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상첨화

첨화

나는 단어

금상첨화

(1)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안석의 글에서 유래한다.


"첨화" 끝 단어: 1쪽

끝 단어 더보기

선진화

(1)문물의 발전 단계나 진보 정도가 다른 것보다 앞서게 됨.


음절 말 자음 간소화

(1)음절 말에 두 개의 자음이 놓일 때, 그중 한 자음이 탈락하는 음운 현상. ‘삶’이 ‘삼’으로 발음되거나 ‘값’이 ‘갑’으로 발음되는 따위이다.


상태 변수 모형화

(1)상태 변수를 사용하여 계통의 수학적 모델을 구하는 방법. 상태 변수는 주어진 입력과 더불어 그 계통의 동특성을 완전하게 나타내는 데 필요한 최소수의 변수를 말한다.


환경 완화

(1)개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가능한 한 적게 하기 위하여 해양 생물의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일.


바로크 회화

(1)르네상스 이후 16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이탈리아에서 출발한 회화. 마니에리스모에 대립하는 카라바조의 사실주의와, 카라치의 고전주의를 주축으로 대중에게 호소하는 현실성과 감각성을 드높여 화려한 색채의 세계를 나타내었다.


새털 옷 신랑 설화

(1)임금에게 아내를 빼앗긴 남자가 새털 옷 덕분에 아내를 되찾는다는 내용의 설화. 바람에 날아온 초상화를 보고는 새 잡이 남자의 아름다운 아내를 빼앗은 임금이, 웃지 않는 아내를 위하여 벌인 잔치에 새털 옷을 입고 나타난 남자를 보고 아내가 웃자, 그 남자와 옷을 바꾸어 입었다가 걸인으로 몰려 궁에서 쫓겨났다는 이야기이다.


끝 단어 더보기

첨두첨

(1)치아머리에서 치아도드리의 끝 쪽으로 솟아오른 부분.


이개첨

(1)이개 연골에서 일정하게 존재하지 않는 돌출 부분. 있을 때는 귀 둘레의 위쪽이나 뒤쪽, 또는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본첨

(1)‘부조’의 방언


별첨

(1)서류 따위를 따로 덧붙임.


보첨

(1)보충하여 덧붙임. (2)‘쐐기’의 방언


량첨

(1)‘양첨’의 북한어.


시작 단어 더보기

(1)‘화하다’의 어근. (2)한숨을 매우 크고 심하게 내쉬는 소리. 또는 그 모양. (3)천지자연이 만물을 생육(生育)하는 작용. (4)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진양(晉陽), 나주(羅州) 등이 현존한다. (5)‘화하다’의 어근. (6)몹시 못마땅하거나 언짢아서 나는 성. (7)‘화요일’을 이르는 말. (8)불에서 느껴지는 뜨거운 기운. (9)오…


화가

(1)조선 시대의 가사(歌辭). 생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갖가지 꽃을 나열하면서 비유와 풍자를 곁들인 것으로, 모두 84구로 되어 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2)그림을 그릴 때에 그림판을 놓는 틀. (3)그림 그리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가 동하다

(1)참고 참던 성난 기운이 더는 억제되지 아니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격한 발언이나 행동을 하게 하다.


화가 뜨다

(1)노여워 분이 치밀어 오르다.


화가라

(1)석가모니가 제자의 장래 운명을 예언한 경전. ‘기별(記別)’ 또는 ‘수기(授記)’라고 번역한다.


화가래

(1)나무를 자루에 직각으로 박은 가랫바닥 끝에 쇠로 된 날을 붙인 농기구. 괭이의 원시형이다.


시작 단어 더보기

(1)‘처음’의 준말. (2)부인의 머리에 꽂는 10cm 정도의 장식 핀. 주로 금이나 은으로 만들어 국화, 석류, 나비 따위를 새긴다. (3)남의 환심을 사거나 잘 보이려고 알랑거림. 또는 그런 말이나 짓.


첨가

(1)이미 있는 것에 덧붙이거나 보탬. (2)체 위의 원소 a에 대한 함수 중 소체의 원소를 계수로 갖는 모든 유리 함수들의 집합. 이 자체가 체가 된다. (3)극도로 순수한 진성 반도체에 전기적 성질을 조절하기 위하여 불순물을 의도적으로 넣는 일.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엔형 반도체와 피형 반도체로 나뉜다.


첨가 가치

(1)최소 단위의 음가를 더하거나 제함으로써 그 박절성을 흩뜨리는 역할을 하는 음가 가치.


첨가 고분자

(1)다른 물질들은 만들지 않고 단지 동일한 단량체를 계속 추가적으로 결합하여 형성한 고분자 물질.


첨가 고분자화

(1)단위체의 불포화 결합이 첨가되면서 중합체를 만드는 반응.


첨가 공식

(1)대수 기하학이나 복소다양체 이론에서, 다양체의 정준 다발과 부분 평면의 정준 다발을 연결하는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