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0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36개 세 글자:41개 네 글자:9개 다섯 글자:3개 여섯 글자 이상:11개 🌷모든 글자: 101개

  • : (1)‘성냥’의 방언 (2)물건을 담는 작은 상자. ⇒규범 표기는 ‘갑’이다. (3)마른 물건을 넣어 두는, 뚜껑 있는 작은 그릇. (4)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현풍(玄風), 청주(淸州), 선산(善山) 등 20여 본이 현존한다. (5)널을 넣기 위해 따로 짜 맞춘 매장 시설. 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진 것을 말한다.
  • : (1)중국 후한(後漢) 말의 정치가(170~207). 자는 봉효(奉孝). 순욱(荀彧)의 추천으로 조조(曹操)의 참모가 되었으며, 뛰어난 계책을 내어 조조의 군대가 여포(呂布)를 생포하거나, 유비(劉備)의 군대를 격파하는 데 일조하였다. 풍토병으로 38세의 나이에 요절하였다.
  • 각선생 : (1)점을 치는 맹인(盲人)들이 모시는 수호신의 하나.
  • : (1)중국 후한(後漢) 때의 사람(?~?). 집이 가난하여 노모(老母)가 굶주리는 것을 보고, 이를 면하게 하기 위하여 자식을 묻고자 땅을 파다가 황금 솥을 얻었다고 한다.
  • 거리 : (1)‘씻김굿’의 방언
  • 거병 : (1)중국 전한(前漢)의 명장(名將)(B.C.140?~B.C.117). 무제 때에 숙부인 위청(衛靑)과 함께 흉노 토벌에 큰 공을 세웠다.
  • : (1)두견과의 새. 두견과 비슷한데 훨씬 커서 몸의 길이는 33cm, 편 날개의 길이는 20~22cm이며, 등 쪽과 멱은 잿빛을 띤 청색, 배 쪽은 흰 바탕에 어두운 적색의 촘촘한 가로줄 무늬가 있다. 때까치, 지빠귀 따위의 둥지에 알을 낳아 까게 한다. 초여름에 남쪽에서 날아오는 여름새로 ‘뻐꾹뻐꾹’ 하고 구슬프게 운다. 산이나 숲속에 사는데 유럽과 아시아 전 지역에 걸쳐 아열대에서 북극까지 번식하고 겨울에는 아프리카 남부와 동남아시아로 남하하여 겨울을 보낸다.
  • 공충 : (1)개미붙잇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9mm 정도이고, 몸은 붉은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점각(點刻)이 촘촘히 있다. 나무굼벵이 따위를 잡아먹는 이로운 곤충이며 애벌레는 다른 곤충의 알을 먹는다.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중국 전한(前漢)의 장군(?~B.C.68). 무제를 섬기다가 무제가 죽자 실권을 장악하였다. 어린 소제를 보좌하여 대사마 대장군(大司馬大將軍)이 되었으며, 소제가 죽은 뒤 선제를 즉위시켜 20여 년 동안 권력을 누렸다.
  • : (1)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급성 위장병. 찬물을 마시거나 몹시 화가 난 경우, 뱃멀미나 차멀미로 위가 손상되어 일어난다.
  • 나니 : (1)‘곽란’의 방언
  • 낙원 : (1)독립운동가(1859~1939). 김구의 어머니로, 1922년에 임시 정부가 있는 상하이로 아들을 따라가 뒷바라지하였다.
  • : (1)어떤 구역의 안.
  • : (1)꼭두각시놀음에 나오는 여러 가지 인형.
  • : (1)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급성 위장병. 찬물을 마시거나 몹시 화가 난 경우, 뱃멀미나 차멀미로 위가 손상되어 일어난다.
  • 란에 약 지으러 보내면 좋겠다 : (1)급히 서둘러야 할 경우에도 미련하여 행동이 민첩하지 못함을 비꼬는 말.
  • 란에 죽은 말 상판대기 같다 : (1)얼굴빛이 푸르뎅뎅하고도 검붉다는 말.
  • : (1)함경남도 단천읍 북쪽 42km 지점에 있는 고개. 종유굴(鍾乳窟)이 있으며, 구슬 같은 돌들이 암벽에 만물상을 이루고 있다.
  • 말약 : (1)중국의 문학가ㆍ정치가(1892~1978). 신문학 운동에 종사하였고 중일 전쟁 후에 과학원 원장, 부수상을 지냈다. 저서에 ≪중국 고대 사회 연구≫, ≪갑골 문자 연구≫, 시집 ≪여신(女神)≫ 따위가 있다. ⇒규범 표기는 ‘궈모뤄’이다.
  • 망우당 유물 : (1)망우당 곽재우 장군의 일괄(一括) 유물.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곽재우 장군 기념 사업회에서 소장하고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곽재우 유물 일괄’이다.
  • 머리굿 : (1)‘씻김굿’의 방언
  • 머리 씻김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출상 전날에 관 앞에서 한다.
  • 무천 : (1)중국 송나라 때의 학자(?~?). 유일하게 전해지는 저서인 ≪악부시집(樂府詩集)≫은 악부 가사를 정리한 총집으로 정리가 잘 되어 있어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 문유산 : (1)동양화에서, 속세를 떠나 산수를 사랑하고 오랫동안 산중에서 고독하게 생활한 중국 진(晉)나라의 곽문(郭文)을 다룬 화제(畫題).
  • 미거 : (1)중국의 현대 화가(1908~1971). 상해미전 서양화과를 나와 중앙미대에서 화조화 교육을 담당하였다.
  • : (1)중국 서진(西晉) 말에서 동진(東晉) 초의 학자ㆍ시인(276~324). 자는 경순(景純). 박학하고 시문과 점술에 뛰어나 원제에게 상서랑(尙書郞)으로 임명되었다. 322년에 중신인 왕돈(王敦)이 반란을 일으켜 관군이 패하자 살해되었다. ≪목천자전≫, ≪초사≫, ≪산해경≫ 따위의 주석이 유명하다.
  • : (1)‘도시락’의 북한어.
  • 분양전 : (1)조선 후기의 국문 소설. 중국 당나라를 배경으로 하여 실존 인물인 분양왕(汾陽王) 곽자의의 행적을 그렸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분양팔자 : (1)모든 부귀와 공명을 한 몸에 지니는 좋은 팔자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의 분양왕(汾陽王) 곽자의의 팔자가 아주 좋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분양행락도 : (1)조선 영조 때 김득신이 그린 풍속화. 중국 원나라 풍속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비단 위에 치밀한 필치와 농후한 채색으로 중국 당나라 때의 곽자의가 처첩(妻妾), 자녀, 하녀 등을 거느리고 무녀(舞女)의 춤을 즐기는 잔치 광경을 그렸다.
  • 사봉 : (1)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에 있는 산. 부전령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854미터.
  • 산군 : (1)광복 이후 북한이 신설한 군의 하나. 평안북도에 속해 있으며 1952년 12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정주군의 곽산면ㆍ임포면ㆍ안흥면ㆍ관주면과 옥천면의 일부, 남서면의 일부를 합하여 신설하였다.
  • 산뻬 : (1)‘무릎뼈’의 방언
  • 산의 참살 : (1)3ㆍ1 운동 때에, 평안북도 곽산에서 일본군이 독립 만세 시위 군중을 참혹하게 죽인 사건. 곽산의 3ㆍ1 운동은 교회(敎會)를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1919년 3월 6일에 수천 명의 군민이 합세하여 절정에 달하였다.
  • 산 학살 사건 : (1)3ㆍ1 운동 때에, 평안북도 곽산에서 일본군이 독립 만세 시위 군중을 참혹하게 죽인 사건. 곽산의 3ㆍ1 운동은 교회(敎會)를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1919년 3월 6일에 수천 명의 군민이 합세하여 절정에 달하였다.
  • : (1)삽날의 끝이 모가 지고 운두가 약간 높으며 삽날이 넓적한 삽. 주로 석탄을 풀 때에 쓴다.
  • : (1)중국 서진(西晉)의 사상가(?~312). 자는 자현(子玄). 사도연(司徒掾)과 사공연(司空掾), 태학 박사(太學博士), 황문시랑(黃門侍郞) 등을 역임했다. 위진 남북조 시대 현학(玄學)의 대표적 인물로서 노장의 신비주의 사상을 신봉하였다. 저서로 ≪장자주(莊子注)≫가 있다.
  • 상훈 : (1)정치가(1896~1980). 호는 삼연(三然). 3ㆍ1 운동에 참여하였으며, 8ㆍ15 광복 후 초대~5대 국회 의원, 제5대 민의원 의장, 통일 주체 국민 회의 운영 위원장 따위를 지냈다.
  • : (1)‘뻐꾸기’의 방언
  • : (1)고려 말기의 무신(?~?). 우왕 2년(1376)에 체복사(體覆使)로 있을 때 연호군(煙戶軍)과 별군(別軍)의 폐지를 주장하였으며, 여러 차례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였다.
  • : (1)조선 시대에, 미역을 따는 사람에게서 받던 세금.
  • 소옥전 : (1)중국 당나라 때에 장방(蔣防)이 지은 전기 소설. 혼약을 어기고 세력가의 딸과 결혼한 이익과 곽소옥 사이의 불행한 사랑 이야기를 내용으로 한다.
  • : (1)방문 같은 데에 달린, 잠금장치를 한 틀에 끼워 맞춘 판.
  • 수경 : (1)중국 원나라의 과학자(1231~1316). 자는 약사(若思). 세조를 섬기고, 수리ㆍ토목 사업에 큰 공적을 남겼다. 중국 역법 사상 획기적이고 새로운 수시력(授時曆)을 만들었다. 저서에 ≪추보(推步)≫, ≪입성(立成)≫ 따위가 있다.
  • 숭도 : (1)중국 청나라 말의 외교관(1818~1891). 자는 백침(伯琛). 호는 균선(筠仙)ㆍ옥지노인(玉池老人). 영국 대사와 프랑스 대사를 지냈다. 외국에 있으면서 서양의 과학 기술을 배우자고 주장하였으며 이를 청나라에 도입할 것을 건의하였다. 저서로 ≪예기질의(禮記質疑)≫, ≪대학질의(大學質疑)≫, ≪양지서옥전집(養知書屋全集)≫ 등이 있다.
  • 승진 : (1)조선 중기의 문신(1418~1477).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희철(希哲). 호는 존양재(存養齋)ㆍ약천(藥川).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지만 벼슬길에 뜻이 없어 입사하지 않았다.
  • 승진 묘 : (1)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곽승진의 묘. 송전산 구릉의 청주 곽씨 세장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묘표는 글자가 마모되어 알아보기 어렵다.
  • 시마 : (1)열대나 아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카딜로(cadillo) 식물의 줄기에서 얻는 섬유. 크림빛이 나는 흰색이며, 황마와 비슷한 조직으로 되어 있다.
  • 시쌍부 : (1)석가모니가 가섭에게 법통을 전하였다는 증거의 하나로, 가섭이 석가모니의 장례식에 늦게 도착하여 슬퍼하며 절을 하자 석가모니가 관에서 두 발을 내어 보였다는 이야기. 가섭의 법통과 관련된 것으로는 다자탑전분반좌(多子塔前分半座), 영산회상거염화(靈山會上擧拈花), 사라쌍수곽시쌍부(沙羅雙樹槨示雙趺)라는 삼처전심(三處傳心)의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는데, 이 가운데 사라쌍수곽시쌍부를 줄여 곽시쌍부라 한다.
  • 시징 : (1)조선 시대의 학자(1644~1713). 자는 경숙(敬叔)ㆍ지숙(智叔). 호는 경한재(景寒齋). 송시열의 문인(門人)으로 송시열의 천거로 참봉이 되었으나 기사환국 이후 벼슬을 그만두고 제자를 양성하는 데에 힘썼다.
  • 식자 : (1)콩잎을 먹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백성’을 이르는 말.
  • : (1)시체가 안치되어 있는 무덤 속의 방.
  • 실 돌무지무덤 : (1)주검을 넣는 곳이 널방으로 되어 있는 고구려의 돌무지무덤.
  • : (1)미역이 붙어서 자라는 바위.
  • : (1)떡갈나무의 잎으로 만든 약재. 치질, 설사, 갈증을 치료하며 살충제로도 쓰인다.
  • 약허 : (1)중국 북송대의 미술 이론가(?~?). 대표작으로 미술 이론과 작가 정리, 그림평 등이 기술된 ≪도화견문지≫가 있다.
  • : (1)빨리 흩어짐.
  • 언인 : (1)중국 명나라 때의 무장(?~?). 용맹하고 지략이 있었다. 후에 이문충(李文忠)을 따라 절서(浙西) 지역을 평정하고 항주(杭州)를 함락하는 공을 세웠다.
  • : (1)고려 예종 때의 문인(1058~1130). 자는 몽득(夢得). 홍주(洪州) 목사(牧使)를 지냈으며, 예종이 즉위한 후 궁중 순복전(純福殿)에 있으면서 왕의 스승으로 담론하였다.
  • : (1)갑자기 사라져 없어지는 모양. (2)큰 모양.
  • : (1)고려 후기의 문신(1232∼1286). 자는 선갑(先甲), 호는 연담(蓮潭). 원종 때 일본에 왜구의 침범을 중지시킬 것과 잡혀간 고려인의 송환을 요구했고, 충렬왕 때 우부승지, 좌승지, 국자감 대사성, 문한 학사를 거쳤다.
  • : (1)어떤 구역의 밖. (2)중국 전국 시대 연나라의 정치가(?~?). 현인(賢人)을 맞으려면 먼저 가까이 있는 하찮은 사람부터 대우를 잘하라는 ‘선종외시’의 고사로 유명하다.
  • 우록 : (1)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익이 나라에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쓴 책. 경연, 육재(育才), 입법, 치민, 생재(生財), 국용(國用) 등 19항목에 대한 견해를 쓴 것이다. 2권 1책.
  • : (1)중국 오대 후주(後周)의 제1대 왕(904~954). 자는 문중(文仲). 오대 후한(後漢)의 은제(隱帝)에게 중용되어 병마(兵馬)의 최고권을 위임받았다. 은제가 죽은 뒤 제위에 오르고 주나라를 건국하였다. 재위 기간은 951~954년이다.
  • : (1)미역의 대가리.
  • 이저 : (1)미역귀로 담근 김치.
  • 인쇄 : (1)함이나 갑(匣)에 하는 인쇄.
  • 자의 : (1)중국 당나라의 무장(697~781). 안녹산의 난을 토벌하여 도읍 장안(長安)을 탈환하였고, 뒤에 토번(吐蕃)을 쳐서 큰 공을 세워 사도(司徒), 중서령(中書令)에 이어 분양왕(汾陽王)으로 봉하여졌다.
  • 자흥 : (1)중국 원나라 말의 반란군 지도자(?~1355). 1352년에 군사를 일으켜 호주(濠州)를 차지하였다. 여러 차례 원나라 군사를 격파하여 원수(元帥)라고 불렸지만 내분이 그치질 않아 이에 신경을 쓰다 병으로 죽었다. 주원장(朱元璋)이 그의 수하에 있었다.
  • 재겸 : (1)조선 중기의 의병장(1547~1615). 자는 익보(益輔). 호는 괴헌(槐軒).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에게 방략을 제시하였고 의병을 모집하여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 저서에 ≪훈자육대도(訓子六大圖)≫가 있다.
  • 재우 : (1)조선 중기의 의병장(1552~1617). 자는 계수(季綏). 호는 망우당(忘憂堂). 임진왜란 때 의령(宜寧)에서 의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웠고, 정유재란 때 다시 의병장으로 출전하였다. 그 뒤 진주 목사, 함경도 관찰사 따위를 지냈다.
  • 재우 유물 일괄 : (1)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충익사에 소장되어 있는 곽재우 장군의 유물. 임진왜란 당시에 곽재우가 사용했던 물품 여섯 점이 일괄 지정되었다. 보물 제671호.
  • 재우전 : (1)곽재우를 주인공으로 하는 조선 시대의 한글 소설. 곽재우가 임진왜란 때에 기묘한 전술로 왜군을 무찌른 무용담이 주된 내용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재이 : (1)‘갈퀴’의 방언 (2)‘괭이’의 방언
  • 쟁이 : (1)‘괭이’의 방언 (2)‘갈퀴’의 방언
  • : (1)바닷가에서 미역을 따는 곳.
  • : (1)‘갈퀴’의 방언
  • : (1)‘마분지’의 방언
  • 종석 : (1)구한말의 학자(1846~1919). 자는 명원(鳴遠). 호는 면우(俛宇). 1905년에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약의 폐기와 조약 체결에 참여한 매국노의 처형을 상소하고, 3ㆍ1 운동 때는 파리의 만국 평화 회의에 독립 호소문을 보내어 옥고를 치렀다.
  • 주에 : (1)‘느닷없이’의 방언
  • 주우 : (1)‘느닷없이’의 방언
  • 중에 : (1)‘느닷없이’의 방언
  • : (1)예전에 세력을 떨치던 ‘走’ 자 변의 이름을 가진 곽준(郭䞭)의 여덟 형제의 별명. 곽주(郭走)가 변한 것으로, 보채거나 우는 아이를 을러서 달랠 때에 쓰는 말이다. (2)‘박쥐’의 방언
  • : (1)‘갈퀴’의 북한어. (2)‘괭이’의 방언
  • 지발 : (1)‘갈큇발’의 북한어.
  • 지봉 : (1)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에 있는 산. 함경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668미터. (2)함경남도 갑산군에 있는 산. 높이는 1,583미터.
  • 지식적재기 : (1)짐을 퍼서 담는 부분이 갈퀴 모양으로 된 운반 기계의 하나.
  • 지 해수욕장 : (1)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있는 해수욕장. 썰물 때면 해수욕장에서 용천수가 나온다.
  • : (1)‘성냥갑’의 방언
  • 징이 : (1)‘갈퀴’의 방언
  • 처웅 괘서 사건 : (1)1733년에 이인좌의 난에 대한 처리 결과를 두고 남원에서 발생한 괘서 사건. 이 사건과 관련되어 조사받던 곽처웅의 집에서<풍신제문(風神祭文)>과 정부를 비방하는 글이 발견되었다.
  • 충서 : (1)중국 후주(後周) 말에서 북송(北宋) 초의 학자ㆍ서화가(?~977). 자는 서선(恕先). 전서(篆書)와 예서(隷書)에 능하였으며, 계척(計尺)을 사용하여 매우 복잡한 누각 건축도 정확하게 그렸다. 저서에 ≪한간(汗簡)≫이 있다.
  • : (1)미역을 넣어 끓인 국.
  • 티슈 : (1)네모진 종이 상자에 담긴 화장지. 한 장씩 뽑아 쓰도록 되어 있다. ⇒규범 표기는 ‘갑 티슈’이다.
  • 학송 : (1)소설가(1927~1992). 1953년 ≪문예≫지에 <안약>, <독목교(獨木橋)>로 등단하였다. 초기에는 사실적 경향이 강했으나, 차츰 심리 분석을 통하여 개인의 한계를 보여 주는 경향을 띠었다. 작품에 소설 <철로(鐵路)>ㆍ<춘원 이광수>ㆍ<낯선 골짜기>, 소설집에 ≪흔적≫ㆍ≪도시의 그림자≫ 따위가 있다.
  • 해룡전 : (1)조선 시대의 국문 소설. 중국 원나라를 배경으로, 주인공 곽해룡이 도술로 서번(西蕃)의 침략을 물리치고 승상이 되어 선정을 베푼다는 내용의 군담 소설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 (1)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20~30cm이며, 온몸에 털이 있다. 잎은 달걀 모양이고 톱니가 있다. 7~9월에 입술 모양의 연한 붉은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핀다. 산에 자라는데 제주, 함북 등지에 분포한다.
  • 향로 : (1)꿀풀과에 속한 곽향의 줄기나 잎을 증류해서 얻은 방향수. 더위로 인한 기체, 흉번 따위를 치료하는 데 쓴다.
  • 향 정기산 : (1)곽향을 주된 재료로 하여 달여 만드는 약. 여름 감기에 식체(食滯)를 겸한 증상에 쓰인다.
  • 휴지 : (1)네모진 종이 상자에 담겨 있는 화장지. 한 장씩 뽑아 쓰도록 되어 있다. ⇒규범 표기는 ‘갑 휴지’이다.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곽으로 끝나는 단어 (79개) : 내곽, 거짓 윤곽, 전곽, 성냥곽, 음고 윤곽, 꿀곽, 원통형 흉곽, 려곽, 인지 모형 윤곽, 서곽, 골련곽, 횡구식석곽, 주곽, 륜곽, 산촌수곽, 이곽, 연필곽, 녹곽, 여곽, 찬곽, 목곽, 밥곽, 위곽, 손발톱 성곽, 부곽, 흉곽, 윤곽, 불곽, 천곽, 산곽 ...
곽으로 끝나는 단어는 7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곽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0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