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562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28개 세 글자:206개 네 글자:93개 다섯 글자:52개 여섯 글자 이상:82개 🦢모든 글자: 562개

  • 금수 사조 원 : (1)조선 시대에 왕이나 황태자가 착용하던 보. 발톱이 네 개 달린 용을 금사로 수놓았다.
  • 광양 옥사지 일원 : (1)전라남도 광양시 백계산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절터. 옥룡사는 경문왕 4년(864)에 승려 도선이 세운 절로, 조선 후기에 화재로 폐사되었다. 이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통하여 당시 고승들의 장례 풍습을 알 수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광양 옥룡사지’이다.
  • : (1)중국 동남부 주룽반도의 중심 도시. 홍콩에서 중국 대륙으로 들어가는 교통 요충지로, 상업ㆍ무역 따위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규범 표기는 ‘주룽’이다. (2)공공(共工)의 아들로 치수 및 토지를 잘 다스려 후세에 토지의 신으로 숭배된 중국 전설상의 인물.
  • 약원 : (1)‘용약원’의 북한어.
  • 충주 청사지 보각 국사 탑비 : (1)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청룡사지에 있는 조선 시대의 탑비. 고려 말에서 조선 초의 고승인 보각 국사 혼수(混修)의 것으로, 사각형의 받침돌에 덮개돌이 없는 간략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조선 태조 3년(1394)에 왕명으로 세워졌다. 보물 제658호.
  • 풍호 : (1)구름을 타고 하늘로 오르는 용과 바람을 타고 달리는 범이라는 뜻으로, 의기와 기질이 서로 맞거나 성주(聖主)가 현명한 신하를 얻음을 이르는 말.
  • 천리 : (1)‘천리마’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천리용마’이다.
  • 음령 : (1)고려 시대에, 포구락무 반주 음악으로 쓰던 당악곡(唐樂曲)의 하나. ≪고려사≫ <악지(樂志)>에 전한다.
  • : (1)용이 잔다는 뜻으로, 임금이 잠자는 일을 이르던 말. ⇒남한 규범 표기는 ‘용면’이다.
  • : (1)용반류의 공룡. 몸의 길이는 20~25미터, 몸무게는 32.5톤으로 추정되며, 중생대 쥐라기에 번성하였다. 머리가 작고 몸통은 크며, 꼬리는 끝 쪽에서 회초리처럼 가느다랗게 되어 있다. 물가에서 수생 식물을 먹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육상에서 생활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 폭군 : (1)‘티라노사우루스’를 달리 이르는 말. 성질이 폭군과 같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 : (1)‘용심’의 북한어.
  • 왕경 : (1)조선 시대의 한문 소설. 기생 옥단(玉檀)과 가약을 맺은 주인공 왕경룡이 재물을 탕진하고 기생 어미의 간사한 꾀로 쫓겨나서 온갖 고생을 하다가 암행어사가 되어 옥단과 재회한다는 내용이다.
  • 되롱 : (1)‘도롱뇽’의 옛말.
  • 뿔 공 : (1)뿔이 달린 공룡. 트리케라톱스, 프로토케라톱스 따위이다.
  • 이운 선무공신교서 및 관련 고문서 : (1)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재령 이씨 지암 종중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문적. 선조 37년(1604)에 이운룡에게 내린 상훈 교서와 교지 등 두 점으로, 조선 시대 공신 연구와 임진왜란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보물 제1212호.
  • : (1)장미과에 속하는 귀룽나무의 생약명. 가지를 약용하며 거풍, 진통, 지사의 효능이 있어 요통, 관절통, 설사 따위를 치료하는 데 쓴다.
  • : (1)풍수지리, 역동적이고 풍성한 산세의 형태. 길함을 의미하는 좋은 지형이다.
  • 전적지 : (1)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에 있는 동학 농민군의 전적지. 동학 농민군이 전주성을 점령하는 계기가 된 황룡 전투의 전적지이다. 사적 정식 명칭은 ‘장성 황룡 전적’이다.
  • 중앙 토 : (1)오방 토룡제(五方土龍祭)의 하나. 중앙 토룡단에서 중앙을 맡은 황룡에게 비를 빌던 제사이다.
  • 문단 : (1)용무늬를 놓은 비단.
  • 뇌소합원 : (1)‘사향소합원’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용뇌소합원’이다.
  • 삼조 : (1)왕세손이 가슴과 등에 달던 용보. 세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을 수놓았다.
  • : (1)도롱뇽과의 도롱뇽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도롱뇽’이다.
  • : (1)하늘에 오른 용이라는 뜻으로, 아주 높은 지위를 이르는 말.
  • 문경 김사 영산회 괘불도 : (1)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김용리 김룡사에 있는 괘불도. 숙종 29년(1703)에 수원(守源)을 비롯한 6명의 화원이 제작하였다. 오른손을 내린 석가모니가 중앙에 서 있으며, 이를 둘러싼 수많은 권속들이 배치된 형태이다. 입체감이 있으면서 세밀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보물 제1640호.
  • : (1)국악 가곡 가운데 계면조의 평롱, 계락, 편삭대엽 따위를 노래 없이 향피리를 중심으로 대금ㆍ해금ㆍ장구ㆍ북으로 합주하는 곡.
  • 지기 : (1)용을 잡는 기술이란 뜻으로, 아무리 뛰어나도 실용적 가치가 없는 기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혈수 : (1)‘용혈수’의 북한어.
  • 백자 청화 운문 병 : (1)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 미술관 리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백자 병. 같은 이름이 붙은 백자 청화 운룡문 병과 함께 발견되었고, 몸통 전면에 구름 속에서 여의주를 잡으려는 용을 그려 넣었다. 왕실의 연례용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조선 초기의 전형적인 도자기이다. 보물 제785호. (2)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 미술관 리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백자 병. 같은 이름이 붙은 백자 청화 운룡문 병과 함께 발견되었고, 몸통 전면에 구름 속에서 여의주를 잡으려는 용을 그려 넣었다. 왕실의 연례용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조선 초기의 전형적인 도자기이다. 보물 제786호.
  • 일사 : (1)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거나 뱀이 되어 못 속에 숨는다는 뜻으로, 태평한 시대에는 세상에 나와 일을 하고 난세에는 은거하여 재능을 나타내지 아니하고 시대에 잘 순응함을 이르는 말.
  • 신제 : (1)‘용신제’의 북한어.
  • 독립 : (1)나라의 독립을 위하여 전쟁터에 나선 훌륭한 군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남한 규범 표기는 ‘독립용마’이다.
  • 을 낳고 봉황은 봉황을 낳는다 : (1)근본이 좋은 집안에서 훌륭한 자손이 나온다는 말.
  • 두기와 : (1)‘용두’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용두 기와’이다.
  • 나대홍직금곤 : (1)세종 26년에 명나라 황제에게서 받은 곤룡포. 얇고 성긴 붉은색 비단에 금사로 무늬를 넣었다.
  • 각석 : (1)용을 새겨 놓은 돌. ⇒남한 규범 표기는 ‘용각석’이다.
  • 설란 : (1)‘용설란’의 북한어.
  • : (1)1901년 2월에 우치다 료헤이(内田良平) 등이 일본 도쿄에서 조직한 일본 우익 단체. 한국 병탄에 앞장섰고, 대동아 공영권과 대륙 침략을 주장하였으며, 기관지 ≪흑룡≫을 간행하였다. 1946년에 미국에 의하여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 곽해 : (1)조선 시대의 국문 소설. 중국 원나라를 배경으로, 주인공 곽해룡이 도술로 서번(西蕃)의 침략을 물리치고 승상이 되어 선정을 베푼다는 내용의 군담 소설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북방 토 : (1)조선 시대에, 오방 토룡제(五方土龍祭)를 지내던 제단(祭壇)의 하나. 서울 창의문 밖 여제단(厲祭壇) 옆에 있었다.
  • : (1)‘용규’의 북한어.
  • 유성 : (1)조선 선조 때의 재상(1542~1607). 자는 이견(而見). 호는 서애(西厓). 이황의 문인으로, 대사헌ㆍ경상도 관찰사 등을 거쳐 영의정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과 권율 같은 명장을 천거하였으며, 도학ㆍ문장ㆍ덕행ㆍ서예로 이름을 떨쳤다. 저서에 ≪서애집≫, ≪징비록≫, ≪신종록(愼終錄)≫ 따위가 있다.
  • 틀임 : (1)‘용틀임’의 북한어. (2)‘용틀임’의 북한어.
  • : (1)하늘을 나는 용. (2)지네강의 절지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은 가늘고 길며, 여러 마디로 이루어져 그 마디마다 한 쌍의 발이 있다. 머리에는 한 쌍의 더듬이와 독을 분비하는 큰턱이 있고 눈은 없거나 네 개의 홑눈만을 가지고 있다. 축축한 흙에 살고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데 전 세계에 2000여 종이 분포한다. (3)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장 가운데 제천과 용신. (4)성수(星宿)의 이름. 북두와 직녀의 중간에 있다. (5)도마뱀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8cm, 꼬리의 길이는 4cm 정도이며, 누런 갈색이고 눈과 다리를 거쳐 꼬리에 이르는 어두운 갈색 띠가 있다. 온몸이 비늘로 덮이고 짧은 네발이 있으며 몸 중앙에는 많은 비늘줄이 있다. 긴 꼬리는 위험을 당하면 저절로 끊어졌다가 새로 난다.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공룡. 몸의 길이는 6미터, 몸무게는 1.8톤 정도로 추정된다. 머리, 꼬리, 앞다리는 짧고 등에는 큰 삼각형 모양의 골판이 있으며 꼬리에는 가시가 있다. 초식성이다.
  • 어변성하다 : (1)아주 곤궁하던 사람이 부귀를 누리게 되거나 보잘것없던 사람이 큰 인물이 되다. 물고기가 변하여서 용이 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대기 : (1)임금이 거둥할 때에 행렬의 앞에 세우던 기. 누런 바탕의 기면(旗面)에 용틀임과 운기(雲氣)가 채색되어 있고, 가장자리에 붉은 화염이 그려져 있는 아기(牙旗)이다. 임금이 친열(親閱)할 때는 각 영(營)을 지휘하는 데 썼다.
  • 평상 : (1)‘용평상’의 북한어.
  • 쟁주 : (1)풍수지리설에서, 다섯 용이 여의주를 얻으려고 다투는 형세.
  • 장맹 : (1)중국 북위(北魏) 정광(正光) 3년(522)에 세워진 장맹룡의 비. 비문은 해서로 26행이며, 1행에 46자가 쓰였다. 장맹룡이 조업(祖業)을 계승하여 학교를 세우고 교육을 일으킨 것을 기린 송덕비이다. 가장 유명한 북위의 석각(石刻) 가운데 하나이다.
  • 사 보각 국사 정혜 원융탑비 : (1)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청룡사지에 있는 조선 시대의 탑비. 고려 말에서 조선 초의 고승인 보각 국사 혼수(混修)의 것으로, 사각형의 받침돌에 덮개돌이 없는 간략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조선 태조 3년(1394)에 왕명으로 세워졌다. 보물 정식 명칭은 ‘충주 청룡사지 보각 국사 탑비’이다.
  • : (1)포도과의 낙엽 덩굴나무. 왕머루와 비슷하나 잎 뒷면에 붉은색을 띤 갈색 털이 있으며, 흑자색 열매가 달린다. 울릉도에 분포한다.
  • : (1)평안북도 서남부를 흐르는 강. 적유령산맥에서 시작하여 청천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길이는 119km.
  • : (1)‘용소’의 북한어.
  • : (1)‘용등’의 북한어.
  • : (1)어려운 환경에서 출세한 남자. 속담 ‘개천에서 용 난다’와 ‘남자’를 결합하여 만든 말이다.
  • : (1)참나무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산증(疝症)과 이질 따위를 치료할 때 쓴다.
  • : (1)용문(龍門)에 오른다는 뜻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크게 출세하게 됨. 또는 그 관문을 이르는 말. 잉어가 중국 황허강(黃河江) 상류의 급류인 용문을 오르면 용이 된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등용문’이다. (2)‘등용문’의 북한어.
  • 두회 : (1)‘용두회’의 북한어.
  • : (1)‘용탑’의 북한어.
  • 봉탕 : (1)‘용봉탕’의 북한어.
  • 창녕 관사 대웅전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불전. 앞면 세 칸, 옆면 세 칸으로 되어 있으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안쪽은 우물천장으로 장식하였는데, 불단 위쪽은 한 단을 높인 점이 독특하다. 태종 1년(1401)에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탔고, 광해군 9년(1617)에 고쳐 이듬해에 완성하였다. 보물 제212호.
  • : (1)‘용’의 옛말.
  • 공손 : (1)중국 전국 시대 조(趙)나라의 사상가(B.C.320?~B.C.250?). 자는 자병(子秉). 백마비마론(白馬非馬論)과 견백동이(堅白同異)의 궤변으로 알려져 있다. 저서에 ≪공손룡자≫가 있다.
  • 이반 : (1)중국 명나라의 문인(1514~1570). 자는 우린(于麟). 호는 창명(滄溟). 칠언 근체시에 가장 능하였다. 왕세정과 함께 고문사(古文辭)를 중시하고, 문(文)은 진한(秦漢), 시(詩)는 성당(盛唐)을 주장하였다. ≪당시선≫을 엮었다고 한다. 저서에 ≪고금시산≫, ≪이창명집≫이 있다.
  • : (1)동쪽 방위를 지키는 신령을 상징하는 짐승. 용 모양으로 무덤 속과 관의 왼쪽에 그렸다. (2)푸른색 준마. (3)늙은 소나무. (4)중국 천문학에서 이십팔수 가운데 동쪽의 일곱 별자리를 이르는 말.
  • 유운경 : (1)헤엄치듯 날아가는 구름과 놀란 용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잘 쓴 글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좌청 : (1)풍수지리에서, 주산(主山)의 왼쪽에 있다는 뜻으로 ‘청룡’을 이르는 말.
  • : (1)풍수지리에서, 내룡에서 갈라져 나온 산줄기. (2)빈모강의 환형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작은 종류가 2~3mm, 큰 종류는 2미터 정도이고 긴 원통형으로 가늘며, 많은 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암수한몸으로 재생력이 강하고 흙 속이나 부식토에서 산다. (3)‘지렁이’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고열, 경간, 반신불수, 고혈압 따위에 쓴다.
  • : (1)후삼국 태봉에서, 재정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중앙 관아. 신라 효공왕 8년(904)에 설치하였다.
  • : (1)‘용자’의 북한어. (2)‘용자’의 북한어. (3)‘용자’의 북한어.
  • : (1)‘용제’의 북한어.
  • 부봉 : (1)훌륭한 임금을 좇아서 공명을 세움. 용과 봉은 임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 비봉무 : (1)‘용비봉무’의 북한어.
  • 종봉손 : (1)용의 아들과 봉의 손자라는 뜻으로, 임금의 자손을 이르던 말. ⇒남한 규범 표기는 ‘용종봉손’이다.
  • 담유사 : (1)‘용담유사’의 북한어.
  • : (1)중생대 쥐라기와 백악기에 걸쳐 번성하였던 거대한 파충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가 30미터에 달하는 것도 있고 육상에서 살았다. 화석에 의하여 400여 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2)규모가 매우 큰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대 : (1)중생대 쥐라기에서 백악기에 걸친, 공룡이 번성한 시대.
  • 사 계곡 : (1)강원도 원주시 소초면에 있는 계곡. 치악산 국립 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계곡을 따라 깊은 숲이 울창하게 펼쳐져 있다. 인근에 신라 때 의상 대사가 창건한 구룡사가 있다.
  • : (1)경상북도 경주에 있던 절. 신라 진흥왕 때에 착공하여 선덕 여왕 14년(645)에 완성한 것으로, 신라 호국 신앙의 중심지였다. 고려 고종 때에 몽골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어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 : (1)‘샤오룽빠오’를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 : (1)신라 때에, 내성에 속하여 왕의 근시(近侍) 조직을 통할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애장왕 2년(801) 내성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기구로 만들었다.
  • : (1)고려 시대에,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 일원에 세운 조창. 인근 지역에서 세곡을 거두어 예성강 입구의 경창으로 보냈다.
  • 유성 종가 유물 : (1)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영모각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유물 일괄. 조선 중기의 문신인 유성룡의 종가에 전해 오는 것으로, 유성룡이 직접 사용하던 물건과 어머니에 대한 곤문기(昆文記), 조정에서 유성룡에게 내린 문서 따위이다. 보물 제460호.
  • : (1)중국 청나라의 국기(國旗). 누런 삼각 기폭에 용(龍)을 그렸다. (2)조선 시대에, 임금이 군대를 사열(査閱)할 때 쓰던 기(旗). 황색, 녹색, 미색 따위의 색깔의 기가 쓰였는데, 용을 한 마리 또는 두 마리씩 그렸다.
  • : (1)‘재롱’의 방언
  • : (1)고려 인종 7년(1129)에 건축한 서경(西京) 대화신궁(大花新宮)의 정전(正殿).
  • : (1)‘용봉’의 북한어.
  • 기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 대회 : (1)조선일보사가 주최하는 전국 고교 야구 대회. 1946년에 자유신문사 주최로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 대회라는 이름으로 처음 열렸으며, 8회부터는 조선일보사가 주최하면서 청룡기 대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 다두 : (1)수미산(須彌山)에 산다는, 몸 하나에 아홉 개의 머리가 달린 용.
  • 담천조 : (1)천상(天象)을 이야기하고 용을 조각한다는 뜻으로, 변론의 규모가 크고 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 시대 제(齊)나라의 추연(騶衍)과 추석(騶奭)의 고사에서 유래한다.
  • : (1)미나리에 붙은 도롱뇽의 알을 먹어서 얼굴이 누레지거나 푸르러지며 배가 부어오르는 병.
  • 유운 : (1)조선 선조 때의 목사(牧使)(1539~1601). 자는 응견(應見). 호는 겸암(謙庵). 유성룡의 형으로, 선조 5년(1572)에 전함사 별좌를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사복시 첨정을 거쳐 풍기 군수ㆍ원주 목사를 지냈다. 저서에 ≪경암집≫ 따위가 있다.
  • : (1)간단하게 그리거나 새긴 용의 형상.
  • : (1)‘용미’의 북한어.
  • 봉시전지 : (1)‘용봉 시전지’의 북한어.
  • : (1)함경남도 장진군에 있는 산. 높이는 1,371미터.
  • : (1)용의 모양을 틀어 새긴 장식. (2)상상 속에 등장하는 동물의 하나. 모양이 뱀과 같고 몸의 길이가 한 길이 넘으며 넓적한 네발이 있고, 가슴은 붉고 등에는 푸른 무늬가 있으며 옆구리와 배는 비단처럼 부드럽고 눈썹으로 교미하여 알을 낳는다고 한다. (3)때를 못 만나 뜻을 이루지 못한 영웅호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임금이 입던 정복. 누런빛이나 붉은빛의 비단으로 지었으며, 가슴과 등과 어깨에 용의 무늬를 수놓았다.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4개) : 라, 락, 란, 랄, 람, 랍, 랑, 래, 랙, 랜, 램, 랩, 랬, 랭, 랴, 략, 량, 러, 럭, 런, 럼, 레, 렌, 렘, 렙, 렛, 려, 력, 련, 렴, 령, 례, 로, 록, 론, 롤, 롬, 롱, 롸, 뢰, 룀, 료, 룡, 루, 룩, 룬, 룰, 룸, 룹, 류, 륙, 륜, 률, 르, 륵, 를, 릉, 리, 릭, 린, 릴, 림, 립, 링

실전 끝말 잇기

룡으로 시작하는 단어 (149개) : 룡, 룡가, 룡가봉생, 룡각석, 룡갈기, 룡강기나리, 룡강올보리, 룡거, 룡고, 룡고기, 룡골, 룡골꼬마수레벌레, 룡골돌기, 룡골버들잎벌, 룡교의, 룡궁, 룡궁당, 룡권, 룡규, 룡기, 룡꿈, 룡날, 룡녀, 룡뇌, 룡뇌나무, 룡뇌소합원, 룡뇌향, 룡다리, 룡담, 룡담건위산 ...
룡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4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룡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562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