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해

내해

나는 단어

세토 내해

(1)일본 혼슈(本州), 규슈(九州), 시코쿠(四國)에 둘러싸인 바다. 크고 작은 3,000여 개의 섬이 흩어져 있으며 해상 교통의 중요한 교통로이다.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9,500㎢.


뇌호 내해

(1)일본 혼슈(本州), 규슈(九州), 시코쿠(四國)에 둘러싸인 바다. 크고 작은 3,000여 개의 섬이 흩어져 있으며 해상 교통의 중요한 교통로이다.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9,500㎢. ⇒규범 표기는 ‘세토 내해’이다.


내해

(1)육지로 둘러싸인, 육지에 가까운 바다. (2)아주 큰 호수.


"내해" 끝 단어: 1쪽

끝 단어 더보기

용해

(1)지지(地支)가 진(辰)으로 된 해. (2)녹거나 녹이는 일. (3)물질이 액체 속에서 균일하게 녹아 용액이 만들어지는 일. 또는 용액을 만드는 일. (4)고체의 물질이 열에 녹아서 액체 상태로 되는 일. 또는 그렇게 되게 하는 일.


융해

(1)녹아 풀어짐. 또는 녹여서 풂. (2)고체에 열을 가했을 때 액체로 되는 현상.


재용해

(1)음극에 석출된 금속이 용액 속으로 다시 용해하는 일.


전전해

(1)지난해의 바로 전 해. (2)전량 분석에서 전해액을 정제하기 위한 작업. 용액에서 불순물과 미량 용존 산소를 제거하여 전해액의 특성이 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음향 소해

(1)소해 함정의 현측이나 함미에 예인되는 음향 발생기로 음향 기뢰의 발화 장치를 작동하게 하는 소해 방법.


쌔해

(1)‘새해’의 방언


끝 단어 더보기

꾸룽내

(1)‘구린내’의 방언


우서내

(1)‘우선’의 방언


지렁내

(1)‘지린내’의 방언


흉곽 내

(1)목과 가로막 사이의 부분. 심장, 허파 등이 있다.


와내

(1)침실 안.


염내

(1)두부나 비지 따위에서 나는 간수의 냄새. (2)한 달의 스무날이 되기 전.


시작 단어 더보기

(1)‘태양’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2)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동안. 한 해는 열두 달로, 양력으로는 365.25일이고 음력으로는 354일이다. (3)날이 밝아서 어두워질 때까지의 동안. (4)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동안을 세는 단위. (5)박두진이 지은 시. 해를 중심적인 소재로 하여 암울하고 어두운 세계를 벗어난 평화롭고 광명한 세계에…


해가

(1)어느 겨를. (2)신라 성덕왕 때의 노래. 순정공(純貞公)이 강릉 태수로 부임하여 가던 길에 동행하던 아내 수로(水路) 부인이 해룡에게 납치되자, 한 노인이 근방의 백성들을 불러 모아 이 노래를 부르며 막대기로 땅을 치게 했더니 수로 부인이 풀려났다는 내용으로, ≪삼국유사≫에 실려 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해가까운점

(1)‘근일점’의 북한어.


해가꽃

(1)‘해당화’의 방언


해가늠

(1)하루해가 얼마나 남았는가 하는 것을 해를 보고 짐작함. (2)해를 보고 시간을 헤아려 짐작함.


해가늠하다

(1)하루해가 얼마나 남았는가 하는 것을 해를 보고 짐작하다. (2)해를 보고 시간을 헤아려 짐작하다.


시작 단어 더보기

(1)시내보다는 크지만 강보다는 작은 물줄기. (2)물건이 탈 때에 일어나는 부옇고 매운 기운. (3)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 (4)‘나’에 주격 조사 ‘가’나 보격 조사 ‘가’ 가 붙을 때의 형태. (5)처음부터 끝까지 계속해서. (6)‘나인’의 준말. (7)‘흉내’의 북한어. (8)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개성(開城) 하나뿐이다. (9…


내가

(1)‘냇가’의 북한어. (2)‘내방’의 높임말. (3)‘내과’의 방언


내가격

(1)콜 옵션의 경우에 행사 가격이 기초 자산의 시장 가격보다 낮은 상태를, 풋 옵션의 경우에 행사 가격이 기초 자산의 시장 가격보다 높은 상태를 이르는 말. 이러한 옵션은 내재 가치를 지닌다.


내가격 옵션

(1)본원적 가치가 있는 옵션으로 현재 시장 가격에 따라 옵션을 행사하면 이익이 생기는 옵션.


내가다

(1)안에서 밖으로 가져가다.


내가리다

(1)‘내갈기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내리다’로도 적는다. (2)‘내리갈기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내리다’로도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