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문 운문운문운문대단 운문문언 운문운문운문운문운문운문운문

운문

시작하는 단어

운문

(1)구름 모양을 한 무늬. (2)일정한 운자(韻字)를 달아 지은 글. (3)시의 형식으로 지은 글. (4)언어의 배열에 일정한 규율 또는 운율이 있는 글.


운문극

(1)운문으로 된 희곡. 괴테의 <파우스트> 따위가 있다.


운문단

(1)구름무늬를 놓은 비단.


운문대단

(1)구름무늬가 있는 중국 비단.


운문문언

(1)중국 당나라 말기의 선승(禪僧)(?~940). 중국 선종(禪宗) 오가(五家)의 하나인 운문종의 창시자이다. 저서에 ≪운문광록≫, ≪운문어록≫ 따위가 있다.


"운문" 시작 단어: 1쪽

운문 문학

(1)운율이 있는 문장으로 이루어진 문학. 가사 문학을 포함한 시 형식의 문학을 이른다.


운문법

(1)운문을 짓는 방법.


운문사

(1)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호거산에 있는 절. 신라 진흥왕 21년(560)에 창건하였으며, 고려 초기에 보양(寶壤)이 중수하여 작갑사(鵲岬寺)라 하였다가 뒤에 고려 태조가 운문선사(雲門禪寺)라 사액하면서부터 이 이름으로 불렀다. (2)구름무늬를 놓아서 짠 얇은 비단.


운문사 금당 앞 석등

(1)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등. 금당 앞에 놓인 팔각의 등으로, 각 부분의 조각 수법이 뛰어나고 균형이 잘 잡혀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이다.


운문사 대웅보전

(1)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불전.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기둥 사이의 간격을 넓게 잡아 같은 구조의 건물보다 크다. 조선 숙종 44년(1718)에 운문사를 중건하며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이다.


"운문" 시작 단어: 2쪽

운문사 동호

(1)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항아리. 전체가 흑색을 띠고 있으며, 원통형에 가까운 몸체와 특이한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도는 정확하지 않으나, 감로준(甘露樽)이라는 이름이 전하는 것으로 보아 불교 용구로 짐작된다. 고려 문종 21년(1067)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


운문사 삼층 석탑

(1)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두 기가 나란히 동서로 배치된 쌍탑으로, 이중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동일한 양식을 취하였다. 기단부의 위층에는 팔부중상(八部衆像)이 새겨져 있고, 상륜부의 장식 부재가 잘 남아 있다. 조성 수법으로 보아 9세기 무렵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청도 운문사 동…


운문사 석조 여래 좌상

(1)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불상.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를 모두 갖추고 있지만, 호분이 두껍게 칠해져 있어 세부 표현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신체에 비하여 얼굴이 크고, 전반적으로 투박해진 표현 기법 등으로 보아 10세기 초의 불상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청도 운문사 석조 여래 좌상’이다.


운문사 원응 국사비

(1)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원응 국사의 행적을 기록한 고려 시대의 석비. 비의 뒷면에는 제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받침돌과 머릿돌은 소실되었고, 세 쪽으로 잘린 비 몸만 복원되어 있다. 원응 국사가 입적한 해인 고려 인종 22년(1144)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청도 운문사 원응 국사비’이다.


운문산

(1)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과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사이에 있는 산. 높이는 1,195미터.


"운문" 시작 단어: 3쪽

운문산 군립 공원

(1)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운문산을 중심으로 한 군립 공원. 운문사, 대비사, 석골사 등의 사찰이 있으며, 천문동 계곡, 배넘이골 등의 계곡이 절경을 이룬다. 1983년에 군립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총면적은 16.173㎢.


운문산 석굴

(1)중국 산둥성(山東省) 칭저우시(靑州市)에 있는 석굴 사원. 수나라, 당나라 때에 만들어졌다. ⇒규범 표기는 ‘윈먼산 석굴’이다.


운문성

(1)언어의 배열에 일정한 규율 또는 운율이 있는 성질.


운문 소설

(1)운문으로 이루어진 소설.


운문시

(1)운문으로 이루어진 시.


"운문" 시작 단어: 4쪽

운문종

(1)중국 당나라 말기의 선승(禪僧)인 운문문언의 종지(宗旨)를 바탕으로 하여 일어난 종파.


운문체

(1)외형적인 운율을 가지고 있는 문체. 향가, 속요, 가사 따위에 쓴 문체를 이른다.


"운문" 시작 단어: 5쪽

시작 단어 더보기

(1)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남평(南平), 감천(甘泉), 정선(旌善) 등 30여 본이 현존한다. (2)학문, 문학, 예술 따위를 무(武)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3)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는 것이 원칙이나 때로 이런 것이 생략될 수도 있다. 글의 경우, 문장의 끝에 …


문가

(1)문의 옆.


문각씨

(1)문에 붙은 귀신.


문간

(1)대문이나 중문(重門) 따위 출입문이 있는 곳.


문간방

(1)문간 옆에 있는 방.


문간채

(1)대문간 곁에 있는 집채.


시작 단어 더보기

(1)어떤 일을 여럿이 한창 함께 하는 바람. (2)달무리, 햇무리 따위와 같이 색다른 빛으로 어떤 물체의 중심을 향하여 고리처럼 둘린 테. ⇒규범 표기는 ‘훈’이다. (3)‘운하다’의 어근. (4)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전주(全州) 하나뿐이다. (5)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함흥(咸興), 청주(淸州), 장흥(長興) 등이 현존한다. (…


운가

(1)‘웃돈’의 방언


운각

(1)조선 시대에, 경서(經書)의 인쇄나 교정, 향축(香祝), 인전(印篆) 따위를 맡아보던 관아. 태조 원년(1392)에 창설한 교서감을 태종 원년(1401)에 고친 것이며, 정조 6년(1782)에 규장각에 편입되었다. (2)구름의 형상을 새긴 조각. (3)아래로 드리워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구름의 모양. (4)구름무늬가 있는 널빤지를 궁전 따위의 천장 …


운각 격간

(1)운각에 가로세로 구획하여 짠 사이에 널을 키운 한 칸.


운각 정간

(1)운각에 가로세로 구획하여 짠 사이에 널을 키운 한 칸.


운각 활자

(1)조선 현종 9년(1668)에 역대 실록을 인쇄하기 위하여 만든 구리 활자.


끝 단어 더보기

다자문

(1)아들을 많이 낳기를 기원하여 새겨 넣은 한자 다(多)자 모양의 무늬. 주로 생활용품이나 장식품에 수놓았다.


보수계 신문

(1)기존 질서나 관행, 가치 체계를 중히 여기어 그것을 지키기 위한 취재와 편집의 성향을 띠는 신문.


새살문

(1)‘사립문’의 방언


전붕판문

(1)적에게 노출되지 아니하기 위하여 문루에 늘어 세우던 두꺼운 나무 판.


판정 의문

(1)‘예’ 또는 ‘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의문.


비터 문

(1)쓰라린 고통이 있는 신혼여행. 또는 그것으로 인한 파경. (2)사이가 나빠 쓰라린 고통을 겪음.


끝 단어 더보기

닥터즈 가운

(1)박사 등의 학위를 취득할 때나 또는 졸업식과 같은 예식에 입는, 앞이 터져 있는 검정 가운. 앞부분에 넓은 벨벳 덧단을 붙이고, 넓은 소매에는 카트리지 플리츠를 넣었다.


편층운

(1)층운이 조각조각으로 되어 떠 있는 구름.


마두성운

(1)오리온자리에 있는 검은 성운. 뒤의 빛을 가로막아 말머리처럼 보여 붙여진 이름이다.


김소운

(1)시인ㆍ수필가(1907~1981). 호는 소운(巢雲), 필명은 삼오당(三誤堂). ≪조선 민요집≫, ≪조선 시집≫ 따위의 한국 작품을 일본에 소개하였고, 수필집에 ≪목근통신(木槿通信)≫ 따위가 있다.


완자운

(1)‘卍’ 자 모양으로 되어 있는 구름 모양 무늬.


녀성운

(1)‘여성운’의 북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