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를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85개

두 글자:1개 세 글자:5개 네 글자:36개 다섯 글자:15개 여섯 글자 이상:28개 🦄모든 글자: 85개

  • 운강선생유고 : (1)조선 후기에, 정미의병을 이끈 의병장 이강년의 시문집. 이강년의 학문과 사상을 알 수 있으며, 의병 활동과 의병들의 교류 활동에 관한 사료로서도 가치가 높다. 3권 3책의 필사본.
  • 함유 고무 수지 : (1)정유가 적고 고무질을 다량으로 함유한 수지.
  • 대장애물 여유 고도 : (1)어떤 장애물의 높이와 최저 비행 고도 사이의 수직 거리.
  • 관란선생유고 : (1)조선 시대 생육신 중의 한 명인 관란 원호가 쓴 글을 모아 엮은 책. 1813년에 후손인 원석조(元錫祚)는 원호가 남긴 글을 모아 펴냈다. 수양 대군의 횡포에 대한 탄식과 사육신에 대한 그리움을 쓴 글 등이 수록되어 있다. 4권 1책.
  • 가용 외환 보유고 : (1)정부가 가지고 있는 외환 보유액에서 국내 금융 기관의 해외 점포에 예치한 외환 자산을 뺀 부분. 가용 외환 보유액이 없어 대외 채무를 갚을 수 없을 때 채무 불이행을 선언하게 된다.
  • 유고형 자주 관리 체제 : (1)1948년 6월 코민포름에서 제명된 유고슬라비아가 채택한 새로운 경제 체제. 노동자가 기본적인 문제를 스스로 결정하고 생산ㆍ분배ㆍ고용 따위를 통제하는 기업 관리 체제이다.
  • 유고형분 : (1)유즙을 분비하였을 때 수분을 제외한 성분. 주로 유당, 유지방, 유단백질, 회분 따위로 구성된다.
  • 둑 여유고 : (1)하천의 둑을 쌓는 공사에서, 계획상의 기준 수위에서부터 둑의 최정상부까지 이르는 여유 높이.
  • 유고 : (1)‘회유어’의 북한어.
  • 계은유고 : (1)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정립의 시문집. 책머리에 이항복의 서문과 책 끝에 이광좌의 발문이 있다. 전 가운데 정여립(鄭汝立)의 난과 관련한 내용이 있어 주목된다.
  • 유고 : (1)향유고랫과의 포유류. 몸의 길이는 11~20미터이며, 몸무게는 20~27톤 정도이다. 등 쪽은 검은 회색, 배 쪽은 연한 붉은색이다. 머리 앞 끝은 칼로 자른 것처럼 뭉툭하고 꼬리지느러미발이 크며 아래턱에만 50쌍 정도의 둥근 원뿔 모양의 이가 나 있다. 전 세계에 분포한다.
  • 부유 고형물 : (1)물속에 떠다니는 고체 상태의 물질. 콜로이드 입자부터 상당히 큰 현탁 물질까지 여러 가지 형태가 포함된다.
  • 경당유고 : (1)조선 후기의 학자 유상준(柳相浚)의 시문집. 서(書) 12편, 시 32수, 잡지(雜識), 행장 3편 따위로 구성되어 있다. 잡지의 경우, 경전의 난해한 부분에 대해 이해하기 쉽도록 단락을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특히 성리학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2권 1책.
  • 댐의 여유고 : (1)댐을 설계할 때, 월류 또는 이상 조위 따위에 대비하여 설정하는 여유분의 높이.
  • 외화 보유고 : (1)한 나라가 가지고 있는 금과 외화의 총액. 특히 정부와 중앙은행이 가지고 있는 금과 외화의 총액을 이른다.
  • 안전 여유고 : (1)배수로의 안전 기준 수위.
  • 경산유고 : (1)조선 후기의 문인 정낙규(鄭樂圭)의 문집. 동학 농민 운동 당시 동학의 의례와 태도를 밝히고, 그러한 태도가 양반 중심의 성리학적 질서에 반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3권 1책.
  • 부유 고체 : (1)하수의 표면에 떠다니는 고체 물질.
  • 유고래기름 : (1)향유고래에서 짜낸 기름. 머리 부분에서 짜낸 뇌유(腦油)와 다른 부분에서 짜낸 체유(體油)가 있다.
  • 광섬유 고리 : (1)하나 이상의 광섬유 케이블 스팬과 능동 소자를 연속 배합하는 것. 광 전송기로부터 광 수신기로 광로를 제공한다.
  • 유고 : (1)죽은 사람이 생전에 써서 남긴 원고를 모아서 엮은 책.
  • 박정자유고 : (1)조선 숙종 때 박태한(朴泰漢)의 유고(遺稿)를 아우인 박사한(朴師漢)이 편찬한 책. 학칙(學則), 치법(治法), 장소(章疏), 서독(書牘), 부(賦), 시(詩), 서(序), 설(說), 제문(祭文), 잡저(雜著), 과제(科製), 독서차기(讀書箚記), 부록(附錄) 따위가 수록되어 있다. 15권 10책의 목활자본.
  • 고죽유고 : (1)조선 중기의 시인 최경창의 시집. 손자 최진해(崔振海)가 수집하고 증손 최석영(崔碩英)이 간행하였다.
  • 유고 감지 : (1)돌발적인 사고 따위로 인한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교통 감지 체계.
  • 박선생유고 : (1)조선 세종 때의 학자 박팽년의 시문집. 시 28수, 부(賦) 1편, 전(箋) 1편, 유묵 따위가 실려 있다. 1권 1책의 목판본.
  • 고산유고 : (1)조선 인조 때의 학자 고산 윤선도의 문집. 정조 15년(1791)에 전라 감사 서유린(徐有鄰)이 왕명에 따라 간행한 것을 정조 22년(1798)에 전라 감사 서정수(徐鼎修)가 개편ㆍ간행하였다. 시(詩)ㆍ가(歌)ㆍ부(賦)ㆍ사(辭)ㆍ서(書)ㆍ소(疏)ㆍ서(序)ㆍ기(記)로 분류하였으며, 시조 작품은 별집에 수록하였다. 6권 6책.
  • 난계유고 : (1)박연의 글을 모아서 엮은 시문집. 음악에 관한 상소 39편이 들어 있어 조선 전기의 음악에 관한 중요한 자료이다. 1권 1책.
  • 유고 자파드 극장 : (1)러시아의 모스크바에 있는 극장. 1977년에 연출가 벨랴코비치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창조적이고 독특한 해석의 연극으로 각광 받고 있다.
  • 일와유고 : (1)조선 시대의 학자 전귀해(全貴海)의 시문집. 1권에는 시, 2권에 서(書), 서(序), 기(記), 설(說), 제문, 지(識)가 실려 있고, 4권에 부록으로 유사기략(遺事記略), 만사, 제문, 전(傳), 제(題), 고유문, 세계도 따위가 수록되어 있다.
  • 난계선생유고 : (1)박연의 글을 모아서 엮은 시문집. 음악에 관한 상소 39편이 들어 있어 조선 전기의 음악에 관한 중요한 자료이다. 1권 1책.
  • 경재유고 : (1)조선 초기의 학자 남수문의 시문집. 그의 시는 이곳저곳에 흩어져 전해지고 있었는데, 9세손 남희석(南熙錫)과 11세손 남국환(南國煥)이 그때까지 전하던 시문을 편집하여 간행하였다. 2권 1책. (2)조선 말기의 학자 김정수(金正洙)의 시문집. 시 159수 따위를 수록하고 있으며, 자연에 대한 내용과 진리에 대한 탐구 따위를 담고 있다. 2권 1책의 석인본.
  • 육선생유고 : (1)조선 효종 9년(1658)에 박팽년의 후손인 박숭고가 편집한 사육신의 시문집. 1권에는 박팽년의 시, 2권에는 성삼문의 시, 3권에는 나머지 사육신의 작품이 실려 있다. 3권 3책.
  • 제방 여유고 : (1)수로를 설계할 때 둑 마루의 여유 높이.
  • 잠계유고 : (1)조선 중기의 학자 잠계 이전인(李全仁)이 쓴 시문집. 헌종 13년(1847)에 후손인 이기(李耆)와 강태중(姜泰中) 등이 간행하였다. 시와 상소, 편지 따위가 수록되어 있다.
  • 이재유고 : (1)조선 후기의 운학자(韻學者) 황윤석(黃胤錫)의 문집. 26권 13책.
  • 탄천선생유고 : (1)고려 말ㆍ조선 초의 문신 이지직이 쓴 시문집. 이지직이 관동 안찰사로 있을 때 쓴 시, 친구에 대한 그리움을 쓴 시 따위가 수록되어 있다. 1권 1책의 목활자본.
  • 죽곡선생유고 : (1)조선 중기의 학자인 정흔(鄭昕)이 지은 시문집. 시(詩), 서(書), 찬(贊) 따위가 수록되어 있다. 그중 임진왜란 때 곽재우 등이 국난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사실을 치하하는 내용이 있어 주목된다.
  • 섬유 고정 : (1)기계적ㆍ화학적 공정을 통해 섬유를 안정된 상태로 만드는 일. 섬유의 성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한다.
  • 왼 섬유 고리 : (1)심장에서 왼쪽 심방과 심실 사이 구멍을 둘러싸는 섬유 조직으로 이루어진 고리. 심장 뼈대의 부분을 이루며, 이곳에 방실 판막과 심장 근육이 붙는다.
  • 정탁 문적 약포 유고 및 고문서 : (1)조선 중기의 문신인 정탁이 남긴 원고와 문서. 정간공교지(貞簡公敎旨), 위성공신교서(衛聖功臣敎書), ≪용사일기(龍蛇日記)≫, ≪용사잡록(龍蛇雜錄)≫, ≪용만문견록(龍灣聞見錄)≫, ≪임진기록(壬辰記錄)≫, ≪선조시집유묵(先祖詩集遺墨)≫, ≪약포선조유묵(藥圃先祖遺墨)≫, ≪약포선조간첩(藥圃先祖簡帖)≫, ≪선조초고유묵(先祖草稿遺墨)≫, 기로연시화첩(耆老宴詩畫帖), 관립(冠笠), 벼루와 벼루 집 따위가 있다. 보물 제494호.
  • 폐추유고 : (1)조선 현종 때에, 폐추 임홍량(任弘亮)의 시문집. 시(詩), 서(書), 잡저, 서(序), 발(跋), 상량문(上樑文), 제문(祭文) 따위를 수록하였다. 고종 5년(1868)에 간행하였다. 4권 2책.
  • 이유태선생유고 : (1)조선 중기의 문신 이유태가 쓴 책. 상소(上疏), 초려시필(草廬時筆), 정훈(庭訓) 등 2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302호.
  • 읍취헌유고 : (1)조선 연산군 때의 시인 박은의 유고집. 친구인 이행이 수집ㆍ간행하였다. 4권.
  • 외환 보유고 : (1)한 나라가 일정 시점에 대외 지급에 대비하여 보유하고 있는 외국환 어음과 채권의 총수량.
  • 일묵헌유고 : (1)조선 후기의 문인 조정위(趙正緯)가 쓴 시문집. 상권에는 아버지인 조현기(趙顯期)와 작은 아버지인 조성기(趙聖期)의 행장을 실어 생애를 자세하게 전하고 있다. 하권에는 조정위 자신의 생각과 사상을 나타내는 글을 싣고 있다. 2권 1책의 목판본.
  • 금호유고 : (1)조선 효종 때 문인인 금호(琴湖) 이지걸(李志傑)이 지은 시문집. 숙종 38년(1712)에 남구만, 최석정이 엮어 펴냈다. 5권 1책의 목판본.
  • 석유 고갈설 : (1)석유의 총매장량에 비해 연간 석유 소비량이 많아지면서 석유가 언젠가는 고갈될 것이라는 견해.
  • 잠곡유고 : (1)조선 후기의 문신인 잠곡 김육이 쓴 시문집. 김육이 남긴 여러 종류의 글을 수록하고 있어, 그의 학문과 사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책이다. 11권 9책의 활자본.
  • 유고슬라비아 : (1)유럽 동남쪽 발칸반도 서부에 있던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18년 통일 국가가 성립되고 1945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성립되었다가, 1990년대에 들어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으로 각각 분리ㆍ독립하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멸하였다. (2)유럽 동남부 발칸반도 중부에 있던 연방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구성하였던 공화국들이 1991년에 슬로베니아ㆍ크로아티아ㆍ마케도니아가, 1992년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독립을 선언하자 남아 있던 두 공화국인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연대하여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을 성립하였으나 2006년 각각 분리 독립하였다. 수도는 베오그라드, 면적은 10만 2173㎢.
  • 황파유고 : (1)조선 시대 후기의 학자인 최신지(崔愼之)가 쓴 시문집. 시ㆍ부(賦)ㆍ서(書)와 같은 글로, 세상의 일에 대하여 느낀 바와, 지인들과 주고받은 시가 실려 있다. 지인을 천거한 글도 있어서, 조선 후기 호남 사족의 교유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4권 1책의 석인본.
  • 고청유고 : (1)조선 중기의 학자 서기의 시문집. 홍계희(洪啓禧)가 편찬하였으나 간행 연대는 알 수 없으며, 고활자본이다. 2권 1책.
  • 매호유고 : (1)고려 시대의 문인 진화(陳澕)의 문집. ≪동문선≫ 등에 흩어져 있던 유작(遺作)을 모아서 조선 후기에 그의 후손 후(𪻶)가 편찬하였다. 1책.
  • 계은선생유고 : (1)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정립의 시문집. 책머리에 이항복의 서문과 책 끝에 이광좌의 발문이 있다. 전 가운데 정여립(鄭汝立)의 난과 관련한 내용이 있어 주목된다.
  • 유고 : (1)특별한 사정이나 사고가 있음. (2)유류(油類)를 넣어 두는 창고. (3)비 올 때에 마부들이 입는 바지. 기름에 결어서 빗물이 스며들지 아니한다. (4)액체 모양의 고약. (5)부모가 다 죽은 외로운 아이. (6)선왕이 남긴 교훈. (7)죽은 사람이 생전에 써서 남긴 원고. (8)타일러 훈계함. (9)나라에서 결행할 어떤 일을 여러 사람에게 알려 줌. 또는 그런 알림. (10)유럽 동남쪽 발칸반도 서부에 있던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18년 통일 국가가 성립되고 1945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성립되었다가, 1990년대에 들어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으로 각각 분리ㆍ독립하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멸하였다.
  •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 : (1)1993년 5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827호에 의하여 설치된 국제 형사 재판소.
  • 유고 : (1)죽은 사람이 생전에 써서 남긴 작품.
  • 윤지당유고 : (1)조선 시대에, 임정주와 신광우(申光祐)가 모아 엮은 신광유(申光裕)의 처 윤지당 임씨의 유고. 정조 20년(1796)에 간행되었다. 2권 1책.
  • 휘발성 부유 고형물 : (1)작은 공극이 있는 유리 섬유 여과지에 여과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것을 500~600℃의 온도로 15~20분 동안 연소시킬 때 공기 중으로 날아 흩어지는 물질.
  • 섬유 고리 : (1)심장에서 좌우 방실 사이 구멍을 둘러싸는 섬유 조직으로 구성된 고리. 방실 판막과 심장 근육이 붙는 자리가 된다.
  • 유고 : (1)가지고 있거나 간직하고 있는 물건의 수량.
  • 오른 섬유 고리 : (1)심장에서 오른쪽 방실 사이 고랑을 둘러싸는 섬유 조직으로 이루어진 고리. 심장 뼈대를 이루는 부분으로, 이곳에 방실 판막의 첨판과 심장 근육이 붙는다.
  • 사계유고 : (1)조선 숙종 11년(1685)에 왕명에 따라 교서관에서 간행한 김장생의 유고집. 14권 6책.
  • 진일유고 : (1)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계명 대학교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시문집. 조선 초기에 성간이 지은 것을 사후에 그의 형인 성임이 글을 모으고 동생인 성현이 편집하여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한 내용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보물 제1466호.
  • 유고하다 : (1)특별한 사정이나 사고가 있다. (2)타일러 훈계하다. (3)나라에서 결행할 어떤 일을 여러 사람에게 알려 주다.
  • 유고 : (1)둑 따위를 쌓을 때 홍수나 파도에 대비하여, 평상시의 수위보다 더 높이 쌓는 여유분의 높이.
  • 금속 함유 고리 화합물 : (1)고리로 이루어진 화합물 내에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금속 화합물.
  • 선물환 보유고 : (1)외환 보유고 가운데 선물환의 매매 차액을 이르는 말. 채권이 채무를 웃도는 경우를 매입 보유, 그 반대의 경우를 매도 보유, 같은 액수일 때는 스퀘어라고 한다.
  • 광산유고 : (1)조선 후기의 학자 광산 백민수(白旻洙)의 유고. 시, 서(書), 소(疏), 제문 등이 실려 있다. 2권 1책의 석인본.
  • 유고 시집 : (1)죽은 사람이 생전에 써서 남긴 시들을 모아서 엮은 책.
  • 혼합액 부유 고형물 : (1)포기조 안에서 생긴 활성 오니와 침전지로부터의 반송 오니의 혼합 오니 처리 공정에서 포기조 안의 부유 물질 농도.
  • 우유 고리 검사 : (1)소의 무리 가운데 브루셀라증에 감염된 개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무리 전체의 소에게서 우유를 모아서 검사한다.
  • 경암선생유고 : (1)조선 후기의 문신 윤동수(尹東洙)의 시문집. 시 138수와 소 20편 따위가 실려 있다. 12권 6책의 목활자본.
  • 관봉유고 : (1)조선 영조 때에, 관봉 현상벽(玄尙璧)이 쓴 시문집. 10권 5책의 목판본.
  • 유고 : (1)기름을 저장하여 두는 탱크.
  • 유고 관리 : (1)교통사고, 일시적인 공사, 기타 돌발적인 교통 상황에 대하여 교통의 흐름을 가능한 한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신호 운영을 변경하는 따위의 대책을 수행하는 기법.
  • 석동선생유고 : (1)조선 후기의 학자인 석동 이문재(李文載)의 시문집. 정기(鄭琦)가 서문을 쓰고, 이남의(李南儀)가 발문을 썼다. 경전의 해석과 도량형, 전제(田制)에 관한 의견을 쓴 것이다. 8권 4책의 방각 목활자본.
  • 약포 유고 및 문서 : (1)조선 중기의 문신인 정탁이 남긴 원고와 문서. 정간공교지(貞簡公敎旨), 위성공신교서(衛聖功臣敎書), ≪용사일기(龍蛇日記)≫, ≪용사잡록(龍蛇雜錄)≫, ≪용만문견록(龍灣聞見錄)≫, ≪임진기록(壬辰記錄)≫, ≪선조시집유묵(先祖詩集遺墨)≫, ≪약포선조유묵(藥圃先祖遺墨)≫, ≪약포선조간첩(藥圃先祖簡帖)≫, ≪선조초고유묵(先祖草稿遺墨)≫, 기로연시화첩(耆老宴詩畫帖), 관립(冠笠), 벼루와 벼루 집 따위가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정탁 문적 약포 유고 및 고문서’이다.
  • 가정유고 : (1)조선 후기의 문신 조진관(趙鎭寬)의 시문집. 헌종 13년(1847)경에 간행된 듯하다. 시 313수, 전 1편, 장 2편 등 다양한 글이 실려 있다. 수록된 글 가운데 <서향약후(書鄕約後)>에서 조혼의 폐단을 지적하고, 법적으로 막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0권 5책.
  • 병와유고 : (1)조선 숙종 때의 문신인 이형상이 남긴 원고본. 이형상이 남긴 저서와 관련된 편지글, 임금이 내린 교지 따위의 문서와 인각(印刻) 따위의 유품들이 있다. 총 10종 15책. 보물 정식 명칭은 ‘이형상 수고본’이다.
  • 물명유고 : (1)조선 순조 24년(1824)에 한글 학자 유희가 쓴 책. 여러 사물을 유정류(有情類), 무정류(無情類), 부동류(不動類)로 나누어 한글로 설명한 것으로, 유정류에는 곤충, 수류(獸類), 수족(水族), 우충(羽蟲), 무정류에는 풀과 나무, 부동류에는 흙, 돌, 금, 물, 불 따위에 관한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 5권 2책의 사본(寫本).
  • 유엔 유고 파견 보호 군사단 : (1)유고 내전의 정전을 유지하기 위해 안전 보장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파견한 군대.
  • 칠수유고 : (1)중국 명나라 때에, 낭영(郎瑛)이 펴낸 책. 천지ㆍ국사ㆍ의리ㆍ변증ㆍ시문ㆍ사물ㆍ기학의 일곱 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각 방면에 걸쳐서 의심나는 점을 들고, 작은 항목으로 많이 나누어서 고증하였다. 1566년에 간행하였다. 51권.
  • 단계유고 : (1)조선 전기의 사육신 가운데 한 명인 하위지가 쓴 시문집. 하위지의 10대손인 하용익(河龍翼)이 영조 44년(1768)에 증보ㆍ간행하였다. 시, 서, 상소, 책(策) 따위가 수록되어 있으며, 사육신의 행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된다.
  • 동소선생유고 : (1)조선 후기에, 남하정이 붕당에 관하여 쓴 책. 고려 말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였을 때의 이야기부터 조선 중기의 외교 문제에 이르기까지의 사건들을 시간 순서대로 적었다. 3권 2책의 필사본.
  • 검주선생유고 : (1)조선 후기의 문인 검주(黔州) 이웅징(李熊徵)이 쓴 시문집. 다양한 글이 수록되어 있으며, 저자의 학문뿐만이 아니라 남원 지역 사족의 교류와 학풍을 연구하는 데도 중요한 사료로 평가된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707개) : 아가, 아각, 아간, 아갈, 아감, 아갑, 아강, 아개, 아객, 아갸, 아건, 아게, 아견, 아결, 아경, 아계, 아고, 아곤, 아골, 아곱, 아공, 아과, 아관, 아광, 아교, 아구, 아국, 아군, 아굼, 아궁, 아권, 아귀, 아그, 아근, 아금, 아긋, 아기, 아깆, 악가, 악각, 악간, 악감, 악개, 악견, 악계, 악곡, 악골, 악공, 악과, 악관, 악괄, 악구, 악궁, 악권, 악귀, 악극, 악긔, 악기, 안가, 안각, 안간, 안감, 안갑, 안강, 안개, 안거, 안건, 안걸, 안검, 안겁, 안겅, 안게, 안겐, 안겡, 안견, 안경, 안계, 안고, 안곡, 안골, 안공, 안과, 안관, 안광, 안교, 안구, 안국, 안굽, 안굿, 안궁, 안궤, 안귀, 안근, 안기, 안길, 안김, 안깃, 알가, 알각, 알갈 ...

실전 끝말 잇기

유고로 시작하는 단어 (11개) : 유고, 유고 감지, 유고 관리, 유고슬라비아, 유고 시집, 유고 자파드 극장, 유고작, 유고집, 유고하다, 유고형분, 유고형 자주 관리 체제 ...
유고로 시작하는 단어는 1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유고를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8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