적 활동이 가미된 것으로 두 살 때부터 초등학교 때까지 많이 한다.
  • : (1)‘너희’의 방언
  • : (1)주사위를 던지며 하는 놀이.
  • 하중 : (1)대중가요 작사가(1935~2004). 전라북도 전주 출신이다. 국제 신문 가요 대상 작사 부문, 동양 방송 가요 대상 작사 부문, 1968년 대한민국 무궁화 대상 작사 부문을 수상하였고, 케이비에스(KBS) 가요 심의 위원, 공연 윤리 심의 위원회 심의 위원, 한국 음악 저작권 협회 이사, 가요 작가 협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 : (1)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연 유제(幽帝) 때의 연호(360~370). 전연의 마지막 연호이다.
  • : (1)노래와 춤과 연극이 혼합되어 있는 중국의 전통극. (2)경사스럽게 여겨 기뻐함. (3)불법을 듣고 기뻐하는 일. (4)염불하는 이가 정토에 왕생하여 정정취(正定聚)에 들어감을 미리 기뻐하는 일. (5)뜻밖의 좋은 일에 몹시 놀라며 기뻐함.
  • 목우 : (1)경상남도 영산에 전승되는 민속놀이의 하나. 나무로 소의 모양을 만들어 편을 갈라 서로 겨루어 상대편을 먼저 땅에 주저앉히는 편이 이긴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영산 쇠머리대기’이다. (2)나무 인형으로 노는 인형극.
  • : (1)춤을 잘 추거나 춤추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여자. (2)한국의 극작가인 오영진의 희곡. 대표적인 근대 무용가인 최승희를 모델로 한 작품으로, 공산주의자들의 권력 투쟁과 숙청의 틈바구니에서 파멸해 가는 한 무용가의 비극적 운명을 다루고 있다.
  • : (1)특별한 귀염과 사랑을 받는 여자.
  • 무검 : (1)정재(呈才) 때 추던 춤의 하나. 향악(鄕樂)으로, 기생 네 사람이 각각 전립(戰笠)을 쓰고 전복(戰服)을 입고 검기(劍器)를 두 손에 하나씩 들고 양편에 나누어 마주 서서 추는 춤으로, 여기에 맞는 창사(唱詞)도 딸려 있다.
  • 모방 유 : (1)주위의 생활을 모방하여 즐기는 유희. 소꿉장난, 학교놀이 따위로 두 살부터 시작하여 다섯 살가량의 아이들이 가장 많이 한다.
  • : (1)중국 남송 영종(寧宗) 때의 연호(1205~1208).
  • 화고 : (1)중국 호남, 호북, 안휘성 지역에서 북만으로 반주하며 펼치는 연극. 중화 인민 공화국의 성립 이전에는 외설적인 연극으로 분류되어 비방을 받았으나, 1951년 하동보의 공연 이후 예술적인 공연으로 승화되면서 유명해졌다.
  • : (1)‘여희’의 북한어.
  • 교방 가무 : (1)고려ㆍ조선 시대에, 교방악(敎坊樂)을 사용한 가무희를 통틀어 이르던 말.
  • 만심환 : (1)만족하여 아주 기뻐함.
  • 차경차 : (1)한편으로 놀라면서 한편으로 기뻐함.
  • 배우 : (1)시사적인 사건을 우스갯소리와 우스갯짓으로 표현하여 연출한 풍자적인 연극.
  • : (1)바보같이 웃는 소리. 또는 그 모양. (2)즐겁게 웃는 소리. 또는 그 모양. (3)기뻐서 웃는 모양. (4)즐겁고 장난스러움.
  • : (1)신에게 희생 공물로 바치던 동식물이나 사람.
  • : (1)남몰래 속으로 기뻐함.
  • 도화사 : (1)동양화에서, 복숭아꽃과 네 마리의 까치를 그려 상서로움을 나타낸 화제(畫題).
  • 봉격지 : (1)부모가 살아 있는 동안에 그 고을의 수령으로 임명되는 기쁨.
  • : (1)중국 요나라 흥종 때의 연호(1032~1055).
  • 나례 : (1)민가와 궁중에서, 음력 섣달 그믐날에 묵은해의 마귀와 사신을 쫓아내려고 베풀던 의식. 본디 중국에서 시작한 것으로, 새해의 악귀를 쫓을 목적으로 행하다가 차츰 중국 칙사의 영접, 왕의 행행(行幸), 인산(因山) 때 따위에도 행하였다.
  • : (1)프랑스의 소설가 뒤마가 지어 1848년에 발표한 장편 연애 소설. 늘 동백꽃을 달고 있는 병든 창부(娼婦) 마르그리트(Margueritte)와 청년 아르망(Armand)의 비극적 사랑을 그렸다. (2)이탈리아의 베르디가 1853년에 작곡한 3막 4장의 오페라. 프랑스의 작가 뒤마(Dumas, A.)의 소설 ‘춘희’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1853년에 베네치아에서 초연되었다.
  • 산대잡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 (1)장기, 바둑 따위와 같이 판을 차리고 마주 앉아서 하는 놀이. (2)공을 발로 차는 놀이.
  • 김돈 : (1)서예가(1871~1937). 자는 공숙(公叔). 호는 성당(惺堂). 안진경, 황정견의 글씨를 배워 예서(隷書)에서 일가를 이루었다. 상서회(尙書會)를 조직하여 서법 연구 및 후진 양성에 힘썼다.
  • : (1)‘뿌리’의 방언
  • 복록수 : (1)행복, 높은 지위, 건강과 장수, 경사를 아울러 이르는 말.
  • 패왕별 : (1)중국의 대표적 경극 가운데 하나. 초의 패왕인 항우와 그의 애첩인 우희의 사랑과 이별을 그리고 있다. 작자 미상의 작품으로 1918년 초연되었다.
  • 관념 유 : (1)현실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이론에 빠져서 즐기는 일.
  • : (1)고구려 때에, 하류층에서 하던 놀이의 하나. 두 사람이 씨름하듯이 맞붙어 힘을 겨루거나 또는 여러 가지 기예와 활쏘기, 말타기 따위를 겨루었다. (2)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재주를 부리어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우리 고유의 운동. (3)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무예 가운데 하나. 유연한 동작을 취하며 움직이다가 순간적으로 손질ㆍ발질을 하여 그 탄력으로 상대편을 제압하고 자기 몸을 방어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택견’이다.
  • 노유 : (1)조선 시대 광대 소학지희 가운데 하나로, 선비들의 생활을 풍자하는 내용의 놀이.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

실전 끝말 잇기

희로 시작하는 단어 (686개) : 희, 희가극, 희가극 전화, 희가스, 희가스류 원소, 희각분, 희갈색, 희강왕, 희강왕릉, 희견궁, 희견성, 희견성천, 희견천, 희경, 희고 곰팡이 슬다, 희곡, 희곡계, 희곡론, 희곡 무가, 희곡 민요, 희곡사, 희곡의 플롯, 희곡 작가, 희곡적, 희곡집, 희곡화, 희곡화되다, 희곡화하다, 희곰하다, 희공랑 ...
희로 시작하는 단어는 68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희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25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