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32개

두 글자:1개 세 글자:20개 네 글자:6개 다섯 글자:3개 여섯 글자 이상:2개 🕊모든 글자: 32개

  • 이정 : (1)‘이질’의 방언 (2)중국 북송의 정호와 정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3)조선 명종 때의 학자(1512~1571). 자는 강이(剛而). 호는 구암(龜巖). 벼슬은 대사간, 대사성을 거쳐 부제학을 지냈다. 저서에 ≪귀암집≫, ≪성리유론(性理遺論)≫이 있다. (4)조선 선조 때의 화가(1578~1607). 자는 공간(公幹). 호는 나옹(懶翁)ㆍ나와(懶窩)ㆍ나재(懶齋)ㆍ설악(雪嶽). 13세 때 장안사의 벽화를 그렸으며, 산수화와 인물화를 잘 그렸다. 작품에 <산수도(山水圖)>, <한강 조주도(寒江釣舟圖)>가 있다. (5)중국 당나라의 명장(571~649). 태종을 섬겨 수나라 말기의 군웅(群雄) 토벌에 힘썼다. 후에 돌궐과 토욕혼(吐谷渾)을 정벌하였다. (6)조선 중기 때의 화가(1554~1626). 자는 중섭(仲燮). 호는 탄은(灘隱). 세종의 현손(玄孫)으로 묵죽(墨竹)에 능하였으며 시와 글씨에도 뛰어났다. 작품에 <풍죽도(風竹圖)>, <죽도(竹圖)>, <난도(蘭圖)> 따위가 있다. (7)나이가 젊고 기운이 좋은 마을의 남자. (8)조선 후기에, ‘이정’을 달리 이르던 말. (9)조선 시대에, 지방 행정 조직의 최말단인 이(里)의 책임자. 수령의 통제를 받는 면임(面任)의 아래 직위이며 다섯 집을 통괄하는 통주(統主)의 위인데, 조선 후기에 들어서 낮은 신분의 사람들이 임명되기도 하여 이정(里丁)이라고도 하였다. (10)어떤 곳으로부터 다른 곳까지 이르는 거리의 이수(里數). (11)옮기어 정함. (12)상여를 메는 사람. (13)문서나 글을 정리하여 바로잡음. (14)길을 떠나는 사람을 보내는 자리. (15)‘일부러’의 방언 (16)‘온녕군’의 본명.
  • 이정 : (1)조선 시대의 문신ㆍ한학자(1564~1635).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ㆍ보만당(保晩堂)ㆍ치암(癡菴)ㆍ추애(秋崖)ㆍ습정(習靜). 벼슬은 우의정, 좌의정에 이르렀다. 한문학의 대가로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조선 중기의 4대 문장가 가운데 한 사람이다. 저서에 ≪월사집≫, ≪서연강의(書筵講義)≫, ≪대학강의(大學講義)≫가 있다.
  • 이정 : (1)중국 명나라 때의 문인(?~?). 조선 선조 37년(1604)에 조선에서 세자 책봉을 주청했을 때 명나라의 예부좌시랑(禮部左侍郎)으로 있으면서 조선에서 선조(宣祖)의 제2자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자는 주청에 대하여 맏아들을 세자로 세우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하였다.
  • 이정 : (1)‘남편’의 방언
  • 이정 : (1)‘외정’의 방언
  • 이정되다 : (1)옮겨져 정해지다. (2)문서나 글이 정리되어 바로잡히다.
  • 이정 : (1)조선 중기의 문신(1556~1595). 자는 자정(子政). 호는 계은(溪隱). 이이의 문인으로 이덕형, 이항복과 함께 삼학사의 한 사람으로 칭송받았다. 예조 참의, 병조 참판을 거쳐 대사성을 지냈다. 저서에 ≪계은집≫이 있다.
  • 이정맥 주사 : (1)돼지의 혈관에 영양제 또는 약물을 직접 주사하여 투여하는 방법. 약효가 가장 빠르고, 약효의 손실이 적은 장점이 있다.
  • 이정 : (1)조선 시대에, 평안도와 황해도에서 한 마을의 군포 납부자가 도망하거나 죽으면 그 마을에서 대신 채우게 하던 일.
  • 이정 : (1)‘이질’의 방언
  • 이정 : (1)조선 후기의 문신(1693~1766). 자는 사수(士受). 호는 삼주(三洲)ㆍ보객정(報客亭). 1736년 지평 때 탕평책을 반대하는 시무 십일 조(時務十一條)를 올려 파직되고, 후에 다시 기용되어 대제학, 예조 판서 등을 지냈다. 글씨에 능하였으며 한시와 시조의 대가로 ≪해동가요≫에 시조 78수가 전한다.
  • 이 정부 : (1)정부의 정책과 그 시행에 관련된 지식과 정보를 전자적으로 체계화시키고, 국민들이 그런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가상 공간에 구축한 정부. 또는 그러한 형태의 정부 업무.
  • 이정 : (1)조선 후기의 문인(?~?). 자는 계화(季和). 호는 저촌(樗村). 벼슬은 정랑에 이르렀으며 ≪해동가요≫에 시조 2수가 전한다.
  • 이정 : (1)교육가(1858~1935). 1906년 엄비(嚴妃)의 후원으로 현재의 숙명 여고인 명신 여학교를 설립하여 교장이 되었다.
  • 이정스럽다 : (1)‘꼼꼼하다’의 방언
  • 이정시롭다 : (1)‘꼼꼼하다’의 방언
  • 이정 : (1)조선 영조 때의 가객(歌客)(?~?). 자는 집중(集仲). 호는 백회재(百悔齋). 벼슬은 현감을 지냈고, 시조와 창에 능하였다. ≪청구영언≫, ≪가곡원류≫ 등에 시조 13수가 전한다.
  • 이정 이음매법 : (1)지접법에서, 지지력이 부족한 것을 보강하기 위해 보통 침목 두 개를 병설하고 볼트로 체결하거나, 광폭의 침목 한 개를 사용하여 지지하는 면적을 배가하는 방법.
  • 이정일보 : (1)조선 초기에, 두 장정을 일보(一保)로 묶어 정군(正軍) 한 사람을 내던 군역 제도. 세조 10년(1464)에 삼정일호의 제도를 고친 것이다.
  • 이정 : (1)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와 정이(程頥) 형제를 높여 이르는 말.
  • 이정자성 : (1)한 개의 난자 속에 두 개의 정자가 침입하는 현상. (2)동물의 한 개체 내에 크기가 상이한 정자가 존재하는 성질.
  • 이정 : (1)조선 영조 때의 문신(1678~1758). 자는 경유(敬裕/景裕). 호는 회헌(悔軒). 벼슬은 공조 참판 등을 지냈고, 문장으로 이름이 있었다. 작품에 <옥린몽>이 있다.
  • 이정전서 : (1)중국 북송의 정호ㆍ정이 형제의 문집, 어록(語錄), 저술(著述)을 합하여 간행한 책. 주자에 의하여 대성된 주자학의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66권.
  • 이정 : (1)빈도 곡선에서 최대치가 두 개인 경우를 이르는 말.
  • 이정 : (1)조선 숙종 29년(1703)에 군제의 문란을 바로잡고 군정을 쇄신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한 관아.
  • 이정 : (1)육로의 이정을 기록한 일람표. (2)주로 도로상에서 어느 곳까지의 거리 및 방향을 알려 주는 표지. (3)어떤 일이나 목적의 기준.
  • 이정표 토대적 참조틀 : (1)이차적 외부 참조 대상을 수반하는 참조 틀. 이차 참조 대상은 무생물인 것이 일반적이며, 일차 참조 대상의 외부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우체통은 사무실 빌딩의 강 쪽에 있다.”에서, 외적인 이차 참조 대상은 강이며, 이는 일차 참조 대상인 사무실 빌딩의 부분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이 부분에서 우체통을 찾을 수 있다.
  • 이정하다 : (1)옮기어 정하다. (2)문서나 글을 정리하여 바로잡다.
  • 이정 : (1)조선 중기의 학자ㆍ문신(1549~1607). 자는 덕훈(德薰). 호는 지퇴당(知退堂)ㆍ동각(東閣). 임진왜란 때 좌승지로 임금을 모시고 평안도로 가다가 송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적을 막았으며 만년에는 성리학을 연구하였다. 저서에 ≪동각잡기(東閣雜記)≫, ≪황토기사(黃兔記事)≫, ≪지퇴당집≫이 있다.
  • 이정화령 : (1)옹근 것이 부스러지거나 온전한 것이 변하여 영(零)이 된다는 뜻으로, 있다가도 없어짐을 이르는 말.
  • 이정 : (1)조선 인조 때의 학자(1604~1671). 자는 휘원(輝遠). 호는 송암(松巖). 1633년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병자호란의 국치를 보고 벼슬을 단념하고 시작(詩作)으로 세월을 보냈다. 작품에 시조 <비가(悲歌)> 10수가 있다.
  • 이정 : (1)음악가ㆍ교수(1927∼1998). 서울 출신으로, 1950년 현제명의 오페라 <춘향전>으로 데뷔한 이후, 국내외에서 여러 차례 독창회와 오페라에 출연하였다. 1961년 서울 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교수로 부임하였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368개) : 아자, 아작, 아잔, 아잠, 아장, 아재, 아잼, 아쟁, 아저, 아적, 아전, 아점, 아접, 아정, 아제, 아젝, 아져, 아젹, 아젼, 아조, 아족, 아졸, 아종, 아주, 아죽, 아준, 아줌, 아중, 아즉, 아지, 아직, 아진, 아질, 아짐, 아집, 악자, 악작, 악장, 악재, 악적, 악전, 악절, 악점, 악정, 악제, 악조, 악졸, 악종, 악주, 악증, 악지, 악질, 악징, 안자, 안작, 안잠, 안장, 안재, 안저, 안적, 안전, 안점, 안접, 안정, 안제, 안조, 안족, 안존, 안종, 안좌, 안주, 안죽, 안중, 안줸, 안쥐, 안쥔, 안쥬, 안즉, 안지, 안직, 안진, 안질, 안집, 안짓, 알자, 알잔, 알장, 알쟁, 알전, 알절, 알젓, 알정, 알제, 알젯, 알조, 알족, 알종, 알주, 알죽, 알줄 ...

실전 끝말 잇기

이정으로 끝나는 단어 (6개) : 최이정, 백이정, 언순이정, 동질 이정, 이정, 원형이정 ...
이정으로 끝나는 단어는 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이정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32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