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금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35개

두 글자:1개 세 글자:8개 네 글자:2개 다섯 글자:3개 여섯 글자 이상:21개 🎁모든 글자: 35개

  • 리금 : (1)‘까닭’의 방언
  • 리금 : (1)원금과 이자를 합친 돈.
  • 복수 만기형 원리금 이체 채권 : (1)원리금 이체 채권과 마찬가지로 저당 대출이나 자동 이체식 증권을 담보로 하여 발행되는 채권. 이자가 매월 지급되나 채권 매입 시 만기가 복수로 지정되어 있다.
  •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 (1)낙랑 시대에 금으로 만든 교구. 평안남도 대동군 대동강 변 석암리 9호분에서 출토되었다. 금 세공술이 매우 뛰어나고 일곱 마리 용의 배치도 매우 세련된 작품이다. 길이는 9.4cm, 너비는 6.4cm. 국보 제89호.
  • 가계 원리금 : (1)경제 주체로서 가계가 대출한 돈의 원금과 이자.
  • 총부채 원리금 상환 비율 : (1)연간 소득에서 각종 금융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 주택 대출 원리금 외에 신용 대출, 학자금 대출, 장기 카드 대출 따위를 모두 더한 총부채 상환 비율이어서 대출 심사 시 총부채 상환 비율로 심사했을 때보다 대출 한도가 축소된다.
  • 리금 : (1)토지 또는 건물의 임대차에 부수해서 그 부동산이 가지는 특수한 장소적 이익의 대가로서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지급하는 금전.
  • 리금 : (1)단청에서, 고리 모양이 이어진 무늬.
  • 리금 : (1)다른 물질과 결합하고 있지 아니한, 유리 상태의 금.
  • 리금 : (1)‘이금’의 북한어.
  • 삼천리금수강산 : (1)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리금 이체 증권 : (1)저당 대출 담보부 채권과 자동 이체식 증권의 성질을 결합한 채권. 저당 대출을 담보로 하여 발행 기관의 부채로 처리되는 점은 저당 대출 담보부 채권과 비슷하고, 담보로부터 발생되는 현금 흐름이 원리금 이체 채권에 대한 현금 흐름과 연결되는 점에서는 자동 이체식 증권과 비슷하다.
  • 군수리 금동 미륵보살 입상 : (1)1936년에 충청남도 부여군 군수리의 백제 절터에서 발굴된 금동 불상. 화려하게 장식된 관(冠)을 쓰고 있으며, 넓은 얼굴과 풍만한 미소를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6세기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부여 군수리 금동 보살 입상’이다.
  • 리금 : (1)조선 시대에, 정이품과 종이품 벼슬아치의 관모에 붙이던 금관자(金貫子). 종이품일 때는 조각이 있는 것을 붙이다가 정이품으로 승격하면 조각이 없는 것을 붙였다.
  • 긴꼬리금붕어 : (1)금붕어의 하나. 몸은 붕어보다 작고 둥그스름하며, 지느러미가 크고 긴데 특히 꼬리지느러미가 길고 넓적하다.
  • 할로겐화 알칼리 금속 : (1)알칼리 금속과 할로겐 원소로 이루어진 비유기 화합물. 화학식은 MX의 형태를 가지며, 이때 M은 알칼리 금속, X는 할로겐 원소를 뜻한다. 주로 면심입방 구조를 갖는다.
  • 부여 군수리 금동 보살 입상 : (1)1936년에 충청남도 부여군 군수리의 백제 절터에서 발굴된 금동 불상. 화려하게 장식된 관(冠)을 쓰고 있으며, 넓은 얼굴과 풍만한 미소를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6세기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330호.
  • 평양 석암리 금제 교구 : (1)낙랑 시대에 금으로 만든 교구. 평안남도 대동군 대동강 변 석암리 9호분에서 출토되었다. 금 세공술이 매우 뛰어나고 일곱 마리 용의 배치도 매우 세련된 작품이다. 길이는 9.4cm, 너비는 6.4cm. 국보 정식 명칭은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이다.
  • 파리 금융 선물 거래소 : (1)프랑스가 자본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진흥 정책의 하나로 1986년 2월에 설립한 금융 선물 거래소.
  • 나비꼬리금붕어 : (1)붕어의 하나. 머리와 몸통은 붕어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꼬리지느러미가 짧고 여러 갈래로 되어 있어서 나비가 앉은 것처럼 보인다. 몸의 빛깔은 붉은색, 흰색, 붉은색과 흰색이 섞인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 파리 금융 시장 : (1)프랑스의 파리에 형성된 금융 시장. 정부계 금융 기관과 농업 신용 금고 등 특수 은행의 비중이 크고 보통 은행 중에서는 3대 국립 은행이 예금 총액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등 과점적 성격이 강하다. 금리의 시장 기능도 원활히 작동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유로화 거래 규모 면에서 런던 금융 시장 다음의 큰 시장으로 발전하고 있다.
  • 알칼리 금속 : (1)주기율표 ⅠA족에 속하는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프랑슘의 여섯 원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은백색의 금속으로 공기 속에서 쉽게 산화되며, 전기와 열을 잘 전도한다. 상온에서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킨다.
  • 고리 금지법 : (1)고리를 금지하는 법. 우리나라의 이자 제한법 따위이다.
  • 리금강앵무 : (1)앵무새의 하나. 앵무새 가운데 큰 종류이며 둔하게 생겼다. 등에는 푸른 바탕에 연한 검은색 줄무늬가 있고 배는 누렇다.
  • 흙알카리금 : (1)‘알칼리 토금속’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흙 알칼리 금속’이다.
  • 저리 금융 : (1)가격을 인하하는 대신 고객들에게 낮은 금리를 제공하는 금융.
  • 리금 : (1)시설이나 물건을 유지하고 개량하는 일 따위를 맡는 대가로 치르는 돈.
  • 리금 : (1)경기 따위에서 승리하였을 때 받는 돈.
  • 리금 : (1)‘가르마’의 방언
  • 외채 원리금 상환 부담률 : (1)연간 총수출액에 대한 연간 대외 채무 상환액의 비율. 수출로 벌어들인 외화 가운데 얼마를 외채 상환액으로 지불하는지를 나타낸 것인데, 세계은행이 한 나라가 지고 있는 외채의 정도를 판단할 때 기준으로 삼는 지표가 된다.
  • 양평 신화리 금동 여래 입상 : (1)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신화리 폐사지(廢寺址)에서 발견된, 삼국 시대의 불상. 높이는 30cm이고, 보존 상태가 매우 좋아 도금이 거의 완전하게 남아 있다. 묵직하고 단순한 원통형의 몸체와 간결한 주름은 중국 수나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신라의 것으로 추정된다. 국보 제186호.
  • 나주 신촌리 금동관 : (1)5세기 무렵에 삼국 시대 지방 호족의 무덤으로 보이는 나주 신촌리 제9호분에서 출토된 금동관. 높이는 25.5cm. 국보 제295호.
  • 부여 규암리 금동 관음보살 입상 : (1)삼국 시대 말기의 보살상. 1970년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나온 것으로, 겹꽃잎으로 된 둥근 연화 대좌 위에 똑바로 선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 보살상에서 표현된 ‘X’ 자 모양으로 길게 늘어진 구슬 장식은 7세기에 들어와서 유행한 삼국 시대 보살상 표현의 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국보 제293호.
  • 큰머리금파리 : (1)금파릿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1~1.1cm이며, 몸빛은 푸른색이고 얼굴은 감색이다. 애벌레의 몸의 길이는 1.4~1.8cm이고 흰색이다. 변소, 짐승 우리, 오물이 쌓인 곳 등지에 살면서 전염병을 옮긴다.
  • 리금 이체 채권 : (1)저당 대출 담보부 채권과 자동 이체식 증권의 특징을 혼합한 채권. 발행 기관은 모저당 혹은 자동 이체식 증권을 담보로 보유하고 투자자는 원리금 수취에 따른 지분권을 가지게 된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348개) : 라가, 라각, 라건, 라계, 라고, 라곤, 라구, 라군, 라귀, 락가, 락각, 락간, 락경, 락계, 락공, 락과, 락관, 락광, 락구, 락권, 락귀, 락규, 란가, 란각, 란간, 란개, 란객, 란계, 란공, 란관, 란교, 란국, 란군, 람기, 랑간, 랑객, 랑거, 랑게, 랑관, 랑군, 랑그, 래객, 래공, 래그, 래깅, 랩각, 랩곡, 랭각, 랭간, 랭감, 랭거, 랭골, 랭광, 랭국, 랭군, 랭기, 략기, 량가, 량각, 량간, 량감, 량강, 량견, 량계, 량고, 량곡, 량공, 량관, 량교, 량구, 량국, 량군, 량궁, 량권, 량극, 량금, 량기, 러거, 러그, 런가, 런고, 레거, 레게, 레공, 레그, 레기, 렌가, 려가, 려각, 려객, 려계, 려고, 려과, 려곽, 려관, 려괘, 려구, 려권, 려귀, 려기 ...

실전 끝말 잇기

리금으로 시작하는 단어 (1개) : 리금 ...
리금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리금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3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