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36개

두 글자:1개 세 글자:16개 네 글자:14개 다섯 글자:4개 여섯 글자 이상:1개 🐠모든 글자: 36개

  • 유희 : (1)조선 순조 때의 한글 학자(1773~1837). 자는 계신(戒仲). 호는 서파(西陂)ㆍ방편자(方便子)ㆍ남악(南嶽). 한글을 독창적으로 연구하고 자모를 분류ㆍ해설하였다. 장원 급제까지 했으나 벼슬은 하지 않았다. 저서로 ≪언문지≫, ≪물명유고≫ 따위가 있다. (2)즐겁게 놀며 장난함. 또는 그런 행위. (3)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의 육체적 단련과 정서 교육을 위하여 일정한 방법에 따라 재미있게 하는 운동. (4)근로자의 휴식과 오락을 위한 놀이. (5)성균관 유생들이 이상적인 선정(善政)을 모의(模擬)로 베풀던 풍자 놀이. 여름과 겨울 두 차례, 종이에 ‘闕’ 자를 써서 성균관 문에 붙이고 공자(孔子)를 임시 왕으로 받들어 행하였다. (6)광대들이 선비의 모습과 행동을 풍자하여 보여 주던 연극. 과거에 급제한 이들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공연하였다. (7)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조(前趙)의 마지막 황제(?~329). 나라가 멸망되었기 때문에 시호는 없다. 유요가 죽자 329년 상규(上邽)로 천도하였고, 장안을 탈환하던 중 후조(後趙)에게 패하여 상규(上邽)가 점령되면서 그도 처형되고 전조는 멸망하였다. 재위 기간은 328~329년이다. (8)프랑스의 작곡가 드뷔시가 작곡한 발레곡. 1913년 완성된 곡으로 몽퇴의 지휘, 니진스키의 안무로 러시아 발레단에 의해 초연되었다.
  • 유희 : (1)서예가(1911~1976). 호는 검여(劍如)ㆍ소완재주인(蘇阮齋主人)ㆍ시계외사(柴溪外史)ㆍ불함도인(不咸道人)ㆍ몽학선관주인(夢鶴仙館主人). 중국 베이징 동방 문화 학회에서 서예와 금석학(金石學)을 연구하였다. 1968년에 중풍에 걸리자, 종전의 우수서(右手書)에서 좌수서(左手書)로 새 경지를 개척하였다. 육조체(六朝體)의 강건하고 웅혼한 필세가 특징이다.
  • 유희 : (1)조선 선조 때의 학자(1545~1636). 자는 응길(應吉). 호는 촌은(村隱). 예론과 상례(喪禮)에까지 두루 통달하여 국상과 서민들의 장례에도 그에게 자문하였다. 광해군 때에 폐모를 상소하라는 이이첨의 청을 물리치고 은거하였다. 저서로 ≪촌은집≫, ≪상례초(喪禮抄)≫가 있다.
  • 유희공원 : (1)여러 가지 놀이 시설을 갖춘 공원.
  • 유희관음 : (1)삼십삼 관음의 하나. 왼손을 무릎에 올려놓고 오색 구름을 타고 법계(法界)에 노니는 모습이다.
  • 유희 : (1)어린이들이 놀이로 하는 간단한 연극.
  • 유희 : (1)어린이들로 이루어진 연예 활동 단체. (2)축전이나 체육 대회 따위에서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로 조직되어 춤이나 체육 무용, 예술 체조 같은 것을 하는 단체.
  • 유희 : (1)즐겁게 놀며 장난하는 데에 쓰는 물건.
  • 유희 본능 : (1)심신을 발달시키거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스스로를 즐겁게 하는 동작이나 언어로 표현되는 인간의 기본적인 본능.
  • 유희 : (1)조선 광해군 때의 권신(1564~1623). 자는 형백(亨伯). 호는 화남(華南). 선조 30년(1597)에 별시 문과에 급제한 후, 춘추관 편수관이 되어 임진왜란 때 소실된 역대 실록을 재간하였다. 그 후 인목 대비를 폐위하자는 주장이 관철되어 권력을 잡았으나 인조 반정으로 참형되었다.
  • 유희 삼매 : (1)부처의 경지에서 노닐며, 그 무엇에도 매이지 아니함.
  • 유희 : (1)즐겁게 놀며 장난하는 성질.
  • 유희 시설 : (1)즐겁게 놀 수 있도록 만든 놀이 시설.
  • 유희신통 : (1)부처나 보살이 신통력으로 중생을 교화하고 스스로 즐김.
  • 유희 : (1)즐겁게 놀며 장난하는 방.
  • 유희오락실 : (1)놀이나 오락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방.
  • 유희 : (1)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2)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 유희 요법 : (1)어린이에게 장난감을 주어서 놀게 하고, 그때 겉으로 나타내는 행동이나 감정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심리 요법.
  • 유희 : (1)즐겁게 놀며 장난하거나 그런 행위를 즐기는 사람.
  • 유희 : (1)즐겁게 놀며 장난하는 사람. 또는 어떠한 일을 즐기는 사람.
  • 유희 : (1)즐겁게 놀며 장난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어 놓은 곳.
  • 유희 : (1)즐겁게 놀며 장난하는. 또는 그런 것. (2)진정이 아니고 반(半) 놀이 삼아 일을 하는. 또는 그런 것.
  • 유희조각 : (1)어린이 놀이터 따위에 콘크리트 따위로 만든 놀이 시설.
  • 유희 : (1)결가부좌에서 한쪽 다리를 풀어 대좌 밑으로 내린 자세.
  • 유희주의 : (1)의미화 작용의 자유로운 놀이를 이르는 말. 기원적이고 궁극적인 의미와 관계없이 형식과 기표, 기의들의 자유롭고 생산적인 상호 작용의 놀이를 뜻한다. 문학에서는 텍스트의 유희를 의미하는데 텍스트는 저자와 독자 모두에게 끝없는 의미와 관계들을 생산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놀이터이라는 의미이다.
  • 유희 집단 : (1)어린이들끼리 공통의 감정을 가지고 공통적인 놀이를 계획하며, 이를 실행하는 일시적인 집단.
  • 유희 : (1)조선 명종 때의 유학자(1513~1577). 자는 인중(仁仲). 호는 미암(眉巖). 을사사화에 관련되어 20여 년간 귀양살이를 하였으며, 선조 때에 출사하여 벼슬은 부제학에 이르렀다.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고, 1568년에 쓴 ≪미암일기≫는 자신의 경력을 기록한 것으로 귀중한 사료가 되었다.
  • 유희춘 미암일기 및 미암집 목판 : (1)조선 시대의 학자인 미암 유희춘이 선조 원년(1568)부터 십 년 동안 쓴 일기와 그 판본. 일기류 가운데 가장 방대한 것으로, 자신의 일상생활과 국정의 주요 사건, 인물 동태 등 다양한 사실을 날짜순으로 기록하고 있어 사료로서 가치가 크다. 12책. 보물 제260호.
  • 유희 충동 : (1)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충동을 유희적 성격에서 찾는 실러(Schiller, F. C. S.)의 용어. 인간은 유희를 함으로써 비로소 진실한 인간일 수 있다고 하였다.
  • 유희 충동설 : (1)인간에게는 동물과 달리 유희를 즐기려는 충동이 있고, 이로 말미암아 예술이 시작되었다는 학설.
  • 유희 치료 : (1)놀이를 통하여 아동의 불안, 공포, 긴장 상태 등을 해소하고 정서적ㆍ사회적 발달을 함양하는 치료법.
  • 유희하다 : (1)즐겁게 놀며 장난하다. (2)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의 육체적 단련과 정서 교육을 위하여 일정한 방법에 따라 재미있게 운동하다.
  • 유희 행동 : (1)특정한 목적이 없이 흥미를 느끼는 어떤 행위를 하는 활동.
  • 유희 : (1)장난거리나 놀이로 여겨지게 됨. 또는 그렇게 만듦.
  • 유희화되다 : (1)장난거리나 놀이로 여겨지게 되다.
  • 유희화하다 : (1)장난거리나 놀이로 여겨지게 되다. 또는 그렇게 만들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38개) : 아하, 아한, 아항, 아해, 아행, 아헌, 아헤, 아헨, 아형, 아호, 아혹, 아홀, 아홉, 아환, 아황, 아회, 아후, 아훈, 아훔, 아훕, 아휴, 아흔, 아흡, 아희, 아히, 악학, 악한, 악할, 악행, 악향, 악혈, 악형, 악호, 악화, 악후, 악희, 안하, 안한, 안함, 안항, 안해, 안핵, 안행, 안향, 안험, 안헤, 안혼, 안화, 안확, 안환, 안활, 안회, 안후, 안휘, 알합, 알핵, 알현, 알혈, 알형, 암하, 암학, 암한, 암함, 암합, 암해, 암행, 암향, 암허, 암현, 암혈, 암협, 암호, 암혹, 암홀, 암홍, 암화, 암흑, 암희, 압해, 압화, 압흔, 앙해, 앙혼, 앙화, 앙흠, 앞항, 애하, 애한, 애항, 애해, 애햄, 애행, 애향, 애형, 애호, 애홍, 애화, 애환, 애회, 애훈 ...

실전 끝말 잇기

유희로 끝나는 단어 (26개) : 실내 유희, 수용 유희, 조형유희, 행진유희, 대상 유희, 소춘대유희, 음의 유희, 구성 유희, 률동유희, 모방 유희, 아이들의 유희, 관념 유희, 노유희, 극유희, 노래유희, 단체 유희, 유리알 유희, 교수유희, 물의 유희, 주유희, 군사유희, 호외 유희, 언어유희, 운동 유희, 체육유희, 유희 ...
유희로 끝나는 단어는 2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유희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36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