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곡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5개

두 글자:1개 세 글자:1개 네 글자:4개 다섯 글자:4개 여섯 글자 이상:5개 🤞모든 글자: 15개

  • 인곡 : (1)신라 경덕왕 때에 옥보고가 지은 거문고 곡의 하나. 전체 서른 곡 가운데 일곱 곡이 ≪삼국사기≫ <악지(樂志)>에 곡명만 전한다.
  • 별사미인곡 : (1)조선 숙종 때에 김춘택이 지은 가사(歌辭). 작자가 제주도에서 귀양살이할 때 임금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읊은 것으로, 정철의 <사미인곡>과 같은 체제와 문체를 보여 준다.
  • 위상 수학자의 싸인 곡선 : (1)0과 1 사이에서 정의된 함수 Math Image 그래프의 닫힘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위상 수학자의 사인 곡선’이다.
  • 견인 곡선 : (1)평면에서 X선 위의 점 Q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일 때 일정한 빠르기로 Q를 추적하는 점 P가 그리는 선.
  • 속사미인곡 : (1)조선 경종 때에, 문신 이진유(李眞儒)가 지은 가사. 작가가 추자도에서 귀양살이하게 된 경위와 그곳에서의 여러 사정과 회포를 노래하고 있다. (2)조선 선조 때에, 정철이 지은 가사. 작가가 참소를 받아 창평에 내려가 있으면서 지은 것으로, 임금을 천상에서 인연이 있었던 연인으로 설정하고 그 임을 잃고 사모하는 여인의 심정을 두 선녀의 대화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사미인곡>의 속편으로 ≪송강가사≫에 실려 있다.
  • 스플라인 곡면 : (1)몇 개의 스플라인 곡선을 연결하는 매끄러운 곡면.
  • 속미인곡 : (1)조선 선조 때에, 정철이 지은 가사. 작가가 참소를 받아 창평에 내려가 있으면서 지은 것으로, 임금을 천상에서 인연이 있었던 연인으로 설정하고 그 임을 잃고 사모하는 여인의 심정을 두 선녀의 대화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사미인곡>의 속편으로 ≪송강가사≫에 실려 있다.
  • 코사인 곡선 : (1)코사인 함수인 ‘y=cos x’가 좌표 평면에 나타내는 그래프 곡선.
  • 스플라인 곡선 : (1)일련의 불연속점을 매끄럽게 이어 준 곡선.
  • 어파인 곡률 : (1)특별한 아핀 변환을 해도 값을 보존하는 평면 곡선의 곡률. ⇒규범 표기는 ‘아핀 곡률’이다.
  • 인곡 : (1)이웃 마을.
  • 비 스플라인 곡선 : (1)컴퓨터 그래픽에서 두 지점 사이를 이차 혹은 삼차 다항식을 사용하여 얻은 곡선.
  • 위상 수학자의 사인 곡선 : (1)0과 1 사이에서 정의된 함수 Math Image 그래프의 닫힘을 이르는 말.
  • 사인 곡선 : (1)사인 함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단순한 물결 모양을 나타내며 만큼 변할 때마다 같은 상태를 반복한다.
  • 사미인곡 : (1)조선 선조 18년(1585)에 정철이 지은 가사. 작가가 관직에서 밀려나 4년 동안 전라남도 창평에서 지내면서 임금에 대한 그리운 정을 간곡하게 읊은 작품으로 모두 126구로 되어 있으며, ≪송강가사≫에 실려 전한다. (2)조선 시대의 가사. 여성에 대한 간절한 연정을 노래한 작품으로 모두 180구로 되어 있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707개) : 아가, 아각, 아간, 아갈, 아감, 아갑, 아강, 아개, 아객, 아갸, 아건, 아게, 아견, 아결, 아경, 아계, 아고, 아곤, 아골, 아곱, 아공, 아과, 아관, 아광, 아교, 아구, 아국, 아군, 아굼, 아궁, 아권, 아귀, 아그, 아근, 아금, 아긋, 아기, 아깆, 악가, 악각, 악간, 악감, 악개, 악견, 악계, 악곡, 악골, 악공, 악과, 악관, 악괄, 악구, 악궁, 악권, 악귀, 악극, 악긔, 악기, 안가, 안각, 안간, 안감, 안갑, 안강, 안개, 안거, 안건, 안걸, 안검, 안겁, 안겅, 안게, 안겐, 안겡, 안견, 안경, 안계, 안고, 안곡, 안골, 안공, 안과, 안관, 안광, 안교, 안구, 안국, 안굽, 안굿, 안궁, 안궤, 안귀, 안근, 안기, 안길, 안김, 안깃, 알가, 알각, 알갈 ...

실전 끝말 잇기

인곡으로 시작하는 단어 (1개) : 인곡 ...
인곡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인곡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