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신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15개

두 글자:1개 세 글자:9개 네 글자:52개 다섯 글자:9개 여섯 글자 이상:44개 💌모든 글자: 115개

  • 분무공신 : (1)조선 영조 4년(1728)에 이인좌의 난을 다스린 공으로 오명항 등 열다섯 사람에게 상으로 준 훈명(勳名). 뒤에 양무공신으로 고쳤다.
  • 홍진 호성공신 교서 : (1)강원도 홍천군 남양 홍씨 예사공파 종회가 소장한 조선 시대의 교서. 조선 선조37년(1604)에 홍진에게 내린 것으로, 2등 공신의 녹훈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당시 호성공신에 대한 포상 규정을 살펴볼 수 있다. 보물 제1308호.
  • 공신 옹주 : (1)조선 성종의 딸(1481~1549). 귀인(貴人) 엄씨(嚴氏)의 소생이며, 한보(韓堡)의 아들인 순의대부(順義大夫) 청령위(淸寧尉) 한경침(韓景琛)에게 하가하였다. 연산군에 의하여 폐서인이 되었다.
  • 공신하다 : (1)공손히 하고 삼가다. (2)두려워하고 삼가다.
  • 이운룡 선무공신교서 및 관련 고문서 : (1)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재령 이씨 지암 종중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문적. 선조 37년(1604)에 이운룡에게 내린 상훈 교서와 교지 등 두 점으로, 조선 시대 공신 연구와 임진왜란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보물 제1212호.
  • 공신 : (1)고려ㆍ조선 시대에, 공신에게 수여하던 상훈 문서.
  • 개국원종공신 : (1)조선 시대에, 개국 공신을 늘리려는 의도에서 원종공신에게 내린 훈호 또는 그 공신. 조선에 들어와 신포상 제도로서 마련된 것으로, 정공신(正功臣)인 개국 공신을 늘리려는 의도가 변경되어 28인의 원종공신을 책봉한 데서 비롯되었다.
  • 배향 공신 : (1)고려ㆍ조선 시대에, 종묘에 신주를 모신 공신. 임금이 죽으면 종묘에 신주를 모시고 선왕들과 합사(合祀)하였는데, 이때 그 임금의 생전에 공로가 특히 많은 신하가 임금보다 뒤에 죽으면 선왕의 묘정(廟庭)에 배향하였다.
  • 공신 : (1)조상으로부터 물려받지 아니하고 스스로 공을 세워 녹훈된 공신.
  • 공공 신탁 이론 : (1)일반 국민의 공적 이익을 위하여 중요한 자연 자원은 그 소유자에게 신탁되어 있다고 보고, 소유자는 공공 수탁자로서 이를 보전하고 보호하여야 할 의무를 부담한다는 이론.
  • 착공 신고 : (1)건축법에서, 건축주가 건축 공사를 시작할 때에는 착수일에서 3일 이내에 시장이나 군수에게 의무적으로 신고하는 일.
  • 영사공신 : (1)조선 인조 6년(1628)에 유효립(柳孝立)의 역모(逆謀)를 고한 이에게 내린 훈명(勳名). 허적(許𥛚)을 비롯한 11명에게 내렸다.
  • 개국 공신 : (1)나라를 새로 세울 때 큰 공로가 있는 신하.
  • 일등 공신 : (1)나라를 위하여 으뜸가는 공을 세운 신하. (2)어떤 일에 대하여 공적이 가장 뛰어나거나 훌륭한 인물.
  • 성공 신화 : (1)목적한 바를 이룬 일을 신화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 전망공신 : (1)전쟁터에서 싸우다가 죽음으로써 공을 세운 신하.
  • 김시민 선무공신교서 : (1)경상남도 진주시 국립 진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교서. 진주 대첩에서 승리한 김시민에게 내린 것으로, 그의 공적과 포상 내역이 기록되어 있다. 보물 제1476호.
  • 원종공신녹권 : (1)고려ㆍ조선 시대에, 왕이 원종공신에 대한 포상을 규정하여 내린 증명서. 공적 내용, 명단, 포상 내용이 기재되었다.
  • 정란공신 : (1)위급하고 곤란한 국가 상황을 평정하는 데 공적이 큰 신하.
  • 양무원종공신녹권 : (1)조선 영조 4년(1728)에, 양무녹훈도감(揚武錄勳都監)에서 양무원종공신에게 내린 포상 증서. 1책의 활자본.
  • 정국공신 : (1)조선 시대에, 연산군을 내쫓고 중종을 추대한 공신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중종 1년(1506)에 중종반정 유공자인 성희안, 박원종, 유순정 등 117명에게 내렸는데 뒤에 기묘사화의 원인이 되었다.
  • 중흥공신 : (1)고려 공양왕 원년(1389)에,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공신호(功臣號).
  • 인공 신장 : (1)혈액을 몸 밖의 장치로 순환시켜 오줌으로 걸러지는 물질을 걸러 내는 장치.
  • 인공 신경 회로망 : (1)사람의 두뇌와 비슷한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 생물의 신경계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단순하지만 적응적인 요소들을 대량으로 병렬 연결한 망들의 계층적 조직이다.
  • 부사공신 : (1)조선 경종 초에, 신임사화를 일으켜 노론(老論)을 제거한 공으로 경종 3년(1723)에 목호룡(睦虎龍) 등 세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뒤에 영조가 즉위하면서 삭제되었다.
  • 적개공신 : (1)조선 세조 13년(1467)에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신에게 준 훈호(勳號). 귀성군, 조석문 등 45명을 세 등급으로 나누어 포상하였다.
  • 공신 : (1)고려 말기에, 공양왕이 즉위하는 데 공이 컸던 아홉 명의 신하. 이성계, 정몽주, 심덕부(沈德符), 지용기(池湧奇), 설장수(偰長壽), 성석린(成石璘), 박위(朴葳), 조준, 정도전을 이른다. (2)전왕(前王) 때 공신의 칭호를 받은 사람.
  • 공신 : (1)공적인 신뢰를 받을 만한 능력. (2)권리관계를 추측할 수 있는 등기나 점유 따위의 외형적 요건이 있을 경우에, 그것을 믿고 행한 법률 행위를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는 법률적인 효력.
  • 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 : (1)조선 시대에, 증직(贈職)된 일등 공신에게 내리던 훈호(勳號).
  • 원종공신 : (1)정공신(正功臣) 이외의 작은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공신 칭호.
  • 공신 사패 : (1)고려ㆍ조선 시대에, 공신에게 나라에서 산림ㆍ토지ㆍ노비 따위를 내려 주는 일. 또는 그 소유에 관한 문서.
  • 이원길 개국원종공신녹권 : (1)조선 태조 4년(1395)에 이원길에게 발급한 원종공신녹권. 가로 372cm, 세로 30.4cm이며, 총 243행이다. 국보 제250호.
  • 공신상훈교서 : (1)조선 시대에, 공신도감에서 공신에게 수여하던 상훈 문서. 수사자(受賜者) 각 개인의 공적과 상전(賞典)을 기록한 문서이다.
  • 항공 신경증 : (1)조종사들에게 나타나는, 과다한 비행으로 인한 기능 신경의 혼란. 신경 과민, 불면증, 정서 불안 따위가 있다.
  • 공신 : (1)국가의 지급 의사와 지급 능력에 대한 대부 자본가ㆍ자금 소유자의 신뢰. (2)나라를 위하여 특별한 공을 세운 신하. (3)공손히 하고 삼감. (4)두려워하고 삼감. (5)공물을 바치는 신하.
  • 인공 신경망 : (1)사람의 두뇌와 비슷한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 생물의 신경계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단순하지만 적응적인 요소들을 대량으로 병렬 연결한 망들의 계층적 조직이다.
  • 순충적덕보조공신 : (1)조선 시대에, 증직(贈職)된 이등 공신에게 내리던 훈호(勳號).
  • 공신 적장 : (1)조선 시대에, 개국 이후 28차례에 걸쳐 배출된 공신의 적장 자손. 나라에서는 이들 가운데 과거에 급제하지 못한 사람을 해마다 1월과 7월 2회에 걸쳐 무관 체아직으로 뽑았는데, 이렇게 뽑힌 사람들은 재직 108일 후에 승급되나 그 품계는 정삼품에서 그쳤다.
  • 익사 공신 : (1)조선 광해군 5년(1613)에, 임해군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허잠(許箴), 김이원(金履元) 등 48명에게 내린 훈호(勳號). 1623년에 인조반정으로 훈적에서 삭제되었다.
  • 이충원 호성공신교서 : (1)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교서. 선조 37년(1604)에,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이충원에게 상장과 훈장을 내리면서 준 교서이다. 글씨는 한석봉이 썼다. 보물 제874호.
  • 항공 신호 : (1)항공기의 고장, 일기의 좋고 나쁜 상태, 이착륙의 방향이나 지장(支障) 유무를 항공기와 지상 또는 항공기 상호 간에 알리는 신호.
  • 장말손 적개공신교서 : (1)조선 세조 13년(1467)에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적개공신이 된 장말손에게 내린 교서. 크기는 가로 150cm, 세로 30cm이며, 현재 45인의 적개공신에게 내려진 교서 가운데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이다. 보물 제604호.
  • 마천목 좌명공신녹권 : (1)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국립 고궁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문서. 공신도감에서 마천목(馬天牧)에게 발급한 것으로, 필사본이다. 공식녹권의 체제 및 양식을 비롯하여, 특전과 공신도감의 구성원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보물 제1469호.
  • 수복경성공신 : (1)고려 공민왕 11년(1362)에, 홍건적에게 점령당한 개경을 되찾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공신 호(功臣號).
  • 계해 정사공신 : (1)조선 인조 1년(1623) 계해년에 일어난 인조반정의 공신들. 김유(金瑬), 이귀(李貴), 김자점 등의 일등 공신 10명을 비롯하여 모두 53명이다.
  • 정사공신 : (1)조선 태조 7년(1398)에 일어난 제일 차 왕자의 난을 평정한 공신에게 내린 훈호(勳號). 정종 때에 방의(芳毅)ㆍ방간(芳幹)ㆍ방원(芳遠) 등 12명에게 일등 공신을, 심종(沈悰)ㆍ이지란 등 17명에게 이등 공신의 책록을 내렸다. (2)조선 광해군 15년(1623)에 일어난 인조반정의 공신에게 내린 훈호(勳號). 인조 1년(1623)에 김유, 이괄 등 53명에게 내렸다.
  • 공신녹권 : (1)고려ㆍ조선 시대에, 공신에게 수여하던 상훈 문서.
  • 능연각 공신 : (1)중국 당나라 태종 때에, 능연각에 초상을 건 24명의 공신. 고사렴(高士廉), 굴돌통(屈突通), 당검(唐儉), 두여회, 단지현(段志玄), 방원령(房元齡), 소우(蕭瑀), 우세남, 울지경덕(尉遲敬德), 위징, 유정회(劉政會), 유홍기(劉弘基), 은개산(殷開山), 이적(李勣), 이정(李靖), 장손무기, 장공근(張公謹), 장손순덕(長孫順德), 장량(張亮), 정지절(程知節), 진숙보(秦叔寶), 하한왕 효공(河閒王孝恭), 허소(許紹), 후군집(侯君集)이다.
  • 구례 윤문효 공 신도비 : (1)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이평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문신인 윤효손(尹孝孫)의 신도비. 문효(文孝)는 윤효손의 시호이다. 이 비는 중종 14년(1519)에 세워졌는데, 비문은 신용개가 짓고, 글씨는 신공제(申公濟)가 썼다. 보물 제584호.
  • 보익공신 : (1)조선 명종 1년(1546)에 을사사화를 일으키고 윤임(尹任) 등 대윤(大尹) 일파를 몰아낸 신하에게 내린 공신의 칭호. 사림파의 비난이 심하여 나중에 공신록에서 모두 삭제하였다.
  • 녹훈 공신 : (1)훈공이 장부나 문서에 기록된 공신.
  • 위사공신 : (1)조선 명종 1년(1546)에 을사사화를 일으키고 윤임(尹任) 등 대윤(大尹) 일파를 몰아낸 신하에게 내린 공신의 칭호. 사림파의 비난이 심하여 나중에 공신록에서 모두 삭제하였다.
  • 익대 공신 : (1)조선 예종 즉위년(1468)에,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신숙주, 한명회 등에게 내린 훈호. 처음 공신에 책록된 사람은 37명이었으나 이듬해 윤흠(尹欽), 강희맹, 이존(李存)이 추록되어 모두 40명이 되었다.
  • 소무공신 : (1)조선 인조 5년(1627)에, 이인거(李仁居)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홍보(洪靌)를 비롯한 여섯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 공신 전토 : (1)고려ㆍ조선 시대에, 국가에 훈공이 있는 사람에게 내리던 논밭.
  • 정난공신 : (1)조선 중종 2년(1507)에 이과(李顆)의 모반을 고발한 공로로 노영손(盧永孫), 유순 등 21인에게 내린 훈호(勳號). (2)조선 단종 1년(1453)에 안평 대군, 김종서, 황보인 등을 제거한 공로로 수양 대군, 정인지, 한명회 등 43인에게 내린 훈호(勳號).
  • 양무공신 : (1)조선 영조 때에 이인좌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녹훈(錄勳)된 공신. ‘분무공신’을 고친 것이다.
  • 선무공신 : (1)조선 선조 37년(1604)에, 임진왜란에서 공을 세운 이순신, 권율 등 열여덟 무신(武臣)에게 내린 훈공. 일등에서 삼등까지 있었다.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 (1)경상북도 안동시 북문동 태사묘에 소장된 고려 시대의 유물 일괄.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운 김선평ㆍ권행ㆍ장정필의 위패를 모신 태사묘의 유물들로, 관모ㆍ허리띠 등 12종 22점이 남아 있다. 보물 제451호.
  • 공신도감 : (1)조선 시대에, 공신을 표창해야 할 일이 생겼을 때, 공신의 업적을 실사(實査)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한 관아. 세종 16년(1434)에 충훈사로 고쳤다.
  • 회군공신 : (1)위화도 회군을 주도한 자들에게 준 칭호.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첫 번째 책봉이 단행되었고, 조선 개국 후에 재책봉되었다.
  • 반정 공신 : (1)반정 때에 공이 많은 사람에게 내리던 공신의 훈호(勳號). 조선 중종 때는 정국공신, 인조 때는 정사공신이라는 훈호를 내렸다.
  • 이십 공신 회맹축 보사공신 녹훈 후 : (1)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전적. 1694년에 갑술환국으로 재집권한 서인이 기사환국 때에 파훈(罷勳)된 다섯 명의 공신을 복훈(復勳)한 것을 계기로 제작하였다. 회맹문(會盟文)을 비롯하여 회맹에 참여한 공신과 자손의 명단 및 불참자의 사유가 실려 있다. 보물 제1513호.
  • 이성윤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 유물 : (1)인천광역시 부평구에 거주하는 이성구가 소장하고 있는, 조선 시대의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 유물. 위성공신교서는 이성윤(李誠胤)이 임진왜란 때에 광해군을 호위한 공으로 내려진 것이다. 광해군 때의 공신교서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크다. 보물 제1508호.
  • 평난공신 : (1)조선 선조 23년(1590)에 정여립의 난을 평정한 스물두 사람에게 내린 훈호. 박충간(朴忠侃) 등 주로 서인이 받았다.
  • 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 : (1)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국립 고궁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공신녹권과 함. 태종 11년(1411)에 태종이 이형에게 발급한 3등 공신녹권으로, 신하의 공로를 가상히 여겨 포상한 것이다. 당시 공신에 대한 대우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보물 제1657호.
  • 건의집병정난공신 : (1)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흥왕사(興王寺)의 변(變)을 진압한 공으로 내린 공신호(功臣號).
  • 보사공신 : (1)조선 시대에, 숙종 6년(1680) 복선군(福善君)을 추대하려던 허견을 제거한 공(功)으로, 이사명(李師命)ㆍ김익훈 등 여덟 사람에게 내린 공신의 칭호.
  • 창산군 장관의 원종공신녹권 : (1)조선 태조 때의 공신 창산군 장관(張寬)의 공신녹권. 태조 4년(1359)에 하사받은 원종공신녹권으로, 조선 전기의 녹권 문서와 관제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이다.
  • 김회련 공신녹권 : (1)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도봉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문서. 태조 4년(1395)에 김회련을 개국 공신으로 임명한 증서이다. ≪태조실록≫에도 기록되지 않은 내용들이 담겨 있어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보물 정식 명칭은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이다.
  • 공신 : (1)항공기에서 떨어뜨리는 폭탄에 장치된 신관.
  • 공신적 증권 : (1)증권의 선의 취득자는 증권의 문언대로의 권리를 취득하며, 그 대신 증권에 기재되지 않은 사항은 이로써 대항할 수 없는 증권.
  • 좌명공신 : (1)조선 태종 1년(1401)에 이저(李佇), 이거이(李居易) 등 46명에게 내린 훈명. 정종 2년(1400) 제이 차 왕자의 난 때 박포 등의 무리를 평정하고 태종을 임금 자리에 오르게 한 공로로 주어졌다.
  • 공신노비 : (1)조선 시대에, 나라에서 공신에게 내리던 노비.
  • 영국공신 : (1)조선 인조 22년(1644)에 회은군(懷恩君)을 추대하여 난을 일으키려 한 심기원(沈器遠)의 역모를 평정한 공신에게 내린 훈명(勳名). 구인후(具仁垕), 김유(金瑬) 등 7인에게 내렸다.
  • 청난공신 : (1)조선 선조 37년(1604)에, 충청도 홍산(洪山)에서 일어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홍가신(洪可臣), 박명현(朴名賢) 등 다섯 명의 공신에게 내린 훈호(勳號).
  • 광국공신 : (1)조선 선조 23년(1590)에 윤근수 등 19명에게 내린 훈호(勳號). 중국 명나라의 ≪대명회전≫에 조선 왕조 이씨의 세계(世系)가 잘못 적힌 것을 고친 공으로 주었다.
  • 수종공신 : (1)고려 후기에, 원나라에 가는 왕을 수종한 사람에게 주던 공신 칭호. 충렬왕 7년(1281)에 처음 책봉되었다.
  • 공신 : (1)조선 시대에 홍보(洪寶)가 이인거의 난을 평정하여 소무원종공신이 된 사람들의 녹권(錄券)을 편집한 책. 조선 인조 6년(1628)에 간행되었다. 1권 1책.
  • 공신정훈 : (1)공신으로서 3등 이상인 사람.
  • 이헌국 호성공신교서 : (1)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국립 대구 박물관에 소장된 교서. 임진왜란 때에 이헌국이 선조와 세자를 모시고 수행한 공로를 치하하기 위해 1604년에 내린 것이다. 당시 86명에게 내린 공신교서 가운데 현존하는 드문 자료로, 임진왜란사와 고문서 연구에 도움이 된다. 보물 제1617호.
  • 좌익공신 : (1)조선 세조 1년(1455)에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44명에게 내린 훈호(勳號).
  • 진무공신 : (1)조선 인조 2년(1624)에 이괄의 난을 평정한 공로자에게 내린 훈호(勳號). 장만, 정충신 등 32명에게 주었다.
  • 등기의 공신 : (1)어떤 부동산 등기를 신뢰하여 거래한 사람이 있는 경우, 비록 그 등기가 진실한 권리 관계에 합치하지 않는 것이더라도 그 사람의 신뢰가 보호되는 등기의 효력.
  • 공신 회맹제 : (1)조선 시대에, 공신 등록을 마치고 공신들이 임금 앞에 모여서 충성을 맹세하던 의식.
  • 공신 : (1)국가의 지급 의사와 지급 능력에 대한 대부 자본가ㆍ자금 소유자의 신뢰.
  • 공신 : (1)조선 시대에, 관아의 노비가 노역(勞役) 대신 바치던 베나 무명. 남자 종은 한 필 반, 여자 종은 한 필씩을 바쳤다.
  • 좌리공신 : (1)조선 성종 2년(1471)에, 임금을 잘 보필하고 정치를 잘한 공로로 신숙주ㆍ한명회 등 75명에게 내린 훈명.
  • 공신 : (1)땅을 맡은 귀신. 봄에는 부엌에, 여름에는 문에, 가을에는 샘에, 겨울에는 마당에 있다고 한다.
  • 개국 공신 : (1)조선 태조가 개국 공신들에게 나누어 준 논밭. 일 등, 이 등, 삼 등의 세 등급으로 나누어 최고 220결(結), 최저 70결을 주었다.
  • 윤문효공 신도비 : (1)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이평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문신인 윤효손(尹孝孫)의 신도비. 문효(文孝)는 윤효손의 시호이다. 이 비는 중종 14년(1519)에 세워졌는데, 비문은 신용개가 짓고, 글씨는 신공제(申公濟)가 썼다. 보물 정식 명칭은 ‘구례 윤문효 공 신도비’이다.
  • 십구공신회맹록 : (1)조선 인조 6년(1628)에, 회맹제를 지낸 뒤 그것과 관계된 기록을 엮은 책. 십구공신이란 조선 초기의 개국 공신부터 1628년의 영사공신까지의 모든 공신을 이른다. 앞부분에 임금이 천지ㆍ사직ㆍ종묘ㆍ산천백신지령에게 고한 회맹문을 싣고, 뒤에 참가자의 명단과 불참자의 명단 및 그 사유를 기록해 놓았다. 1책.
  • 적개공신 장말손 상훈교서 : (1)조선 세조 13년(1467)에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적개공신이 된 장말손에게 내린 교서. 크기는 가로 150cm, 세로 30cm이며, 현재 45인의 적개공신에게 내려진 교서 가운데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장말손 적개공신교서’이다.
  • 정훈공신 : (1)자기의 공적으로 훈적(勳籍)에 등록된 친공신(親功臣).
  • 제 뼈가 공신 : (1)사지가 든든해서 어렵고 힘든 일을 마다하지 아니하고 해 주니 그것이야말로 공신과 같다는 뜻으로, 몸이 든든한 것이 곧 자랑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공신호초소 : (1)비행기 승무원들에게 약정 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장비 및 무선 통신 수단 따위를 설비하여 놓는 초소.
  • 공신 : (1)고려ㆍ조선 시대에, 국가에 훈공이 있는 사람에게 내리던 논밭.
  • 의안백 이화 개국공신녹권 : (1)조선 시대에, 개국공신 이화에게 내린 포상 증서. 세로 35.3cm의 닥나무 종이 아홉 장을 붙여 전체 길이가 604.9cm에 이른다. 개국공신녹권으로는 최초로 발견된 것이다. 국보 제232호.
  • 이십 공신 회맹축 영국공신 녹훈 후 : (1)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전적. 인조 24년(1646)에 임금이 개국 공신과 영국공신 등 20명과 그 자손들을 거느리고 회맹제를 행한 뒤, 회맹문(會盟文)과 참여 명단인 회맹록(會盟錄) 따위를 기록한 것이다. 보물 제1512호.
  • 이제 개국공신교서 : (1)경상남도 산청군에 있는, 조선 시대의 공신교서. 조선 태조 원년(1392)에 이성계가 이제에게 내린 것으로, 현재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는 개국공신교서이다. 보물 제1294호.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201개) : 가사, 가산, 가살, 가삼, 가상, 가새, 가색, 가생, 가서, 가석, 가선, 가설, 가섭, 가성, 가세, 가셜, 가소, 가속, 가손, 가솔, 가송, 가쇄, 가쇠, 가쇼, 가수, 가숙, 가술, 가숨, 가쉐, 가쉬, 가스, 가슬, 가슭, 가슴, 가습, 가승, 가시, 가식, 가신, 가실, 가싥, 가심, 가십, 각사, 각삭, 각산, 각삼, 각삽, 각상, 각색, 각생, 각서, 각석, 각선, 각설, 각성, 각소, 각손, 각쇠, 각수, 각숙, 각순, 각승, 각시, 각신, 각실, 각심, 간사, 간삭, 간산, 간살, 간삼, 간삽, 간상, 간새, 간색, 간서, 간석, 간선, 간섭, 간성, 간세, 간소, 간솔, 간송, 간쇼, 간수, 간순, 간술, 간슈, 간습, 간승, 간시, 간식, 간신, 간심, 간십, 갈사, 갈삭, 갈산 ...

실전 끝말 잇기

공신으로 시작하는 단어 (21개) : 공신, 공신노비, 공신녹권, 공신도감, 공신력, 공신록, 공신 사패, 공신 사패전, 공신상훈교서, 공신 옹주, 공신용, 공신의 원칙, 공신 적장, 공신적 증권, 공신전, 공신 전토, 공신정훈, 공신축, 공신포, 공신하다, 공신 회맹제 ...
공신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공신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1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