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2개

  • 나래박쥐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0~120cm이며, 잎은 어긋난다. 원줄기 끝에 통 모양의 잔꽃이 3~6개 핀다. 어린싹은 식용한다. 깊은 산에서 자라며 우리나라 북부 고산 지역에 분포한다.
  • 내리바지 : ‘내리막’의 방언
  • 내림바지 : ‘내리막’의 방언
  • 너른바지 : 여자의 한복 차림에서, 단속곳 위에 입는 속옷. 단속곳과 비슷하나 밑이 없는 긴 속곳으로, 흔히 명주붙이로 짓는다.
  • 년로보장 : 年老保障 나이가 많아서 노동할 수 없는 사람들을 집에서 편안히 쉬게 국가가 보장해 주는 것. ⇒남한 규범 표기는 ‘연로 보장’이다.
  • 노름바지 : 가면극, 인형극, 줄타기, 땅재주, 판소리 따위를 하던 직업적 예능인을 통틀어 이르던 말. 한자를 빌려 ‘廣大’로 적기도 한다. ⇒규범 표기는 ‘광대’이다.
  • 누렁버짐 : ‘황선’의 북한어.
  • 나리 분지 : 羅里盆地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 일대에 있는 분지. 울릉도에서는 유일하게 넓은 평지를 이루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지역이다. 면적은 1.5㎢.
  • 내륙 분지 : 內陸盆地 대륙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난바다와 수계(水界)가 이어지지 아니한 분지.
  • 논리 번지 : 論理番地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논리적인 번지. 변환 모드일 때에는 동적 번지 변환 기구에 의해 실번지로 변환된다.
  • 논리 부정 : 論理否定 논릿값의 반댓값을 취하는 연산. 참의 논리 부정은 거짓이고, 거짓의 논리 부정은 참이다.
  • 능력 부정 : 能力否定 동작주의 의도나 의지와는 다르게, 외부 환경의 이유로 그 일이 일어나지 못함을 나타내는 부정. ‘못’, ‘-지 못하다’를 사용하여 부정을 만든다.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288 개의 단어) 🌸
  • 나라 : 일정한 영토와 거기에 사는 사람들로 구성되고, 주권(主權)에 의한 하나의 통치 조직을 가지고 있는 사회 집단. 국민ㆍ영토ㆍ주권의 삼요소를 필요로 한다.
  • 나락 : ‘벼’를 이르는 말.
  • 나란 : ‘나란하다’의 어근.
  • 나람 : ‘이엉’의 방언
  • 나랑 : ‘나라’의 방언
  • 나랗 : ‘나라’의 옛말. 사이시옷이나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나라’로 나타난다.
  • 나래 : 배를 젓는 도구의 하나. 노와 비슷하나 길이가 짧고, 두 개로 배의 양쪽에서 젓게 되어 있다.
  • 나랙 : ‘벼’의 방언
  • 나레 : ‘이엉’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ue283레’로도 적는다.
(총 227 개의 단어) 🐰
  • 라반 Laban, Rudolf : 루돌프 라반, 헝가리 태생의 독일 무용가(1879~1958). 제일 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신무용 운동의 이론적 지도자로 뮌헨과 베를린에 연구소를 설립하여 많은 문하생을 길러 냈다. 저서에 ≪무용가의 세계≫, ≪무용 방법론≫ 따위가 있다.
  • 라발 Laval, Carl Gustav Patrik de : 칼 구스타브 파트리크 데 라발, 스웨덴의 과학자ㆍ공학자ㆍ발명가(1845~1913). 증기 터빈을 발명하고, 팽창식 노즐에 의하여 초음속 가스 분사를 가능하게 하였다.
  • 라배 羅拜 : ‘나배’의 북한어.
  • 라베 Labé, Louise : 루지 라베, 프랑스의 시인(1524?~1566). 여성으로서, 미모와 분방한 생애로 알려져 있으며, 사랑의 정열을 솔직하게 노래한 소네트는 릴케 등 후세 시인에게 애호되었다.
  • 라벨 label : 종이나 천에 상표나 품명 따위를 인쇄하여 상품에 붙여 놓은 조각. 분류 번호, 취급상의 주의 사항, 제품의 크기, 가격 따위를 써넣기도 한다.
  • 라병 邏兵 : ‘나졸’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나병’이다.
  • 라복 蘿蔔 : ‘나복’의 북한어.
  • 라부 裸婦 : ‘나부’의 북한어.
  • 라북 羅北 :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 ⇒남한 규범 표기는 ‘나북’이다.
(총 697 개의 단어) 🤞
  • 바자 : 대, 갈대, 수수깡, 싸리 따위로 발처럼 엮거나 결어서 만든 물건. 울타리를 만드는 데 쓰인다.
  • 바작 : ‘바작거리다’의 어근.
  • 바잔 Bhajan : 북인도의 힌두교 예배용 작품 가운데 가장 인기 있는 형식. 가사는 힌두 신을 예찬하고 힌두 경전의 성구에서 예화를 전달한다.
  • 바장 : ‘바장거리다’의 어근.
  • 바재 : ‘발채’의 방언
  • 바쟁 Bazin, René François Nicolas Marie : 르네 프랑수아 니콜라 마리 바쟁, 프랑스의 소설가(1853~1932). 법학 박사 학위까지 받았으나, 1880년부터 문학을 시작하여 소설 <잉크의 오점(汚點)>, <시시루>로 아카데미상을 받았다. 주로 농민의 전원생활을 묘사하여 프랑스의 전통적 향토색을 풍기는 작품을 썼다.
  • 바제 : ‘바자’의 방언
  • 바젤 Basel : 스위스 북부, 라인강 수운이 끝나는 곳에 있는 항구 도시. 14세기 말에 자치 도시가 되었고, 1501년 스위스 연방에 가맹하였다. 서쪽 연안의 대바젤은 상업과 문화가, 동쪽 연안의 소바젤에는 기계ㆍ섬유 공업이 발달하였다. 종교 개혁의 유적이 많으며 국제 결제 은행이 있다.
  • 바조 : ‘바자’의 옛말.
(총 118 개의 단어) ☕
  • : 서양 음악의 7음 체계에서, 일곱 번째 음이름. 계이름 ‘시’와 같다.
  • : ‘낙하다’의 어근.
  • : 물방아 따위의 사용료로 떠 내던 곡식.
  • : 암컷의 생식 세포.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감수 분열에 의하여 생기며, 수정 후 발달하여 배(胚)를 형성한다.
  • : 곡식의 알.
  • : 지구가 한 번 자전하는 동안. 자정에서 다음 자정까지의 동안으로 24시간이다.
  • : ‘나루’의 방언
  • : 자기 이외의 다른 사람.
  • : 푸르스름한 잿빛의 금속 원소. 금속 가운데 가장 무겁고 연하며, 전성(展性)은 크나 연성(延性)은 작다. 공기 중에서는 표면에 튼튼한 산화 피막을 만들어 안정하며, 불에 잘 녹는다. 연판, 연관, 활자 합금 따위로 쓴다. 원자 기호는 Pb, 원자 번호는 82, 원자량은 207.19.
(총 64 개의 단어) ☕
  • : 서양 음악의 칠음 체계에서, 두 번째 음이름. 계이름 ‘레’와 같다.
  • : ‘낙’의 북한어.
  • : ‘알’의 뜻을 나타내는 말.
  • : ‘-라고 할’이 줄어든 말.
  • rum : ‘럼’의 북한어.
  • : ‘라’의 음역어.
  • : 낭자라는 뜻으로 ‘여자’를 이르던 말. ⇒남한 규범 표기는 ‘낭’이다.
  • :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 lac : 랙깍지진디 따위가 내는, 끈적거리는 나무의 진 같은 분비물. 또는 그것을 가공한 것. 주로 무환자나무, 보리수, 고무나무 따위의 가지에 분비하며, 주로 셸락과 랙 물감을 만드는 데 쓴다.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