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36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57개 세 글자:204개 네 글자:53개 다섯 글자:38개 여섯 글자 이상:15개 🐳모든 글자: 368개

  • 마을굿 : (1)마을이 넉넉하고 평안하기를 비는 굿.
  • 허치자굿 : (1)전라도에서 행하여지는 풍물놀이 판굿의 하나. 마지막으로 구경꾼들에게 흩어져 돌아가라는 뜻으로 한다. ‘허치자’는 헤어지게 하자는 뜻의 방언이다.
  • 대감굿 : (1)열두 거리 굿의 하나. 무당이 집터를 지키는 터줏대감을 모셔 춤추고 풍악을 울리며 즐겁게 노는 굿이다. 열두 거리 굿 가운데 가장 중요하므로 전체 굿을 이르기도 한다.
  • 지석굿 : (1)‘제석굿’의 방언
  • 굿 : (1)‘눈구석’의 옛말.
  • 굿 : (1)‘무릇’의 방언
  • 재수굿 : (1)집안에 재수가 형통하기를 비는 굿.
  • 안택굿 : (1)무당이 집안의 터주를 위로하기 위하여 하는 굿.
  • 성조굿 : (1)집의 수호신으로 성주를 새로 모시는 굿.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를 한 뒤 또는 남자 주인인 대주(大主)의 나이가 17세, 27세, 37세 따위와 같이 7 자가 되는 해의 10월에 날을 가려 한다.
  • 선왕굿 : (1)서낭신을 위하는 굿. 무당이 음식을 차려 놓고 노래와 춤으로 신을 즐겁게 하여 복을 빈다. ⇒규범 표기는 ‘서낭굿’이다.
  • 도신굿 : (1)‘성주풀이’의 방언
  • 안반굿 : (1)본굿으로 들어가기 전에, 굿하는 자리와 집 둘레의 나쁜 기운을 쫓고 굿한다는 사실을 안당의 조상신과 성주신에게 아뢰는 일.
  • 뒷전굿 : (1)뒷전풀이로 하는 굿.
  • 대동 마당굿 : (1)대동 놀이를 겸한 의미의 마당굿.
  • 구능굿 : (1)장군이나 군웅 따위를 신으로 모시고 그 힘을 빌려 액을 막는 굿.
  • 굿 : (1)‘서커스’의 방언
  • 감흥굿 : (1)대동굿의 다섯 번째 거리. 무당이 청해서 온 신령들을 즐겁게 놀도록 하고 제단에 앉게 하는 절차이다.
  • 안진굿 : (1)장구를 치지 아니하고, 춤도 추지 아니하면서 하는 굿의 하나. ⇒규범 표기는 ‘앉은굿’이다.
  • 경기굿 : (1)경기도에서 행해지는 굿을 통틀어 이르는 말. 경기굿은 한강을 가운데 두고 각각 강신무와 세습무가 주축을 이루며, 산악 문화와 해양 문화가 공존함으로써 도당굿이나 다양한 형태의 풍어굿이 전승되어 왔다.
  • 굿 : (1)‘마마’의 방언
  • 굿 : (1)‘동곳’의 방언 (2)‘비녀’의 방언
  • 길닦음굿 : (1)죽은 사람의 이승에 맺힌 한을 풀어 주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굿.
  • 서울 새남굿 : (1)서울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고 좋은 세상으로 인도하기 위한 굿. 주로 상류층이나 부유층 사이에서 행해졌으며, 죽음과 관련된 의례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고 궁중 문화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 굿 : (1)풍년을 빌며 논에서 지내는 제사. 유두고사와 용신제(龍神祭) 따위가 있다.
  • 해원굿 : (1)억울하게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한을 풀기 위하여 하는 굿.
  • 소쩍새굿 : (1)우도굿에서, 상쇠와 부쇠가 꽹과리로 소쩍새 우는 소리를 연주하는 판굿. 또는 그 가락.
  • 소상씻김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초상 때 씻김굿을 하지 아니하고 소상 날 밤에 상청 앞이나 뜰에서 한다.
  • 잔상굿 : (1)예전에, 주로 큰 도시의 상인들이 장사가 잘되기를 기원하며 시월 상달에 행하던 굿.
  • 별신굿 : (1)동해안 일부와 충남 은산에서 전하여지는 복합적인 형식의 부락제. 유교식으로 제관이 축문을 읽은 뒤, 무당이 나와 굿을 한다.
  • 사남굿 : (1)혼을 위로하는 굿. 제주 지역에서는 ‘남굿’으로도 적는다.
  • 문전굿 : (1)대문에서 문전신을 모셔 집안에 평안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굿.
  • 오방진굿 : (1)풍물놀이 판굿에서, 오방진을 지었다 풀었다 하는 놀이.
  • 심청굿 : (1)동해안 일대에서 무당들이 주관하는 동제(洞祭)인 풍어제. (2)별신굿에서, 무녀가 심청가를 부르면서 하는 굿. 주민들의 눈병을 없애 주고 눈망울을 맑게 해 달라는 뜻에서 한다.
  • 서해안 대동굿 : (1)황해도와 평안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서해안 일대에서, 음력 1월과 2월에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빌며 벌이던 마을굿.
  • 안당굿 : (1)안방이나 대청에서 성주신, 조상신, 삼신에게 먼저 굿을 고하는 절차. (2)안당 앞에 굿상을 차려 놓고 밖에서 떠도는 서낭신, 손님신 따위를 모셔다 놓고 하는 굿.
  • 창부굿 : (1)광대의 신(神)인 창부를 청하여 위하는 굿.
  • 굿 : (1)상쇠의 가락에 맞추어 원을 그리며 춤을 엮어 나가는 풍물놀이.
  • 모내기굿 : (1)모를 심을 때에 하는 풍물놀이.
  • 민족굿 : (1)일정한 지역에서 오랜 세월 동안 공동생활을 해 온 민족의 전통에 따라 만들어져 그 구성원이 함께 향유하는 무속의 종교 제의.
  • 영동굿 : (1)음력 2월에 제주에서 영등할머니에게 올리는 당굿. 음력 2월 초하루에서 보름 사이에 해녀와 어부를 위하여 베풀어진다.
  • 살량굿 : (1)전라남도 해남에서, 정신병을 일으키는 귀신인 청계를 쫓아 병을 낫게 하려고 벌이는 굿.
  • 소리굿 : (1)풍물놀이 판굿에서, 가락을 치면서 앞소리와 뒷소리를 함께 하는 소리.
  • 굿 : (1)크고 성대하게 차리고 하는 굿.
  • 다리굿 : (1)평양에서 전승되는 굿의 하나. 죽은 사람의 영혼이 극락으로 가기를 염원하거나 생존한 노인의 사후 내세 천도를 기원하는 굿으로, 본디는 평양의 연유교(延裕橋)에서 여자 상제와 영결을 고하는 의식으로 진혼제를 겸하여 하던 것이다.
  • 칠성굿 : (1)칠성신을 모셔 위하는 굿.
  • 팥노굿 : (1)팥의 꽃. 꽃은 둘 내지 세 쌍이 피는데, 크고 나비 모양이며, 누런색 또는 붉은 자주색이다. 약용한다.
  • 강릉 별신굿 : (1)단오 전후에 강원도 강릉 지방에서 행하는 마을굿. 풍년을 빌고 재앙을 쫓기 위하여 서낭신에게 굿을 올리며 각종 민속놀이도 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강릉 단오제’이다.
  • 답정굿 : (1)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영남에서 행해져 온 민속놀이의 하나. 마을 사람들이 농악대를 앞세우고 집집마다 돌며 땅을 다스리는 신령을 달래어 연중 무사를 빌고, 집주인은 음식이나 곡식, 돈으로 이들을 대접한다.
  • 굿 : (1)굽거나 찌기 위하여 돌로 쌓아서 만든 구덩이.
  • 양진명소 오룡굿 : (1)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 탄금대 아래의 양진명소라는 나루터에서 무당이 다섯 용에게 제사 지내던 굿. 영신(迎神)굿, 오신(娛神)굿, 송신(送神)굿으로 이루어진다.
  • 상당강신굿 : (1)은산 별신제 절차에서, 제사 다음 날 아침 당상에서 귀신이 내려오도록 하는 굿.
  • 단오굿 : (1)단오 전후에 강원도 강릉 지방에서 행하는 마을굿. 풍년을 빌고 재앙을 쫓기 위하여 서낭신에게 굿을 올리며 각종 민속놀이도 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강릉 단오제’이다.
  • 좌질굿 : (1)전라우도 풍물놀이 판굿의 하나. 오채질굿장단을 치면서 왼쪽으로 둥그렇게 돌아간다.
  • 굿 : (1)‘내색’의 방언
  • 진도 씻김굿 : (1)전라남도 진도에서 행하는 씻김굿. 시간과 장소에 따라 굿의 내용이 다르다. 곽머리 씻김굿, 소상씻김굿, 대상씻김굿, 날받이 씻김굿, 가묘 씻김굿, 영화씻김굿, 넋건지기굿, 저승혼사굿 따위가 있다. 안땅, 혼맞이, 초가망석, 쳐올리기, 손님굿, 제석굿, 고풀이, 영혼말이, 이슬털기, 왕풀이, 넋풀이, 동갑풀이, 약풀이, 넋올리기, 손대잡이, 희설, 길닦음, 종천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72호.
  • 굿 : (1)‘수염’의 방언
  • 굿 : (1)길놀이로 하는 풍물놀이.
  • 굿 : (1)무당이 무악의 반주에 따라 노래하고 춤추면서 제의를 진행하는 굿.
  • 굿 : (1)여러 사람이 모여 떠들썩하거나 신명 나는 구경거리. (2)무속의 종교 제의. 무당이 음식을 차려 놓고 노래를 하고 춤을 추며 귀신에게 인간의 길흉화복을 조절하여 달라고 비는 의식이다. (3)땅이 움푹하게 파인 곳. (4)뫼를 쓸 때에, 널이 들어갈 만큼 알맞게 파서 다듬은 속 구덩이. (5)광산에서, 무너지지 아니하도록 손을 보아 놓은 구덩이. (6)‘북’의 방언 (7)배드민턴에서, 코트 안에 셔틀콕이 들어간 상황. 코트 선에 떨어지는 경우도 포함되며, 코트 선의 너비는 3.8cm이다.
  • 호탈굿 : (1)동해안 별신굿에서 행하는 굿의 하나. 범한테 물려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호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는 굿으로, 무당들이 범의 탈을 쓰고 나와 춤추고 논다.
  • 수망굿 : (1)물에 빠져 죽은 사람의 영혼을 건져서 극락으로 인도하는 굿.
  • 서해안 배연신굿 : (1)서해안 지역에서 배 주인이 배의 안전과 풍어, 집안의 번창을 빌며 벌이던 무당굿. 바다에 배를 띄우고 배 위에서 지냈다.
  • 걸궁굿 : (1)동네에 경비를 쓸 일이 있을 때, 여러 사람들이 패를 짜서 각처로 다니면서 풍물을 치고 재주를 부리며 돈이나 곡식을 구하는 일. (2)걸립 때의 구경거리.
  • 고방굿 : (1)농악대가 고방에서 부귀를 비는 뜻으로 하는 굿.
  • 삼채굿 : (1)풍물놀이나 무속 음악 장단의 하나. 삼채는 징 따위를 세 번 친다는 뜻이다.
  • 장군굿 : (1)별신굿에서, 무녀가 놋동이를 입에 물고 장군신을 모시는 굿.
  • 굿 : (1)농사나 사업이 잘되고 자손이 번창하기를 비는 경사굿의 하나. 무당이 제석거리와 풍년을 비는 놀이를 시작하면, 마부가 나무 소를 몰고 들어와 무당과 대화하며 굿을 진행한다. 경기도 양주에서 행하여지고 있으나 황해, 평안, 함경에서도 행해졌다고 한다.
  • 모시 굿 : (1)전통 모시를 짜는 과정의 하나. 모시풀에서 뽑아낸 태모시 올을 손바닥으로 비벼 연결하여 모시를 만든다.
1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 (99개) : 굿, 굿갈리다, 굿감독, 굿거, 굿거리, 굿거리가락, 굿거리굿, 굿거리 시조, 굿거리장단, 굿거리춤, 굿 거버넌스, 굿것, 굿게, 굿 구경 간 어미 기다리듯, 굿 구경을 하려면 계면떡이 나오도록, 굿극, 굿길, 굿 나이트, 굿 나잇, 굿놀음, 굿 놀이, 굿단두리, 굿단속, 굿단속하다, 굿당, 굿덕대, 굿도 볼 겸 떡도 먹을 겸, 굿돌, 굿 뒤에 날장구[쌍장구] (친다), 굿 들은 무당 재 들은 중 ...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굿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36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