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673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37개 세 글자:291개 네 글자:138개 다섯 글자:59개 여섯 글자 이상:47개 🍕모든 글자: 673개

  • 대보름 : (1)음력 정월 보름날을 명절로 이르는 말. 새벽에 귀밝이술을 마시고 부럼을 깨물며 약밥, 오곡밥 따위를 먹는다.
  • 섣덜그문 : (1)‘섣달그믐’의 방언
  • 작은슬 : (1)‘작은설’의 방언
  • 잔치 : (1)‘잔칫날’의 북한어.
  • 국제 여성의 : (1)여성의 정치적 자유와 평등을 위하여 매년 3월 8일에 가지는 국제적 기념일. 1904년 3월 8일 뉴욕에서 열린 사회주의 여성 동맹의 여성 참정권 요구에서 비롯되었다.
  • 우에 : (1)‘볏’의 방언
  • 방송의 : (1)문화 향상과 공공복지에 대한 방송의 역할을 국민에게 홍보하기 위하여 정한 날. 9월 3일이다. 1947년 국제 무선 통신 회의에서 정식으로 한국 호출 부호인 ‘에이치엘(HL)’을 배정한 날이다.
  • : (1)지난 지 꽤 오래된 시기를 막연히 이르는 말. (2)이미 지나간 어떤 날.
  • : (1)장이 서는 날. 보통 닷새 만에 서며 사흘 만에 서기도 한다.
  • 삼실 : (1)‘삼짇날’의 방언
  • 빨간 : (1)일요일이나 공휴일과 같이 달력에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일을 하지 않고 쉬는 날.
  • : (1)‘공일’의 방언
  • 꺾임 : (1)프리즘의 모서리.
  • : (1)첫돌이 되는 날. (2)돌날떼기로 돌에서 떼어 낸 길이가 너비의 두 배를 넘는 긴 격지. 후기 구석기 시대에 발달한 것으로 그대로 칼날같이 쓰거나 약간 손질하여 여러 가지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 웰 끝 : (1)단단한 지반이나 자갈층에서도 웰의 끝이 상하지 않고 침하를 하도록 뾰족하게 강판으로 보강한 웰의 밑부분.
  • : (1)지지(地支)가 자(子)로 된 날.
  • 이렛 : (1)일곱째 날. (2)일곱 날. (3)매달 초하룻날부터 헤아려 일곱째 되는 날.
  • : (1)‘토끼날’의 북한어.
  • 일곱무 : (1)조수 간만의 차를 헤아려 볼 때에, 음력으로 그믐과 초하루, 보름과 열엿새를 이르는 말.
  • 괭이형 : (1)괭이 형태의 날.
  • 나훋 : (1)‘나흗날’의 방언
  • 자귀 : (1)한쪽 면만 떼어 내거나 갈아서 만든 날.
  • 삭발 : (1)승려들이 머리털을 깎기 위하여 정한 날.
  • : (1)돗자리 따위를 엮을 때 날로 쓰는 노끈.
  • 심판의 : (1)이 세상이 끝날 때 하나님이 만인을 심판한다는 날.
  • : (1)‘바늘’의 방언
  • : (1)일정한 날을 기준으로 한 바로 앞 날. (2)이전의 어느 날. 또는 얼마 전.
  • 후렴 : (1)동제(洞祭)가 끝난 다음 날. 이날 동제에 사용한 제물을 나누어 먹으며 즐기고 마을 회의를 연다.
  • 잔쳇 : (1)‘잔칫날’의 방언
  • 기제삿 : (1)기제사를 지내는 날.
  • 향토 예비군의 : (1)모든 예비군이 향토방위의 임무를 새롭게 다짐하자는 뜻에서 정한 날. 4월 첫째 금요일이다.
  • 차 없는 : (1)구급차와 같은 긴급 차량, 대중교통, 생계형 차량을 제외한 개인 승용차의 이용을 자발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지정한 날.
  • 바다의 : (1)해양 국가로서 국제 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기르고 바다 및 해양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제정한 날. 신라 시대의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한 5월을 기념하여 정한 날로, 5월 31일이다.
  • 가락 : (1)‘보습’의 방언
  • : (1)‘곗날’의 방언
  • 춘분 : (1)춘분이 되는 날.
  • : (1)길게 뻗어 나간 언덕의 등성이. ⇒규범 표기는 ‘긴등’이다.
  • 녀 : (1)‘여름날’의 옛말.
  • 제향 : (1)제향을 지내는 날. (2)소설가 채만식이 지은 희곡. 19세기 말부터 1930년대까지 온갖 민족의 수난을 모두 겪은 할머니가 남편의 제삿날 밤에 식민지 세대인 손자에게 지난날을 이야기해 주는 형식의 작품이다. 1937년에 발표되었다.
  • 다쐣 : (1)‘닷샛날’의 옛말.
  • 아흐렛 : (1)아홉째의 날. (2)아홉 날. (3)매달 초하룻날부터 헤아려 아홉째 되는 날.
  • : (1)‘뒷날’의 북한어.
  • : (1)‘하늘’의 방언
  • 장맛 : (1)장맛비가 오는 날.
  • 단잇 : (1)‘단옷날’의 방언
  • 사흗 : (1)셋째 날. (2)매달 초하룻날부터 헤아려 셋째 되는 날.
  • : (1)‘옛날’의 방언
  • 가마니 : (1)가마니를 짤 때 세로로 드리우는 가는 새끼줄.
  • 경운 : (1)로터리의 경운축에 장착하여 땅을 갈거나 흙을 파쇄하는 날.
  • 초아으렛 : (1)‘초아흐렛날’의 방언
  • 추석 : (1)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팔월 보름날이다.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따위의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낸다.
  • 섣달그뭄 : (1)‘섣달그믐’의 방언
  • 갈이 : (1)말이나 소에 매달아 논밭을 가는 농기구.
  • 전전 : (1)어떤 날의 이틀 전. (2)어제의 전날.
  • 두렛 : (1)두렛일을 하는 날.
  • 바이 : (1)폴리비닐 알코올을 원료로 하는 합성 섬유. 친수성, 흡습성, 보온성이 좋으며, 산과 알칼리에 강하고, 무명에 가까운 성질과 감촉이 있다. 나일론보다 다소 떨어지나 내약품성, 내마찰성이 커서 혼방에 적당하다. 모포, 천막, 학생복 따위를 만드는 데에 쓴다.
  • 시무 : (1)‘스무날’의 방언
  • 운수 좋은 : (1)1924년 6월 ≪개벽≫에 발표된 현진건의 단편 소설. 인력거꾼의 하루를 그린 작품으로, 가난한 하층민의 비참한 현실을 고발한 작품이다. 한국 단편 소설의 중요한 형식인 아이러니를 완성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가치를 지닌다.
  • : (1)재가 불자가 팔계를 지키는 날. 이날은 특히 행동ㆍ언어ㆍ생각 따위를 조심하여, 선행을 닦는 정진일(精進日)로 삼는다.
  • 서웃 : (1)‘설날’의 방언
  • 겨울의 첫 : (1)일평균 기온이 5℃ 미만으로 떨어진 후 다시 올라가지 않는 첫날.
  • 그적아시 : (1)‘그끄저께’의 방언 (2)‘그끄저께’의 방언
  • 생신 : (1)‘생일날’을 높여 이르는 말.
  • 일꾼 : (1)농가에서, 음력 이월 초하룻날을 이르는 말. 이날 주인은 머슴들에게 술과 음식을 한턱내어 위로하고, 머슴들은 풍물을 치고 노래와 춤으로 하루를 즐긴다.
  • 어버이 : (1)낳아 주시고 길러 주신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을 기념하여 제정한 날. 이전의 ‘어머니날’을 확대하여 정한 날로, 5월 8일이다.
  • 성년의 : (1)성년이 되는 것을 기념하여 정한 날. 우리나라에서는 만 19세가 되는 사람을 대상으로 행사를 실시한다. 5월 셋째 월요일이다.
  • 그믐 : (1)음력으로 그달의 마지막 날.
  • 무싯 : (1)정기적으로 장이 서는 곳에서, 장이 서지 않는 날.
  • 다음 : (1)정하여지지 아니한 미래의 어떤 날.
  • : (1)낫에서 날카롭게 날이 선 부분.
  • 내릿 : (1)‘매일’의 방언
  • 홀수 : (1)날짜가 홀수인 날. ⇒규범 표기는 ‘홀숫날’이다.
  • 아트리 : (1)식물의 가지에서 생장점의 활동을 억제하고 정아 우세를 방해하여 곁가지가 발생하게 만드는 적심제의 한 종류. 체관부를 통로로 식물에 작용하며, 주로 관상식물의 정형 작업에 쓰인다.
  • : (1)‘볏’의 방언 (2)끝이 빗처럼 톱니 모양으로 된 날. 머리숱을 칠 때 사용한다.
  • 바이트 : (1)바이트의 앞면과 뒷면에 날카롭게 만들어진 부분. 소재에 직접 닿아 쇠를 깎아 내는 부분이며, 잘 닳지 않고 단단하며 강하고 열에 견디는 성질이 높은 소재로 만든다.
  • : (1)‘미투리’의 방언
  • 가래 : (1)‘가랫날’의 북한어.
  • 제적 : (1)‘그글피’의 방언
  • 설포 : (1)수면제ㆍ마취제의 하나. 현재는 독성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저냑 : (1)‘저녁때’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냑날’로도 적는다. (2)‘그글피’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냑날’로도 적는다.
  • : (1)‘놋날’의 북한어.
  • 며 : (1)‘며칟날’의 옛말.
  • 배깟 : (1)‘바깥날’의 방언
  • 봄의 첫 : (1)일평균 기온이 5℃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떨어지지 않는 첫날.
  • : (1)물이나 액체 따위가 흐르도록 만들어 놓은 도랑 모양의 물건이나 부분. ⇒남한 규범 표기는 ‘카날’이다.
  • 안식 : (1)‘안식일’의 북한어.
  • 월급 : (1)월급을 받기로 되어 있는 날.
  • 소뷔 : (1)‘볏’의 방언
  • 나앋 : (1)‘나흗날’의 방언
  • 돼지 : (1)지지(地支)가 해(亥)로 된 날.
  • 보룸 : (1)‘보름날’의 방언
  • 네무 : (1)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볼 때에, 열사흘과 스무여드레를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너무날’이다. (2)‘너무날’의 북한어.
  • 하지 : (1)‘하짓날’의 북한어.
  • : (1)‘눈알’의 방언
  • 마감 : (1)정해진 기한의 마지막 날.
  • 한갑 : (1)‘환갑날’의 방언
  • 하짓 : (1)하지가 되는 날.
  • 단옷 : (1)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한다.
  • 열를 : (1)‘열흘날’의 방언
  • 명질 : (1)해마다 일정하게 지키어 즐기거나 기념하는 때. 우리나라에는 설날, 대보름날, 단오, 추석, 동짓날 따위가 있다.
1 3 4 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8개) : 나, 낙, 낛, 난, 낟, 날, 낡, 남, 납, 낫, 낭, 낮, 낯, 낱, 낳, 내, 낵, 낸, 낼, 냄, 냅, 냇, 냉, 냏, 냐, 냔, 냘, 냥, 냬, 냰, 너, 넉, 넋, 넌, 널, 넘, 넙, 넛, 넝, 넠, 넢, 네, 넥, 넨, 넬, 넴, 넵, 넷, 넹, 넼, 넽, 넾, 넿, 녀, 녁, 년, 녈, 념, 녑, 녕, 녘, 녜, 녬, 녯, 노, 녹, 논, 놀, 놁, 놈, 놉, 놋, 농, 놓, 뇌, 뇍, 뇜, 뇨, 뇰, 누, 눈, 눌, 눔, 눕, 눗, 눚, 눛, 눞, 눠, 눰, 눼, 뉘, 뉨, 뉫, 뉯, 뉴, 늄, 늇, 느, 늑 ...

실전 끝말 잇기

날로 시작하는 단어 (993개) : 날, 날가기, 날가루, 날가리, 날가미, 날가얌이, 날가재미, 날가죽, 날가지, 날가지숭어, 날가지숭엇과, 날각, 날간, 날간장, 날갈이, 날감, 날감자, 날감저, 날감지, 날감치, 날갑지, 날강도, 날강도질, 날강도패, 날강목, 날개, 날개(가) 돋치다, 날개 가시 돌기, 날개 가시 인대, 날개가지나방 ...
날로 시작하는 단어는 99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날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673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