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55개

  • 다자엽 : 多子葉 하나의 싹이 틀 때 세 개 이상의 떡잎이 생기는 것.
  • 다자인 : Dasein 본질적 존재에 대립하는 구체적ㆍ개별적 존재.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는 ‘현존재’라 하여 인간의 현실적 실존을 나타내는 존재론적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 다잡이 : 늦추어진 것을 바짝 잡아 죄는 일.
  • 다조아 : 茶條芽 단풍나뭇과에 속한 신나무의 생약명. 잎과 새싹을 약용하며 청열, 명목에 효능이 있어 간열목적, 감모두통을 치료하는 데 쓴다.
  • 다직업 : 多職業 한꺼번에 여러 개의 직업을 가지고 있음. 또는 그런 것.
  • 다짐육 : 다짐肉 여러 번 칼질하여 잘게 만든 고기.
  • 닥쟁이 : 1 ‘딱정벌레’의 방언 2 ‘딱지’의 방언
  • 닥젱이 : ‘딱정벌레’의 방언
  • 닥종이 : 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여 만든 종이.
  • 단자업 : 短資業 단기 금융을 취급하는 영업.
  • 단자엽 : 單子葉 한 개의 씨눈에서 나오는 한 장의 떡잎.
  • 단자예 : 單雌蕊 한 개의 심피로 된 암술. 벚나무, 콩, 으름덩굴, 복숭아, 완두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단자음 : 單子音 홑으로 소리 나는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 따위가 있다.
  • 단작에 : ‘단결에’의 방언
  • 단잡이 : 單잡이 한 사람씩 하나의 악기를 다룸. 또는 그런 사람. 줄풍류의 경우에 거문고, 가야금, 해금, 피리 따위의 편성이 이에 속한다.
  • 단장여 : 1 短長欐▽ 주심포집에서, 도리를 받쳐 주는 짧은 가로재. 2 短長欐▽ 도리 밑에 건너지르지 않고 짧게 받쳐 댄 장여.
  • 단재이 : ‘담쟁이’의 방언
  • 단절연 : 段絕緣 중성점 직접 접지 방식에서, 고장 시에도 변압기의 중성점이 거의 대지 전위, 즉 영전위로 유지되어 중성점으로 갈수록 절연 강도를 약하게 하는 단계적 절연 방식. 변압기 및 부속 설비의 중량과 가격을 낮출 수 있어 경제적이다.
  • 단조율 : 單調率 덧셈에서 a<b이면 임의의 c에 대하여 a+c<b+c임을 충족하거나, 곱셈에서 a<b이면 c>0에 대하며 ac<bc임을 충족하는 법칙.
  • 단졸임 : ‘잼’의 북한어.
  • 단주애 : ‘토마토’의 방언
  • 단주우 : 單주우 ‘단속곳’의 방언
  • 단중에 : ‘잠방이’의 방언
  • 단중우 : 單중우 ‘단속곳’의 방언
  • 단짐에 : ‘단김에’의 방언
  • 달자인 : 達字印 왕세자가 달사(達辭)에 찍던 도장. ‘達’이라는 글자를 새겼다.
  • 달제어 : 獺祭魚 수달(水獺)이 물고기를 잡아 제사 지내는 것처럼 사방에 늘어놓는다는 뜻으로, 시문(詩文)을 지을 때에 많은 참고 서적을 벌여 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담자이 : ‘담쟁이’의 방언
  • 담장이 : 1 토담을 쌓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2 창병(瘡病)을 앓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담쟁이’이다. 3 담병(痰病)을 앓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담쟁이’이다.
  • 담재이 : ‘담쟁이’의 방언
  • 담쟁이 : 1 포도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줄기에 덩굴손이 있어 담이나 나무에 달라붙어 올라가며 심장 모양의 잎은 끝이 세 쪽으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6~7월에 황록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가을에 자주색으로 익는다. 흔히 담장이나 벽 밑에 심는데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2 창병(瘡病)을 앓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3 痰쟁이 담병(痰病)을 앓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담저이 : ‘담쟁이’의 방언
  • 담제인 : 1 禫制人 대상(大祥)을 치른 뒤로부터 담제(禫祭)를 지낼 때까지 상중(喪中)에 있는 사람. 2 禫制人 대상을 치른 뒤로부터 담제를 지낼 때까지 상중에 있는 사람이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담조아 : 擔條兒 당비파나 월금을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악기 뒷면에 달아 놓은 끈고리.
  • 담죽여 : 淡竹茹 솜대의 얇은 속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게우는 것을 멈추게 하며 가래를 삭이고 태아를 안정시킨다.
  • 담죽엽 : 淡竹葉 솜대나 조릿대풀의 잎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 데에 쓴다.
  • 담즙염 : 膽汁鹽 간에서 콜레스테롤을 전구체로 하여 생성되며 담낭에서 저장되어 분비되는 물질. 한 분자 내에 극성 부분과 비극성 부분의 양극성의 특징을 가지고 계면 활성제의 역할을 하여 지질을 소화ㆍ흡수되기 쉬운 형태로 유화시킨다.
  • 답중악 : 畓中樂 주로 전라도 지방에서 불리는 모찌기 소리ㆍ모심기 소리ㆍ김매기 소리 따위의, 논이나 밭에서 일하면서 부르는 노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진도 들노래, 나주 들노래, 함평 들노래 따위가 있다.
  • 당중앙 : 黨中央 북한에서, 당 대회와 당 대회 사이에 노동당의 노선과 정책을 세우고 그 집행을 조직하고 지도하는 최고 지도 기관.
  • 당직의 : 當直醫 병원에서 숙직이나 일직 따위의 근무 차례에 따라 당번이 되어 진료를 하는 의사.
  • 닻잡이 : 닻을 올리고 내리는 일을 하는 사람.
  • 대자연 : 大自然 넓고 큰, 위대한 자연.
  • 대자율 : 帶磁率 물질의 자기화의 세기와 자기장 세기의 비율. 상자성체에서는 양의 값을, 반자성체에서는 음의 값을 가지며 자기장의 세기와는 거의 관계없이 물질에 따라서 정하여지는 상수로, 강자성체에서는 자기화 곡선 상의 위치와 온도에 따라 변한다.
  • 대잡이 : 1 무당이 신탁을 받을 때 대를 잡는 사람. 2 꼭두각시놀음에서, 으뜸 조종자를 이르는 말.
  • 대장암 : 大腸癌 큰창자에 생기는 암. 변비와 설사를 되풀이하고 대변에 혈액이나 점액이 섞여 나온다.
  • 대장염 : 大腸炎 대장에 생기는 염증. 아랫배가 아프며 설사가 잦고 대변에 혈액이나 점액이 섞이며 배변 후에 불쾌감이 따른다.
  • 대장유 : 大腸兪 방광경에 속하는 혈. 제4ㆍ제5 허리뼈 극상 돌기 사이에서 양옆으로 각각 두 치 되는 곳이다.
  • 대장인 : 大將印 대장이 가지던 도장.
  • 대장일 : 수공업적인 방법으로 쇠를 달구어 연장 따위를 만드는 일.
  • 대재앙 : 大災殃 뜻하지 않거나 천재지변 따위로 일어나는 큰 변고. 또는 그런 사고.
  • 대쟁이 : ‘대장장이’의 방언
  • 대저울 : 대에 눈금이 새겨져 있고, 추가 매달려 있는 저울. 접시나 고리에 물건을 얹고 추를 대의 이쪽저쪽으로 움직여 평형을 이루도록 하여 무게를 잰다.
  • 대전어 : 大錢魚 청어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20cm 정도이고 전어와 비슷하나, 몸이 높고 머리가 짧으며 배는 은백색이다. 입은 배 쪽에 붙어 있으며 주둥이는 아래턱보다 나와 있다.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대전에 : 大전에 ‘대전어’의 방언
  • 대전음 : 大全音 순정조 음계에서, 음정이 넓은 쪽의 온음. 9 대 8의 진동수비(振動數比)를 가진 온음이다.
  • 대전의 : 大典儀 신라에서 둔, 대일임전의 으뜸 벼슬. 경덕왕 때 대도사를 고친 것으로, 위계는 나마(奈麻)에서 사지(舍知)까지이다.
  • 대정이 : ‘대장장이’의 방언
  • 대조영 : 大祚榮 발해의 시조(?~719). 시호는 고왕(高王). 고구려의 유민으로, 698년에 진(震)을 세워 왕이 되고, 713년에 고구려의 옛 영토를 회복하여 국호를 발해로 고쳤다. 재위 기간은 698~719년이다.
  • 대종에 : ‘대번에’의 방언
  • 대종이 : 예전에, 어린 대나무의 섬유를 원료로 하여 만든 얇은 종이. 종이 질이 좋아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데 많이 썼다.
  • 대주어 : 大主語 주어가 두 개인 문장에서 기본이 되는 주어. ‘노루가 꼬리가 짧다.’에서 ‘노루가’ 따위이다.
  • 대중약 : 大衆藥 의사가 발행한 처방전 없이도 살 수 있는 약.
  • 대중어 : 大衆語 어떤 사회를 구성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쓰는 말.
  • 대증약 : 對症藥 겉으로 나타난 질병의 증세만을 완화ㆍ치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 발열에 대하여 해열제를 쓰는 따위가 이에 속한다.
  • 대지악 : 大之萼 발해의 왕자(?~?). 846년 당나라에 하정사로 파견되었다.
  • 대지울 : ‘돼지우리’의 방언
  • 대지의 : 大地衣 조선 시대의 겨울 군복. 솜 대신 종이를 누벼 만들었으며, 주로 서북 변의 국경을 지키던 군졸들이 입었다.
  • 더저우 : Dezhou[德州] 중국 산둥성(山東省)의 서북부에 있는 도시. 대운하(大運河)에 면하고 있으며 진푸(津浦), 더스(德石) 두 철도가 만나는 곳이다. 부근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공업도 활발하다.
  • 덧작업 : 덧作業 일을 거듭해서 하거나 겹쳐서 함. 또는 그 일.
  • 데지이 : 치아가 없는 노인들을 위하여 무 따위를 데쳐서 담그는 김치.
  • 덴중이 : 불에 데어서 얼굴이나 몸에 상처가 많이 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덴둥이’이다.
  • 뎅젱이 : ‘방패연’의 방언
  • 뎌적의 : 저적에. 접때에.
  • 도자율 : 導磁律 자성체가 자기화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질 상수. 자기력선속 밀도와 자기장의 세기와의 비로 나타낸다. 자기화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도장용 : 塗裝用 도료를 칠하거나 바르는 데 쓰임. 또는 그런 물건.
  • 도장원 : 都壯元 과거에서, 갑과에 첫째로 급제함. 또는 그런 사람.
  • 도쟁이 : 1 ‘백장’의 방언 2 刀쟁이 칼을 갈아 주고 삯을 받는 사람. ⇒규범 표기는 ‘칼갈이’이다.
  • 도적일 : 盜賊일 남의 눈을 피해 가며 몰래 하는 일.
  • 도전율 : 導電率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상수. 전기 저항률의 역수이며 그 값은 온도가 상승하면 금속에서는 감소하고 반도체에서는 증가한다. 어드미턴스의 실수부이며, 직류에서는 저항의 역수이다. 단위는 지멘스(siemens)이고, 과거에는 모(mho)가 쓰였다.
  • 도정업 : 搗精業 남의 곡식을 찧거나 쓿어 주는 직업.
  • 도정역 : 都亭驛 신라 때에, 공무로 출장 중인 벼슬아치에게 숙박 따위의 편의를 제공하던 관아. 또는 그런 제도. 경덕왕 때 경도역을 고친 것이다.
  • 도종의 : 陶宗儀 중국 원말 명초 때의 학자(1316~1369). 원나라 때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낙방 후에 은거하여 부름에도 응하지 않고 학문에 몰두하였다. ≪철경록(輟耕錄)≫ 30권을 지었는데 역사 기록뿐만 아니라 서화, 소설, 희곡에 대한 논의가 기록되어 있어 참조된다. 저서로 ≪사부비유(四部備遺)≫, ≪설부(說郛)≫, ≪초망사승(草莽史承)≫ 따위가 있다.
  • 도주어 : ‘오징어’의 방언
  • 도중역 : 途中驛 길을 가는 중간에 있는 역.
  • 도짐이 : 가마에서 도기를 구울 때 도기를 놓는 받침.
  • 독작용 : 1 毒作用 건강이나 목숨에 해가 되는 작용. 2 獨作用 혼자서 하는 작용.
  • 독재이 : ‘돌장이’의 방언
  • 독쟁이 : ‘돌장이’의 방언
  • 독점욕 : 獨占欲 혼자서 다 가지려는 욕심.
  • 독진읍 : 獨鎭邑 예전에, 진영(鎭營)이 하나만 있던 읍.
  • 돈재이 : 돈이 아주 많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돈저울 : 돈을 다는 저울이라는 뜻으로, 돈을 기준으로 사람의 가치와 인품을 재는 것을 이르는 말.
  • 돈종이 : 지폐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종이.
  • 돈지유 : 豚脂油 돼지의 지방 조직에서 나온 흰색의 반고체를 정제한 기름. 비누의 원료나 피혁유(皮革油) 따위로 쓴다.
  • 돌잡이 : 1 첫돌에 돌상을 차리고 아이에게 마음대로 골라잡게 하는 일. 흔히 실ㆍ돈ㆍ곡식ㆍ붓ㆍ책ㆍ국수ㆍ활 따위를 돌상에 차리는데, 어느 것을 고르는가로 그 아이의 장래 운명을 점친다. 2 첫돌이 된 아이. 또는 그만한 시기의 아이.
  • 돌장이 : 돌을 다루어 물건을 만드는 사람.
  • 돌재악 : 강이나 바다의 바닥에서 오랫동안 갈리고 물에 씻겨 반질반질하게 된 잔돌. ⇒규범 표기는 ‘자갈’이다.
  • 돌재이 : ‘돌장이’의 방언
  • 돌쟁이 : 1 첫돌이 된 아이. 또는 그만한 시기의 아이. 2 ‘돌장이’의 방언
  • 돌지와 : ‘돌기와’의 방언
2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457 개의 단어) ⭐
  • 다자 多子 : 많은 경대부(卿大夫).
  • 다작 多作 : 작품 따위를 많이 지어냄.
  • 다재 多才 : 재주가 많음.
  • 다저 dagger : 농구에서, 승부를 예측할 수 없는 클러치 상황에서 마지막 공격에 성공하여 팀에는 승리를 안기고 상대 팀에는 뼈아픈 패배를 안기는 일. ⇒규범 표기는 ‘대거’이다.
  • 다적 茶積 : 차를 너무 많이 마셔 인이 박여, 나중에는 마른 차를 그대로 씹어 먹게 되는 적병(積病).
  • 다전 多錢 : 돈이 많음. 또는 그 돈.
  • 다점 多占 : 몇몇 기업이 어떤 상품 시장의 대부분을 지배하는 상태.
  • 다정 多情 : 정이 많음. 또는 정분이 두터움.
  • 다제 茶劑 : 여러 가지 식물성 생약을 혼합하여 말려서 만든 약제. 끓는 물에 넣어 우려내거나 달여서 먹는다.
(총 1,084 개의 단어) 🐈
  • 자아 自我 :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 정신 분석학에서는 이드(id), 초자아와 함께 성격을 구성하는 한 요소로, 현실 원리에 따라 이드의 원초적 욕망과 초자아의 양심을 조정한다.
  • 자안 字眼 : 한문으로 된 글 가운데 가장 중요한 대목의 글자.
  • 자애 : ‘자새’의 방언
  • 자액 自縊 : 스스로 목을 매어 죽음.
  • 자야 子夜 : 자시(子時) 무렵의 한밤중.
  • 자약 自若 : ‘자약하다’의 어근.
  • 자양 字樣 : 글자의 모양.
  • 자어 子魚 : 조그마한 물고기.
  • 자억 自抑 : 자기 자신을 억제함.
(총 100 개의 단어) 🦢
  • : 궁중에서, ‘숭늉’을 이르던 말.
  • :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대개 2~3개의 결각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봄에 단성화가 이삭 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9월에 붉은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저실’ 또는 ‘구수자’라 하여 약용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껍질은 한지를 만드는 데 쓴다.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이나 밭둑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 ‘닻’의 방언
  • : 짚, 땔나무, 채소 따위의 묶음.
  • : ‘닻’의 옛말.
  • : 심마니들의 은어로, ‘불’을 이르는 말.
  • : 꿩과의 새. 머리에 붉은 볏이 있고 날개는 퇴화하여 잘 날지 못하며 다리는 튼튼하다. 육용과 난용으로 육종된 수많은 품종이 있으며, 가금으로 가장 많이 사육한다. 원종은 인도, 말레이시아 등지의 들꿩이다.
  • : 집의 둘레나 일정한 공간을 둘러막기 위하여 흙, 돌, 벽돌 따위로 쌓아 올린 것.
  • : ‘무렵’의 방언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총 161 개의 단어) 💕
  • : 한글 자모 ‘ㅏ’의 이름.
  • : 있는 힘을 다하여 모질게 마구 쓰는 기운.
  • : ‘아우’의 방언
  •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 : ‘안’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안’으로 나타난다.
  • :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 : 아는 일.
  • : ‘앞’의 옛말.
  • : ‘알’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알’로 나타난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