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13개

두 글자:1개 세 글자:19개 네 글자:18개 다섯 글자:16개 여섯 글자 이상:59개 🦄모든 글자: 113개

  • 운강선생유고 : (1)조선 후기에, 정미의병을 이끈 의병장 이강년의 시문집. 이강년의 학문과 사상을 알 수 있으며, 의병 활동과 의병들의 교류 활동에 관한 사료로서도 가치가 높다. 3권 3책의 필사본.
  • 주역선생 : (1)주역의 원리에 따라 길흉화복을 점치는 사람. (2)점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겸암선생문집 : (1)조선 중기의 문신 유운룡의 시문집. 1743년에 그의 후손이 간행하였으며, 시(詩)와 서(書)의 행장, 묘갈명, 묘지, 제문 따위가 실려 있다. 당시 정치 상황뿐만 아니라 과학 기술이나 향촌 사회 질서를 엿볼 수 있는 내용이 실려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8권 4책의 목판본.
  • 방사선 생태학 : (1)방사선과 방사성 물질이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생태학의 한 분야이다.
  • 관란선생유고 : (1)조선 시대 생육신 중의 한 명인 관란 원호가 쓴 글을 모아 엮은 책. 1813년에 후손인 원석조(元錫祚)는 원호가 남긴 글을 모아 펴냈다. 수양 대군의 횡포에 대한 탄식과 사육신에 대한 그리움을 쓴 글 등이 수록되어 있다. 4권 1책.
  • 선생유묵 : (1)조선 정조 16년(1792)에, 윤사국(尹師國)이 사육신의 단편적인 유묵을 모아 엮은 책. 1책.
  • 미군 방사선 생물학 연구소 : (1)핵무기 및 방사능 관련 사고 대응에 있어서 부대 지휘관들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미군 연구소. 연구소 근무자들은 위기 관리 자문단의 일원이며 보건 물리학, 방사선 의학, 현장 치료 따위와 같은 분야의 전문 지식을 제공한다.
  • 검간선생문집 : (1)조선 중기의 문신인 조정(趙靖)의 시문집.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면서 경험한 일을 기록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4권 4책.
  • 선생 : (1)예전에, 그 고을 원으로 있었던 사람을 이르던 말.
  • 담임 선생 : (1)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따위에서 한 반의 학생을 전적으로 책임지고 맡아 지도하는 교사.
  • 선생 : (1)‘선생’을 높여 이르는 말. (2)‘선생’을 높여 이르는 말. (3)나이가 어지간히 든 사람을 대접하여 이르는 말.
  • 간옹선생문집 : (1)조선 후기에 이헌경(李獻慶)이 쓴 시문집. 권두에 1797년에 정범조(丁範祖)가 쓴 서문이 실려 있으며, 권별로 목록이 붙어 있다. 시와 소(疏), 변려문, 상량문 따위의 이헌경의 글이 실려 있다. 본집은 원집 23권, 부록 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24권 12책.
  • 간송선생문집 : (1)조선 후기에 조임도(趙任道)가 쓴 시문집. 시무책과 개혁책을 논한 상소문이 실려 있으며, 선비와 현자의 나아갈 길에 대한 논설을 싣고 있다. 본집 5권과 별집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7권 4책의 목판본.
  • 득우정선생실기 : (1)조선 중기의 문인 득우정 이용징(李龍徵)이 쓴 시문집. 이용징이 남긴 글과 행장(行狀) 따위가 수록되어 있다. 3권 1책의 필사본.
  • 야은선생언행습유 : (1)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의 학자 길재의 문집. 조선 태종 때 박서생(朴瑞生)이 편찬한 ≪야은언행록≫을 비롯하여 선조 6년(1573)에 간행한 ≪야은행록≫, 광해군 7년(1615)에 다시 보충한 ≪야은언행습유≫, 철종 9년(1858)에 간행한 ≪야은속집≫ 따위가 있다. 6권 2책.
  • 족집게 선생 : (1)수험생들을 상대로 족집게 과외를 하는 사람.
  • 선생 : (1)한 집의 아이만을 맡아서 가르치는 선생.
  • 선생 : (1)그 지방에서 명망이 있는 선비. (2)시골 선비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 선생 : (1)극작가 이광래가 지은 희곡. 1936년 신춘문예 당선작이다. 일제의 토지 조사 사업 따위로 몰락해 가는 한 마을을 배경으로, 신식 교육을 받은 청년의 이상과 좌절을 그리고 있다.
  • 전봉준 선생 고택지 : (1)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에 있는, 전봉준이 살던 집. 조선 고종 15년(1878)에 지어졌으며, 앞면 네 칸, 옆면 한 칸으로 된 남향의 초가집이다. 사적 정식 명칭은 ‘정읍 전봉준 유적’이다.
  • 눌재선생 : (1)조선 중종 때의 문장가인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문집(文集). 원집(原集), 속집(續集), 별집(別集), 부록(附錄), 부집(附集) 따위가 있다. 16권 6책.
  • 곡선 생성기 : (1)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서 전달된 명령어에 따라 곡선을 코드화하고 표시 가능한 형상으로 변환하는 장치.
  • 선생 : (1)‘술’을 의인화하여 높여 이르는 말.
  • 선생을 앉히다 : (1)집에 독선생을 두다.
  • 간재선생문집 : (1)조선 중기에 최연(崔演)이 쓴 시문집. 많은 부분이 일실되어 일부만이 전한다. 최연이 평소에 회포를 읊은 시를 수록했으며, 동지상사로 임명되어 연경(燕京)을 다녀오면서 명승고적과 그때의 감회를 적고 있다. 12권 6책의 목활자본. (2)조선 중기에 이덕홍이 쓴 시문집. 왜적에 대한 방어책과 생활 태도에 대한 신념을 적고 있다. 본집 7권 4책, 속집 5권 3책과 필사본 9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12권 16책. (3)조선 말기에 전우가 쓴 시문집. 구한말 성리학자로서 자신의 도학적 관념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목록 1책, 원집 43권 21책, 속편 16권 8책과 별집 15권 8책, 총 74권 38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 선생유고 : (1)조선 세종 때의 학자 박팽년의 시문집. 시 28수, 부(賦) 1편, 전(箋) 1편, 유묵 따위가 실려 있다. 1권 1책의 목판본.
  • 선생 : (1)두레를 낼 때에, 농기(農旗)를 만드는 데서 연대가 가장 오래된 깃발.
  • 단임선생 : (1)‘담임 선생’의 방언
  • 도은선생 : (1)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계명 대학교 성서 캠퍼스에 소장된 조선 시대 시문집. 고려 말기의 학자인 도은 이숭인의 시문집을 태종의 명으로 변계량이 편집하고 권근이 서문을 지어 간행한 것이다. 조선 시대에 왕명으로 간행한 첫 번째 문집이다. 보물 제1465호.
  • 감수재선생문집 : (1)조선 중기에 박여량(朴汝樑)이 쓴 시문집. 책머리에 정연시(鄭然時)가 지은 서(序)와 목록이 있다. 박여량의 시(詩)와 부(賦), 잡저 등 자유롭게 읊은 글이 실려 있다. 8권 5책.
  • 선생님 앞에서 책장 번진다 : (1)‘부처님한테 설법’의 북한 속담.
  • 선생 : (1)닥나무 선생이라는 뜻으로, ‘종이’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한유(韓愈)가 <모영전(毛穎傳)>에서 종이를 의인화하여 부른 데서 유래한다.
  • 옥당선생 : (1)조선 시대에, 홍문관의 벼슬을 맡았던 벼슬아치들의 성명ㆍ재임 기간 따위를 기록한 책. 3책의 필사본.
  • 선생물적 합성 : (1)생명이 만들어지기 이전 시기에 생성된 물질들의 화학적인 합성 과정.
  • 담임 선생 : (1)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따위에서 한 반의 학생을 전적으로 책임지고 맡아 지도하는 교사.
  • 난계선생유고 : (1)박연의 글을 모아서 엮은 시문집. 음악에 관한 상소 39편이 들어 있어 조선 전기의 음악에 관한 중요한 자료이다. 1권 1책.
  • 선생유고 : (1)조선 효종 9년(1658)에 박팽년의 후손인 박숭고가 편집한 사육신의 시문집. 1권에는 박팽년의 시, 2권에는 성삼문의 시, 3권에는 나머지 사육신의 작품이 실려 있다. 3권 3책.
  • 선생무당 : (1)예전에, 무당들의 우두머리를 이르던 말.
  • 탄천선생유고 : (1)고려 말ㆍ조선 초의 문신 이지직이 쓴 시문집. 이지직이 관동 안찰사로 있을 때 쓴 시, 친구에 대한 그리움을 쓴 시 따위가 수록되어 있다. 1권 1책의 목활자본.
  • 오류선생 : (1)중국 진(晉)나라의 도연명이 그의 집에 버드나무 다섯 그루를 심어 놓고 스스로 이르던 호(號).
  • 죽곡선생유고 : (1)조선 중기의 학자인 정흔(鄭昕)이 지은 시문집. 시(詩), 서(書), 찬(贊) 따위가 수록되어 있다. 그중 임진왜란 때 곽재우 등이 국난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사실을 치하하는 내용이 있어 주목된다.
  • 경와선생문집 : (1)조선 중기의 문인 김휴의 시문집. 시 578수, 소사(小詞) 21수, 서(書) 12편 따위가 수록되어 있으며, 인간의 품성에 대하여 철학적으로 고찰한 내용 따위를 담고 있다. 8권 4책의 목판본.
  • 은대선생 : (1)조선 승정원 승지의 인명록. 개국 초부터 고종 31년(1894)까지 취임하였던 승지의 성명을 기록하였다. 5책의 사본(寫本).
  • 갈암선생문집 : (1)조선 후기에 이현일이 쓴 시문집. 그의 교우와 고적(古跡)이나 역사, 도학 따위에 대하여 읊은 시가 많다. 원집 29권, 별집 6권, 부록 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40권 21책.
  • 예덕선생 : (1)조선 후기의 실학자 연암 박지원이 지은 한문 단편 소설. 똥을 져 나르는 것을 업으로 삼는 엄행수(嚴行首)라는 인물을 통하여 무위도식하면서 허욕에 찬 양반과 관리들의 위선적 생활을 비판하였다.
  • 백결 선생 : (1)신라 자비왕 때의 거문고의 명인(?~?). 평생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 예술에 전념하였으며, 빈처(貧妻)를 위하여 <대악(碓樂)>이라는 곡조를 남겼다.
  • 경재선생문집 : (1)조선 초기의 문신 하연의 시문집. 시(詩), 소, 서(序) 따위를 수록하고 있다. 5권 3책의 목판본.
  • 가정 사선생 : (1)명나라 말기에 강소 가정(嘉定) 지방에서 활동한 네 명의 시인을 이르는 말. 당시승(唐詩升), 누견(婁堅), 정가수(程嘉燧), 이유방으로, 전후칠자의 극단적인 복고와 모방의 태도를 비판하고 청신자연한 풍격의 시를 주로 썼다.
  • 지도 선생 : (1)의학 혹은 간호학에서, 임상 실습 경험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거나 지도하는 전문가.
  • 선생기생 : (1)예전에, 기생 집단의 우두머리를 이르던 말.
  • 오유선생 : (1)세상에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처럼 꾸며 낸 인물.
  • 컴컴하고 욕심 많기는 회덕(懷德) 선생이라 : (1)회덕에서 살았던 송시열이 욕심이 많았다는 데서, 겉으로는 점잖은 체하나 속마음은 엉큼하고 욕심 많은 사람을 이르는 말. 송시열을 중상하려는 사람들이 만들어 낸 말이다.
  • 교감 선생 : (1)학교장을 도와서 학교의 일을 관리하거나 수행하는 교사.
  • 선생 : (1)여자 선생.
  • 사복시선생 : (1)조선 선조 1년(1568)부터 순조 29년(1829)까지 사복시에서 일했던 벼슬아치들의 이름과 재임 기간 따위를 적은 책. 3책.
  • 율곡 선생 남매 분재기 : (1)서울특별시 광진구 건국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문서. 조선 중기의 문신인 율곡 이이의 형제ㆍ자매들이 부모가 죽은 뒤 재산 상속 문제를 합의하여 적은 것이다. 조선 명종 21년(1566)에 작성된 것으로, 조선 전기의 재상 상속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이이 남매 화회 문기’이다.
  • 상산선생전집 : (1)1561년에 중국 송대의 유학자로서 주자학에 대항한 육왕학(陸王學)을 제창한 육구연의 36권의 문집. 상산(象山)의 사상과 당시의 사회를 파악하는 자료가 되고 있다.
  • 선생 : (1)‘여선생’의 북한어.
  • 폐호선생 : (1)집 안에 틀어박혀 독서만 하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이유태선생유고 : (1)조선 중기의 문신 이유태가 쓴 책. 상소(上疏), 초려시필(草廬時筆), 정훈(庭訓) 등 2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302호.
  • 방사선 생화학 : (1)방사선에 대한 생물체의 반응을 연구하는 학문. 생물체에 대한 방사선의 영향을 다룬다.
  • 겸재선생문집 : (1)조선 중기의 학자인 하홍도(河弘度)의 시문집. 시(詩)와 부(賦) 따위가 실려 있다. 하홍도는 남명 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지만, 병란에 많은 글이 소실되고 제목만 전하는 글이 많다. 12권 6책.
  • 단계선생일기 : (1)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인섭(金麟燮)의 일기. 23세가 되던 헌종 5년(1839)부터 사망할 때까지 53년 동안 쓴 것으로, 조선 후기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필사본 29책.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207호.
  • 선생왕복서 : (1)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황과 기대승이 주고받은 서간집. 광해군 6년(1614)에 기대승의 아들인 기효증(奇孝曾)이 간행하여 고봉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황과 기대승의 사상과 교유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 교장 선생 : (1)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으뜸 직위 교사.
  • 선생 : (1)글과 지식을 먼저 습득하여 교사를 대신하여 학우를 가르치는 학생.
  • 계은선생유고 : (1)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정립의 시문집. 책머리에 이항복의 서문과 책 끝에 이광좌의 발문이 있다. 전 가운데 정여립(鄭汝立)의 난과 관련한 내용이 있어 주목된다.
  • 각재선생문집 : (1)조선 중기에 하항(河沆)이 쓴 시문집. 순조 13년(1813)에 후손인 하경현(河景賢)이 편집하여 간행하였고, 후손 하수진(河壽鎭)이 자신의 발문을 붙여 1940년에 서울 한성서관(漢城書館)에서 2권 1책의 석인본으로 간행하였다. 3권 1책.
  • 선생 : (1)남자 선생.
  • 선생질하다 : (1)(낮잡는 뜻으로) 학생을 가르치다.
  • 산명 선생 : (1)운명과 재수의 좋고 나쁨을 점치는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 (1)조선 태종이 왕위에 있는 동안에 간행된 중국 북조 시대의 역사책.
  • 계당선생문집 : (1)조선 후기의 문인 유주목(柳疇睦)의 시문집. 전주 대학교 도서관과 현곡 서원(玄谷書院) 등에 소장되어 있다. 그는 영남 성리학의 계통을 잇고 있으며, 시문에도 성리학의 철학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16권 8책.
  • 새끼 선생 : (1)가르치는 일을 갓 시작한 선생.
  • 황계관선생 : (1)맹인이 모시는 수호신의 하나. 점을 치는 맹인의 선각자로 일컬어진다.
  • 선생 : (1)‘노선생’의 북한어. (2)‘노선생’의 북한어.
  • 선생 : (1)‘도둑’을 익살스럽게 이르는 말.
  • 선생유서 : (1)이황의 ≪성학십도≫, 성혼의 ≪위학지방(爲學之方)≫, 이이의 ≪격몽요결≫을 합쳐서 엮은 책. 조선 숙종 11년(1685)에 박세채가 편찬하고 심수량(沈壽亮)이 간행하였다. 3권 1책.
  • 동홍선생 : (1)겨울철에 방 안에 앉아서 불만 쬐고 있는 훈장이라는 뜻으로, 학문에만 열중하여 세상 물정에 어두운 사람을 이르는 말.
  • 룡이 없는 바다에는 메기가 꼬리를 치고 호랑이 없는 산골에는 여우가 선생질을 한다 : (1)‘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왕 노릇 한다’의 북한 속담.
  • 선생 : (1)각 관아에서 전임(前任) 관원의 성명, 직명, 생년월일, 본적 따위를 기록한 책.
  • 건재선생문집 : (1)조선 중기의 문신 김천일이 쓴 시문집. 성혼, 권율 등과 주고받은 편지가 실려 있고, 임진왜란 당시의 통수 체계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는 등 사료적 가치가 높다. 11권 2책의 목활자본.
  • 선생 : (1)학생을 가르치는 직위 또는 직무.
  • 선생 : (1)나이 많고 지위 높은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2)철, 칼슘, 마그네슘과 약간의 카드뮴 따위를 함유한 광석. 본디 흰색의 장방형 또는 육면형을 이룬 것으로 한방에서 안약으로 쓴다.
  • 선생 : (1)학생을 가르치는 일을 낮잡아 이르는 말.
  • 물선 생리계 : (1)왕이나 왕족의 생일에 식료품과 배 따위를 공물로 바치던 계.
  • 고봉선생논사록 : (1)조선 시대에, 기대승이 경연(經筵)에서 왕에게 계주(啓奏)한 말을 모아 엮은 책. 2권 2책.
  • 선생의 똥은 개도 안 먹는다 : (1)선생 노릇 하기가 무척 어렵고 힘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초학 훈장의 똥은 개도 안 먹는다’
  • 경암선생유고 : (1)조선 후기의 문신 윤동수(尹東洙)의 시문집. 시 138수와 소 20편 따위가 실려 있다. 12권 6책의 목활자본.
  • 방사선 생물학 : (1)방사선과 방사성 물질이 생명 현상에 미치는 영향과 그 체제를 연구하는 학문.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 고산선생문집 : (1)조선 중기의 문신 이유장(李惟樟)의 시문집. 원집 8권, 부록 2권이 포함된 목판본 문집이다. 10권 5책. (2)조선 후기의 문신 임헌회의 시문집. 원집과 속집을 합하여 13책이다.
  • 경암선생문집 : (1)조선 중기의 문신 노경임(盧景任)의 시문집. 정조 8년(1784)에 간행되었다. 사, 서(書) 따위가 수록되어 있으며, 노경임의 뛰어난 문재가 잘 드러나 있다. 7권 3책의 목판본.
  • 선생 : (1)고려 고종 때에 이규보가 지은 가전체 작품. 등장인물의 이름과 지명을 모두 술 또는 누룩에 관련된 한자를 써서 지었으며, 당시의 문란한 사회상을 풍자하였다.
  • 강좌선생문집 : (1)조선 중기에 권만(權萬)이 쓴 시문집. 총목(總目)이 없으며, 권두에 정범조(丁範祖)가 쓴 서문이 있다. 권신도(權信度)가 편찬하였으며, 권만이 활동했던 조선 중기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사료이다. 10권 5책의 목활자본.
  • 퇴계선생권선시가 : (1)조선 중기에 지어졌다고 추정되는 가사(歌辭). 착한 일을 권장하는 내용으로, 윤리와 도덕을 후학(後學)에게 일깨우고자 한 작품이다. 작가는 조식이라고 기록된 사본과 이황이라고 기록된 사본이 있어 분명하지 않다.
  • 직선 생장 시험 : (1)옥신을 측정하는 생물 검정법의 하나. 옥신이 포함된 완충 용액에 귀리의 자엽초 절편을 띄워 놓고 자엽초 절편의 신장(伸張) 정도를 측정, 비교하여 옥신의 존재 여부와 양을 측정한다.
  • 선생 : (1)조선 시대에, 전임 관찰사(觀察使)를 위하여 준비한 말.
  • 곽각선생 : (1)점을 치는 맹인(盲人)들이 모시는 수호신의 하나.
  • 가휴선생문집 : (1)조선 중기에 조익(趙翊)이 쓴 시문집.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피난을 가고 의병 활동을 하면서 쓴 시와, 진주겸하지사(陳奏兼賀至使) 서장관으로 중국에 다녀온 글 따위가 실려 있다. 10권 5책.
  • 고운선생문집 : (1)신라 후기의 학자 최치원의 시문집.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헌강왕에게 올린 원본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최치원의 시문 상당수는 빠져 있다. 지금 전하는 문집은 1926년 최치원의 후손인 최국술(崔國述) 금석문과 여러 책에 남아 있는 최치원의 문장을 한데 모은 것에 불과하다.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35개) : 사사, 사산, 사살, 사삼, 사삽, 사상, 사색, 사생, 사서, 사석, 사선, 사설, 사성, 사세, 사셈, 사셍, 사소, 사속, 사손, 사송, 사수, 사숙, 사순, 사술, 사숨, 사스, 사슬, 사슴, 사습, 사승, 사시, 사식, 사신, 사실, 사심, 사십, 삭사, 삭삭, 삭삼, 삭서, 삭선, 삭설, 삭수, 삭시, 삭신, 삯소, 산사, 산삭, 산산, 산삼, 산상, 산새, 산색, 산샘, 산생, 산서, 산석, 산선, 산설, 산성, 산세, 산소, 산속, 산송, 산수, 산숙, 산술, 산슨, 산승, 산시, 산식, 산신, 산실, 산심, 산십, 살사, 살산, 살살, 살상, 살색, 살생, 살서, 살성, 살소, 살속, 살손, 살수, 살신, 살심, 삼사, 삼산, 삼살, 삼삼, 삼상, 삼색, 삼생, 삼서, 삼석, 삼선, 삼설 ...

실전 끝말 잇기

선생으로 시작하는 단어 (13개) : 선생, 선생기, 선생기생, 선생님, 선생님 앞에서 책장 번진다, 선생마, 선생무당, 선생물적 합성, 선생안, 선생의 똥은 개도 안 먹는다, 선생직, 선생질, 선생질하다 ...
선생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선생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13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