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백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7개

두 글자:1개 세 글자:2개 네 글자:9개 여섯 글자 이상:5개 🦖모든 글자: 17개

  • 합동 고백 : (1)‘합동 고해’의 전 용어.
  •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 : (1)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가장 오래된 신앙 고백서. 멜란히톤이 루터의 근본정신에 따라서 종교 개혁의 주요 교리를 기술한 것으로, 1530년에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열린 독일 제국 의회에서 프로테스탄트 교도가 낭독하였다.
  • 충격 고백 : (1)슬픈 일이나 뜻밖의 사건 따위로 심한 자극이나 영향을 주는 고백.
  • 고백 : (1)‘총고해’의 전 용어.
  • 네덜란드 신앙 고백 : (1)종교 개혁기에 네덜란드에서 작성된 개혁주의 신앙 고백서. 하이델베르크 교리 문답ㆍ도르트 신조와 더불어 개혁 교회의 가장 대표적인 신앙 고백서로 여겨지고 있다.
  •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 : (1)웨스트민스터 회의에서 제정된 칼뱅주의의 대표적 신앙 고백. 성경 원리, 삼위일체, 예정설 따위를 전면에 내세운다.
  • 공개 고백 : (1)수많은 사람 앞에서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것이나 감추어 둔 것을 사실대로 숨김없이 말함.
  • 고백 : (1)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것이나 감추어 둔 것을 사실대로 숨김없이 말함. (2)고해 성사를 통하여 죄를 용서받으려고, 고해 신부에게 지은 죄를 솔직히 말하는 일.
  • 세기아의 고백 : (1)프랑스의 소설가 뮈세가 지은 자전적 장편 소설. 귀족 가문에서 출생하여 훌륭한 교육을 받았으나, 전통적인 모든 가치관이 공격받고 있던 시대에 오로지 감정의 지배에 따라 살고자 행던 청년의 방황을 보여 주고 있다.
  • 고백 : (1)‘모고해’의 전 용어.
  • 심경 고백 : (1)자신의 마음 상태를 사실대로 숨김없이 말하는 일.
  • 신앙 고백 : (1)미사 때 말씀의 전례에서, 하느님 말씀의 선포에 대한 신자들의 응답. 보통 ‘신경’이나 ‘사도 신경’을 왼다. (2)성경의 말씀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공적으로 나타내는 일. (3)예배 때에, 신자들이 그리스도에 대한 자신의 믿음을 고백하는 뜻으로 ‘사도 신경’을 외는 일.
  • 보헤미아 신앙 고백 : (1)1575년에 체코슬로바키아의 양형 영성체파(兩形領聖體派)가 작성한 신앙 고백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 문서를 근거로 하였으며, 체코슬로바키아 복음 교회의 설립에 영향을 주었다.
  • 폭탄 고백 : (1)어떤 국면이나 상태를 갑작스럽게 전환시키는 작용이나 반향을 일으키는 고백.
  • 양심 고백 : (1)감추어진 비리나 부정을 양심에 따라 사실대로 숨김없이 말함.
  • 취중 고백 : (1)술에 취한 상태로 하는 고백.
  • 눈물 고백 : (1)눈물을 흘리며 사실대로 숨김없이 말하는 일.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877개) : 가바, 가박, 가반, 가발, 가방, 가배, 가백, 가뱅, 가버, 가벌, 가범, 가법, 가베, 가벨, 가벽, 가변, 가병, 가보, 가복, 가본, 가봉, 가부, 가분, 가불, 가붓, 가붕, 가브, 가비, 가빈, 각바, 각박, 각반, 각발, 각방, 각배, 각벌, 각법, 각벨, 각별, 각보, 각본, 각봉, 각부, 각분, 각비, 간박, 간반, 간발, 간밤, 간밥, 간방, 간번, 간벌, 간범, 간법, 간벵, 간벽, 간변, 간별, 간병, 간보, 간복, 간본, 간봉, 간부, 간비, 갈반, 갈밤, 갈밧, 갈밭, 갈범, 갈베, 갈벹, 갈변, 갈병, 갈보, 갈봄, 갈부, 갈분, 갈비, 감발, 감밥, 감방, 감배, 감벌, 감범, 감법, 감벽, 감별, 감병, 감보, 감복, 감본, 감봉, 감부, 감북, 감분, 감뷔, 감비, 감빛 ...

실전 끝말 잇기

고백으로 시작하는 단어 (24개) : 고백, 고백 교회, 고백록, 고백 문학, 고백반, 고백서, 고백 성사, 고백소, 고백 소설, 고백시, 고백실, 고백의 기도, 고백의 형식, 고백자, 고백적, 고백 조, 고백지, 고백체, 고백체 소설, 고백 투, 고백 편지, 고백하다, 고백형, 고백 효과 ...
고백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4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고백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7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