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36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57개 세 글자:204개 네 글자:53개 다섯 글자:38개 여섯 글자 이상:15개 모든 글자: 368개

  • 굿 : (1)‘수굿하다’의 어근. (2)고개 따위를 숙이는 모양.
  • 날받이 씻김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이승에서 맺힌 원한을 풀지 못하고 죽은 사람의 넋 때문에 집안에 탈이 생길 때, 그 넋을 위로하려고 점쟁이에게 날을 받아서 한다.
  • 노랫굿 : (1)노래를 부르며 하는 굿.
  • 굿거리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에서 아홉째 가락을 이르는 말.
  • 씨름굿 : (1)씨름판에서 벌어진 씨름을 구경거리로 이르는 말.
  • 양주 소놀이굿 : (1)경기도 양주에 전승되는 굿. 농사나 사업이 잘되고 자손이 번창하기를 비는 굿으로, 제석거리에 이어 무당과 마부의 대화, 마부의 소리, 덕담, 마부와 소의 동작 따위로 엮어진다.
  • 저승혼사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총각과 처녀로 죽은 넋을 달래 준다. 총각의 무덤을 처녀의 무덤 옆으로 옮기거나 서로 합장하여 혼인 시킨 뒤, 그날 밤 총각 집 뜰에 차일을 두 곳에 치고 각각 넋을 씻긴다.
  • 뮤지엄 굿 : (1)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제작하여 판매하는 각종 기념물. 안내서, 화집, 카드, 엽서, 복제물 따위가 있다.
  • 경기 도당굿 : (1)수원, 인천과 한강 이북 지역에서 수호신을 위하여 벌이는 마을굿. 정월 초에 하기도 하고 봄가을에 정기적으로 하기도 한다.
  • 곽머리굿 : (1)‘씻김굿’의 방언
  • 등노래굿 : (1)별신굿에서, 무녀들이 등을 들고 나와 춤을 추며 노래하는 굿.
  • 뱃노래굿 : (1)강릉 단오굿이나 동해안 별신굿의 후반부 송신 과정에서 행하는 굿. 신이 떠날 때 타고 가는 배를 상징하는 굿으로, 굿당에 매어놓았던 용선을 내려 흔들면서 노래를 부른다.
  • 구지노귀굿 : (1)죽은 지 3년이 지나 탈상 뒤에 하는 지노귀굿.
  • 범탈굿 : (1)동해안 별신굿에서 행하는 굿의 하나. 범한테 물려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호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는 굿으로, 무당들이 범의 탈을 쓰고 나와 춤추고 논다.
  • 물렁굿 : (1)‘무릇’의 방언
  • 굿 : (1)‘무릇’의 방언
  • 전체굿 : (1)‘까닭’의 방언
  • 굿 : (1)껍질을 벗기기 위하여 삼을 넣고 찌는 구덩이나 솥. (2)껍질을 벗기기 위하여 삼을 구덩이나 솥에 넣고 찜. 전통적으로는 구덩이를 파고 자갈을 넣은 다음 불을 지펴 뜨겁게 달군 후 자갈 위에 삼을 올리고 흙을 덮은 뒤 물을 부어 그 열기로 찐다. 구덩이 위에 큰 솥을 걸고 물을 부어 끓이면서 그 속에 삼단을 담가 돌리면서 찌기도 한다.
  • 굿 : (1)땅을 다스리는 신령을 위하는 굿.
  • 난장굿 : (1)병신을 가장하여 서민들의 애환을 나타내던 굿.
  • 우마굿 : (1)소나 말이 잘 자라게 해 달라고 비는 굿.
  • 경사굿 : (1)집안에 재수가 형통하기를 비는 굿. (2)진도 씻김굿의 하나. 조상의 비를 세울 때 그 넋이 영화를 누리라고 행한다. (3)진도 씻김굿의 하나. 집안에 경사가 있을 때 조상 모두에게 조상의 은덕이라고 행한다.
  • 성문여는굿 : (1)호남 풍물놀이에서, 상쇠가 문잡는굿의 두 줄로 된 대형에서 한 사람씩 차례로 영기를 돌아 모두 데리고 나오는 놀이.
  • 당상강신굿 : (1)은산 별신제 절차에서, 제사 다음 날 아침 당상에서 귀신이 내려오도록 하는 굿.
  • 굿 : (1)환자의 병이 낫기를 비는 굿.
  • 걸립굿 : (1)마을의 공동 기금이 필요할 때, 걸립패들이 돈과 곡식을 거두면서 노는 굿. 대개 문굿, 들당산굿, 샘굿, 집돌이, 날당산굿의 순서로 되어 있다. (2)무당굿 열두 거리의 하나. 무당이 걸립신을 위해 하는 굿이다. (3)무당이 단골집이나 일반 가정을 상대로 쌀이나 돈을 얻으려고 돌아다니며 하는 굿. 제사를 지낼 때 무당이 계면굿을 하는 경우에는 집주인의 행운과 태평을 빈다.
  • 방울진굿 : (1)풍물놀이에서, 방울진을 치는 놀이.
  • 산대굿 : (1)산대놀음에 하는 굿.
  • 망자굿 : (1)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인도하기 위하여 하는 굿.
  • 타살굿 : (1)돼지나 소를 잡아 제물(祭物)로 바치는 굿.
  • 하당굿 : (1)은산 별신제 절차의 하나. 상당의 강신굿에 이어 하당에 제상을 차리고 하는 굿이다.
  • 시무굿 : (1)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잘 보내 달라고 저승사자에게 비는 굿.
  • 오구굿 : (1)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여 극락왕생을 하기를 비는 굿. 대개 죽은 지 한 해나 두 해 뒤에 한다.
  • 만구대택굿 : (1)황해도 지방에 내려오는 큰굿. 만신이 자신이 길러 낸 무당들과 단골들의 운수 대통을 빌기 위하여 자기의 집에서 이레에 걸쳐 벌이는 스물네 거리의 굿을 이른다.
  • 소대감놀이굿 : (1)서해안 지방에서 행하던 놀이굿. 무당이 며느리와 시누이, 봉사 역 등을 하며 덕담과 재담을 늘어놓고 난봉가 따위를 부르면서 제주의 복을 빌어 준다.
  • 풍물굿 : (1)풍물놀이와 함께 하는 굿.
  • 영등굿 : (1)음력 2월에 제주에서 영등할머니에게 올리는 당굿. 음력 2월 초하루에서 보름 사이에 해녀와 어부를 위하여 베풀어진다.
  • 굿 : (1)‘발솥’의 옛말.
  • 선창굿 : (1)어부들이 정월에 올리는 축원굿.
  • 장수굿 : (1)별신굿에서, 무녀가 놋동이를 입에 물고 장군신을 모시는 굿.
  • 좌도굿 : (1)전라도 동부 산간 지방의 풍물놀이. 경상도의 것과 비슷하며, 개인의 장기(長技)에 치중하는 것이 특색이다.
  • 굿 : (1)농사나 사업이 잘되고 자손이 번창하기를 비는 경사굿의 하나. 무당이 제석거리와 풍년을 비는 놀이를 시작하면, 마부가 나무 소를 몰고 들어와 무당과 대화하며 굿을 진행한다. 경기도 양주에서 행하여지고 있으나 황해, 평안, 함경에서도 행해졌다고 한다.
  • 제주 칠머리당굿 : (1)제주 해안 부락에 전하여 내려오는 영등굿놀이의 하나. 해녀들이 영등할머니에게 그해의 해산물이 풍요롭고 어업이 잘되기를 빈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이다.
  • 굿 : (1)집안이 평안하고 넉넉하기를 비는 굿.
  • 운봉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일곱째인 상쇠의 윗놀음. 또는 그 윗놀음에 쓰는 가락.
  • 굿 : (1)걸립 때의 구경거리.
  • 당맞이굿 : (1)별신굿 따위에서, 마을신을 서낭대에 내리게 하여 굿청으로 모셔 오는 과정.
  • 절궁굿 : (1)음력 정월에 풍물을 치면서 행하던 놀이의 하나. 구성은 마당밟이와 비슷하다.
  • 경기도 도당굿 : (1)수원, 인천과 한강 이북 지역에서 수호신을 위하여 벌이는 마을굿. 정월 초에 하기도 하고 봄가을에 정기적으로 하기도 한다.
  • 굿 : (1)껍질을 벗기기 위하여 닥나무를 넣고 찌는 구덩이나 솥.
  • 물굿물굿 : (1)‘멀뚱멀뚱’의 방언
  • 굿 : (1)풍물놀이 판굿의 하나. 일채, 이채, 삼채 따위의 징을 치는 수대로 장단을 차례로 친다.
  • 허튼굿 : (1)농악 십이채 판굿의 하나. 치배들이 사방으로 흩어지며 풍물놀이를 한다.
  • 산신굿 : (1)무당이 산신에게 올리는 굿.
  • 액맥이굿 : (1)‘액막이굿’의 방언
  • 요왕굿 : (1)‘용왕굿’의 방언
  • 파지굿 : (1)가산 오광대에서, 마지막에 관중과 함께 어울려 하는 굿.
  • 씻김굿 : (1)죽은 이의 영혼을 깨끗이 씻어 주어 이승에서 맺힌 원한을 풀고 극락왕생하기를 비는 굿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천신굿 : (1)무당이 가을이나 봄에 몸주에게 올리는 굿.
  • 수굿수굿 : (1)여럿이 다 고개를 조금 숙인 듯한 모양.
  • 삼신굿 : (1)씻김굿의 셋째 거리. 삼신상을 차려 놓고 제왕 풀이를 소리 내어 외운다. (2)삼신에게 아기를 낳게 해 달라고 또는 낳은 뒤에 오래 살게 해 달라고 비는 굿.
  • 진혼굿 : (1)죽은 사람의 넋을 달래어 위로하기 위한 굿.
  • 굿 : (1)문신(門神)을 달래는 굿. (2)마을 농악대가 각 집의 대문 앞에서 행하는 굿.
  • 삼차굿 : (1)농악 십이채 가락의 한 장단. 칠차굿보다 빠른 장단이다.
  • 소놀음굿 : (1)농사나 사업이 잘되고 자손이 번창하기를 비는 경사굿의 하나. 무당이 제석거리와 풍년을 비는 놀이를 시작하면, 마부가 나무 소를 몰고 들어와 무당과 대화하며 굿을 진행한다. 경기도 양주에서 행하여지고 있으나 황해, 평안, 함경에서도 행해졌다고 한다.
  • 칠차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일곱째인 상쇠의 윗놀음. 또는 그 윗놀음에 쓰는 가락.
  • 굿 : (1)주로 농촌에서 하는 민속 행사의 하나. 음력 정월 초승에 풍물패가 풍물을 치면서 마을을 돈 다음 집집마다 들어가 악귀를 쫓고 복을 빈다.
  • 여탐굿 : (1)집안에 경사가 있을 때 먼저 조상에게 아뢰는 굿.
  • 구눙굿 : (1)구눙을 위하는 굿. (2)별신굿에서, 무녀가 놋동이를 입에 물고 장군신을 모시는 굿.
  • 굿 : (1)죽은 사람의 넋이 저승에 잘 가기를 비는 굿.
  • 누운굿 : (1)광산이나 탄광에서, 수평으로 파 들어간 갱도.
  • 굿 : (1)거저 보여 주는 굿.
  • 굿 : (1)‘송곳’의 방언
  • 배뱅잇굿 : (1)황해도를 중심으로 한 서도 창극의 하나. 한 배우가 여러 역할을 도맡아 창으로 엮어 진행한다. 부모가 처녀로 죽은 배뱅이의 혼령을 위로하는 넋풀이를 하는데 엉터리 박수무당이 교묘한 수단을 써서 거짓 넋풀이를 해 주고 많은 재물을 얻는다는 내용이다. ⇒규범 표기는 ‘배뱅이굿’이다.
  • 동고사굿 : (1)마을 사람들이 마을을 지켜 주는 신인 동신(洞神)에게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 마을 사람들의 무병과 풍년을 빌며 정월 대보름날에 서낭당, 산신당, 당산(堂山) 따위에서 지낸다.
  • 호호굿 : (1)전라우도 풍물놀이 판굿이나 농악 십이채에서 “호호” 하고 구호를 부르며 치는 가락. 또는 그 가락에 맞춰 하는 놀이.
  • 날당산굿 : (1)호남 풍물놀이에서, 농악대가 당산에서 굿을 마치고 나오면서 인사로 하는 굿. (2)농악 십이채 가운데 진을 파는 놀이. 또는 그 가락.
  • 하회 별신굿 : (1)경상북도 안동시 하회 마을에 전승되어 오는 탈놀이. 음력 정초에 서낭제를 지내면서 행하던 것으로, 파계승과 양반을 풍자하고 서민의 궁핍상을 보여 주는 따위의 내용을 담은 8개의 마당으로 구성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하회 별신굿 탈놀이’이다.
  • 조상굿 : (1)조상을 위하여 무당을 시켜 하는 굿. 다리굿에서는 죽은 가족을 다 모시고, 별신굿에서는 마을의 조상을 다 모신다.
  • 도당굿 : (1)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무당이 주재한다는 점이 동신제와 다르다.
  • 자리굿 : (1)‘자리걷이’의 북한어.
  •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 (1)제주 해안 부락에 전하여 내려오는 영등굿놀이의 하나. 해녀들이 영등할머니에게 그해의 해산물이 풍요롭고 어업이 잘되기를 빈다.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71호.
  • 굿 : (1)마을의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음력 정월 중 수신(水神)이 내려오는 날을 점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세 명이 한밤중에 우물가에서 드린다.
  • 자반굿 : (1)북재비들이 자반뒤지기를 하면서 치는 굿.
  • 건덜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보통의 굿 가락.
  • 서낭굿 : (1)서낭신을 위하는 굿. 무당이 음식을 차려 놓고 노래와 춤으로 신을 즐겁게 하여 복을 빈다.
  • 씻겜굿 : (1)‘씻김굿’의 방언
  • 울굿불굿 : (1)‘울긋불긋’의 방언
  • 범안굿 : (1)동해안 별신굿에서 행하는 굿의 하나. 범한테 물려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호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는 굿으로, 무당들이 범의 탈을 쓰고 나와 춤추고 논다.
  • 산지노귀굿 : (1)노인들이 살아생전에 행하는 지노귀굿.
  • 싯김굿 : (1)‘지노귀새남’의 방언
  • 단양굿 : (1)단오 전후에 강원도 강릉 지방에서 행하는 마을굿. 풍년을 빌고 재앙을 쫓기 위하여 서낭신에게 굿을 올리며 각종 민속놀이도 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강릉 단오제’이다.
  • 바꿈진굿 : (1)호남 풍물놀이 판굿의 하나. 좌우로 갈라섰던 두 줄의 자리를 한꺼번에 바꾸는 놀이이다.
  • 문잡는굿 : (1)호남 풍물놀이에서 행하는 놀이의 하나. 영기가 두 군데에 문처럼 서면 상쇠는 놀이꾼 전원을 한 줄로 세워 놓고 한 명씩 데리고 나와 영기를 돈 뒤에 다른 쪽 영기와 직선이 되게 두 줄로 갈라놓는 놀이이다.
  • 골막이굿 : (1)영남 일대에서 행하는 동신제(洞神祭).
  • 혼인 여탐굿 : (1)집안에 혼례가 있을 때 이를 조상신에게 아뢰어 축복하기 위한 굿.
  • 굿 : (1)두 동네 이상의 농악단이 함께 하는 굿.
  • 탈상굿 : (1)대상(大祥)을 치르고 나서 하는 굿.
  • 상당굿 : (1)은산 별신제에서, 마을 사람들이 상당에 제물을 올리는 의식.
  • 청좌굿 : (1)동해안의 별신굿에서, 신을 청하여 앉히는 굿.
1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 (99개) : 굿, 굿갈리다, 굿감독, 굿거, 굿거리, 굿거리가락, 굿거리굿, 굿거리 시조, 굿거리장단, 굿거리춤, 굿 거버넌스, 굿것, 굿게, 굿 구경 간 어미 기다리듯, 굿 구경을 하려면 계면떡이 나오도록, 굿극, 굿길, 굿 나이트, 굿 나잇, 굿놀음, 굿 놀이, 굿단두리, 굿단속, 굿단속하다, 굿당, 굿덕대, 굿도 볼 겸 떡도 먹을 겸, 굿돌, 굿 뒤에 날장구[쌍장구] (친다), 굿 들은 무당 재 들은 중 ...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굿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36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