흠향 흠향하다

흠향

시작하는 단어

흠향

(1)신명(神明)이 제물을 받아서 먹음.


흠향하다

(1)신명(神明)이 제물을 받아서 먹다.


"흠향" 시작 단어: 1쪽

시작 단어 더보기

(1)냄새를 맡으려고 콧숨을 들이쉬는 소리. 또는 그 모양. (2)흐뭇하거나 흥겨울 때 입을 다물고 콧숨을 내쉬며 내는 소리. (3)언짢거나 아니꼬울 때 입을 다물고 콧숨을 내쉬며 내는 소리. (4)어떤 물건의 이지러지거나 깨어지거나 상한 자국. (5)어떤 사물의 모자라거나 잘못된 부분. (6)사람의 성격이나 언행에 나타나는 부족한 점.


흠가다

(1)흠이 생기다.


흠감

(1)신(神)이 제물을 받고 감응함.


흠감하다

(1)신(神)이 제물을 받고 감응하다.


흠격

(1)하늘과 땅의 신령이 감응함.


흠격하다

(1)하늘과 땅의 신령이 감응하다.


시작 단어 더보기

(1)묏자리나 집터 따위의 앞쪽 방향. 이십사방위로 나타낸다. (2)‘향하다’의 어근. (3)불에 태워서 냄새를 내는 물건. 주로 제사 때 쓴다. (4)향기를 피우는 노리개의 하나. 향료를 반죽하여 만드는데 주로 여자들이 몸에 지니고 다녔다. (5)꽃, 향, 향수 따위에서 나는 좋은 냄새. (6)‘향나무’의 북한어. (7)신라 때부터 조선 전기까지 있었던…


향가

(1)향찰(鄕札)로 기록한 신라 때의 노래. 민요적ㆍ불교적인 내용으로, 작가층은 승려ㆍ귀족ㆍ평민에 걸쳐 다양하다. 4구체, 8구체, 10구체의 세 가지 형식이 있다. 현재 ≪삼국유사≫에 14수, ≪균여전≫에 11수로 모두 25수가 전한다.


향 가공 마크

(1)향을 가미하여 가공한 섬유 제품이나 공산품 가운데 기능성 및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에 붙이는 표시.


향가 문학

(1)향찰로 기록된 문학.


향가 및 이두의 연구

(1)1929년에 한국어 학자인 일본인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가 쓴 고대 한국어에 관한 연구서. 향가 및 이두를 종합적으로 다루어, 당대에 사용된 한자의 용법에 일관성을 부여하려고 하였다. 해석상의 많은 잘못을 범하여, 양주동이 ≪한국 고가 연구≫를 저술한 계기가 되었다. 3편.


향가집

(1)여러 향가를 한데 모은 책. 신라 때의 향가를 집대성한 향가집으로 ≪삼대목≫이 있었다고 한다.


끝 단어 더보기

무흠

(1)‘무흠하다’의 어근.


앙흠

(1)공경하여 우러러 사모함.


하품흠

(1)한자 부수의 하나. ‘次’, ‘欲’ 따위에 쓰인 ‘欠’을 이른다.


입웃거흠

(1)‘입천장’의 옛말.


완전무흠

(1)충분히 갖추어져 있어 아무런 결점이 없음.


목대흠

(1)조선 중기의 문신(1575~1638). 자는 탕경(湯卿). 호는 다산(茶山)ㆍ죽오(竹塢). 1605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광주 목사ㆍ공조 참판ㆍ부승지 등을 지냈다.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시문에 뛰어났다. 저서에 시문집 ≪다산집≫이 있다.


끝 단어 더보기

후향

(1)팔부중의 하나. 수미산 남쪽의 금강굴에 살며 제석천(帝釋天)의 아악(雅樂)을 맡아보는 신으로, 술과 고기를 먹지 않고 향(香)만 먹으며 공중으로 날아다닌다고 한다.


석방향

(1)돌로 만든 방향.


머리향

(1)주검의 머리가 놓인 방향.


집단화 경향

(1)인사 평가를 할 때 평가 대상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가 평균값에 집중되는 경향.


육향

(1)중국 주(周)나라 때에, 왕성(王城)으로부터 50리에서 100리 이내의 땅을 나눈 행정 구획. 오가(五家)가 비(比)를 이루고, 오비(五比)는 여(閭), 사려(四閭)는 족(族), 오족(五族)은 당(黨), 오당(五黨)은 주(州), 오주(五州)는 향(鄕)을 이룬다. (2)주로 여자에게서 나는 살 냄새.


농향

(1)짙은 향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