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석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43개

두 글자:1개 세 글자:15개 네 글자:19개 다섯 글자:5개 여섯 글자 이상:3개 🦋모든 글자: 43개

  • 금석상약 : (1)쇠나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약속.
  • 금석 : (1)쇠나 돌 따위의 광물성 약재를 넣어서 조제한 약제.
  • 금석지제 : (1)쇠나 돌 따위의 광물성 약재를 넣어서 조제한 약제.
  • 대동금석명고 : (1)한국에 산재된 금석문을 조사하여 수록한 책. 800여 점에 달하는 금석문을 고구려ㆍ신라ㆍ고려ㆍ조선으로 나누어 그 명칭과 찬자, 소재지 등을 조사하고 기록하였다. 1910년 이후에 편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2책.
  • 조선금석총람 : (1)1913년부터 1919년까지 일본의 학자 가쓰라기 스에하루(葛城末治)가 엮어 간행한 책.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대표적인 금석문을 모아 엮었다.
  • 금석 : (1)운석(隕石) 속에서 발견되는 광물. 운석이 떨어지면서 또는 떨어진 후 변질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본다.
  • 금석 : (1)금석문에 대하여 적은 책.
  • 금석 : (1)귀금속의 순도를 판정하는 데 쓰는 검은색의 현무암이나 규질의 암석. 금이나 은 조각을 이 돌의 표면에 문질러 나타난 흔적의 빛깔과 표본의 금 빛깔을 비교하여 순도를 시험한다. (2)가치, 능력, 역량 따위를 알아볼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기회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다른 구절과 비교하여 더욱 매력적인 시구를 파악하는 데 기준이 되는, 유명 시인의 작품에서 인용한 구절을 이르는 말.
  • 금석 : (1)붉은 흙 속에 잔 쇳가루가 들어 있어 도자기의 표면을 오톨도톨하게 만드는 잿물.
  • 금석 병용기 : (1)동기(銅器)와 석기(石器)를 함께 쓰던 시대.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중간기로, 동기 시대를 이렇게 이르기도 한다.
  • 삼한금석 : (1)조선 시대에, 오경석이 신라 이후의 금석문을 수집하여 연대, 저자(著者), 찬자(撰者) 따위를 고증한 책. 철종 9년(1858)에 간행되었다. 1책의 사본(寫本).
  • 금석지학 : (1)‘금석학’의 북한어.
  • 금석 : (1)튼튼한 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금석 : (1)나트륨, 알루미늄 따위를 함유한 규산염 광물. 등축 정계에 속하며 푸른색, 청자색, 녹청색 따위의 아름다운 빛깔에 유리와 같은 광택이 난다. 석회암 속에서 육면체 또는 십이면체의 결정이나 덩이로 나는데, 황철석의 결정이 박힌 것은 연마하면 매우 아름답다. 빛이 고운 것은 꽃병이나 모자이크 따위에 쓰인다.
  • 견여금석 : (1)서로 맺은 언약이나 맹세가 금석과 같이 단단함을 이르는 말.
  • 역대지리지운편금석 : (1)1837년에 중국 청나라 이조락(李兆洛)이 편찬한 중국 역사 지명의 사서(史書). 역대 정사(正史)의 지리지에 나오는 현(縣) 이상의 지명을 운(韻)에 따라 찾을 수 있도록 배열하고, 각각의 지리지에 기록된 행정상의 소속ㆍ위치가 청나라 때의 어느 곳에 해당되는가를 설명하였다.
  • 금석지계 : (1)쇠나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사귐.
  • 금석지재 : (1)쇠나 돌 따위의 광물성 약재.
  • 백금 석면 : (1)석면을 염화 백금산 용액에 담갔다가 구워 만든 것. 접촉법에 의한 황산 제조의 산화ㆍ환원 촉매나 불을 붙이는 재료로 쓴다.
  • 금석뇌약 : (1)쇠나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약속.
  • 금석사죽 : (1)예전에 쓰던 네 가지의 주요 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종, 경쇠, 현악기류, 관악기류를 이른다.
  • 금석 : (1)오늘 저녁. (2)지금과 옛적을 아울러 이르는 말. (3)쇠붙이와 돌을 아울러 이르는 말. (4)쇠붙이와 돌이라는 뜻으로, 매우 굳고 단단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금이 들어 있는 광석. (6)쇠로 만든 종이나 돌로 만든 비석 따위에 새겨진 글자. 고대의 역사나 문화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7)‘홍영식’의 호.
  • 대동금석 : (1)조선 중기에 서화가 이우(李俁)가 신라 진흥왕 순수비로부터 조선 선조 때까지의 갖가지 금석문의 탁본을 모아 엮은 책. 정편(正編) 5책, 속편 2책의 7책으로 황초령비, 김인문 묘비, 분황사비 등의 탁본이 실려 있다.
  • 금석 : (1)쇠나 돌 따위의 광물성 약재.
  • 금석 문자 : (1)쇠로 만든 종이나 돌로 만든 비석 따위에 새겨진 글자. 고대의 역사나 문화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 금석과안록 : (1)조선 후기에 김정희가 쓴 금석문 연구서. 신라 진흥왕의 북한산 순수비와 황초령 순수비의 비문을 판독ㆍ해설ㆍ고증하였다. 1책.
  • 금석지문 : (1)‘금석 문자’의 북한어.
  • 금석지교 : (1)쇠나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사귐.
  • 금석지감 : (1)지금과 옛날의 차이가 너무 심하여 생기는 느낌.
  • 대동금석 : (1)조선 중기에 서화가 이우(李俁)가 신라 진흥왕 순수비로부터 조선 선조 때까지의 갖가지 금석문의 탁본을 모아 엮은 책. 정편(正編) 5책, 속편 2책의 7책으로 황초령비, 김인문 묘비, 분황사비 등의 탁본이 실려 있다.
  • 금석 : (1)조선 정조 13년(1789)에 이의봉이 엮은 사전. 우리말을 비롯하여 중국, 베트남, 일본, 여진, 미얀마 등의 말과 1,500여 종의 문헌에서 뽑은 신라ㆍ고려의 이두에 주석을 달았다. 40권의 사본(寫本).
  • 금석지언 : (1)교훈이 될 수 있는 귀중한 말.
  • 금석 : (1)훌륭한 시문(詩文)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금석맹약 : (1)쇠나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약속.
  • 금석지전 : (1)쇠나 돌처럼 변함없는 가치를 지닌 법전(法典).
  • 금석 : (1)중국 청나라 때에 금석문의 고증을 주로 한 학파.
  • 금석 : (1)종이나 경쇠 따위를 사용하는 음악의 울림. (2)아름다운 음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금석 : (1)조선 영조 때에, 김재로가 고려ㆍ조선 시대의 금석문 탁본을 수집하여 엮은 책. 본래는 원편 226책, 속편 20책이었으나 오늘날은 39책 164종의 탁본만 전한다.
  • 금석 : (1)쇠로 만든 종이나 돌로 만든 비석 따위에 새겨진 글자. 고대의 역사나 문화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 금석 : (1)마그네슘 및 철의 함수(含水) 염기성 탄산염으로 이루어진 광물. 육방 정계에 속하며, 황금 모양 또는 그 간색(間色)의 마름모 모양의 결정을 띤다.
  • 금석지약 : (1)쇠나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약속.
  • 금석 : (1)금속과 석재에 새겨진 글을 대상으로 언어와 문자를 연구하는 학문. (2)광물의 물리적ㆍ화학적 성질과 종류, 광물이 이루어지는 원인, 산출되는 상태, 쓰임새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 금석 : (1)운모나 적철석 따위의 아주 작은 결정을 함유한 석영(石英). 노란색, 붉은색, 초록색, 갈색 따위의 색깔을 띠고 매우 반짝인다. 질이 좋은 초록색의 것은 비취와 비슷하여 장식품으로 쓴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201개) : 가사, 가산, 가살, 가삼, 가상, 가새, 가색, 가생, 가서, 가석, 가선, 가설, 가섭, 가성, 가세, 가셜, 가소, 가속, 가손, 가솔, 가송, 가쇄, 가쇠, 가쇼, 가수, 가숙, 가술, 가숨, 가쉐, 가쉬, 가스, 가슬, 가슭, 가슴, 가습, 가승, 가시, 가식, 가신, 가실, 가싥, 가심, 가십, 각사, 각삭, 각산, 각삼, 각삽, 각상, 각색, 각생, 각서, 각석, 각선, 각설, 각성, 각소, 각손, 각쇠, 각수, 각숙, 각순, 각승, 각시, 각신, 각실, 각심, 간사, 간삭, 간산, 간살, 간삼, 간삽, 간상, 간새, 간색, 간서, 간석, 간선, 간섭, 간성, 간세, 간소, 간솔, 간송, 간쇼, 간수, 간순, 간술, 간슈, 간습, 간승, 간시, 간식, 간신, 간심, 간십, 갈사, 갈삭, 갈산 ...

실전 끝말 잇기

금석으로 시작하는 단어 (28개) : 금석, 금석과안록, 금석구, 금석뇌약, 금석록, 금석맹약, 금석문, 금석 문자, 금석 병용기, 금석사죽, 금석상약, 금석성, 금석운, 금석재, 금석제, 금석지, 금석지감, 금석지계, 금석지교, 금석지문, 금석지약, 금석지언, 금석지재, 금석지전, 금석지제, 금석지학, 금석파, 금석학 ...
금석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8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금석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43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