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77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66개 세 글자:212개 네 글자:257개 다섯 글자:73개 여섯 글자 이상:70개 💘모든 글자: 779개

  • 기역니은디귿차 : (1)한글의 ‘ㄱ, ㄴ, ㄷ……’ 차례로 매기는 순서.
  • : (1)예절에 맞음. (2)신랑, 신부가 첫날밤을 치름. 또는 그런 절차.
  • 련비 : (1)‘연비례’의 북한어.
  • 유사 사 : (1)환자에게서 나타난 증상이 이미 확립된 어떤 병의 증상과 매우 유사하지만 전형적이지 않은 사례.
  • 차조 : (1)1773년에 만든 영국의 식민지 무역 규제법. 이에 따라 아메리카 식민지와의 차[茶] 무역 독점권을 동인도 회사에 줌으로써, 보스턴 차 사건을 일으켜 미국 독립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 취결례 첨 : (1)‘예수 봉헌 축일’의 전 용어.
  • : (1)나라의 길흉에 대한 의식.
  • 성령 세 : (1)성령이 사람의 마음속에 임하여 모든 죄를 깨끗하게 씻어 주는 세례.
  • 클래런던 조 : (1)1166년에 잉글랜드의 왕 헨리 이세가 클래런던의 귀족 회의에서 제정한 법령. 신성 재판이나 결투 재판을 통해 가려지던 재판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민간인의 증거 조사를 수행하는 증거 중심 재판으로 제도가 정비되었다.
  • 의전 : (1)전례에 의함.
  • 아기 세 : (1)유아에게 세례를 베풀어 그로 하여금 구제의 축복에 참여하게 하는 관례.
  • : (1)예의범절에서 벗어나는 짓을 함. 또는 예의를 갖추지 못함.
  • 배표 : (1)조선 시대에, 중국 황제에게 표문을 보내며 치르던 의례. 왕이 신료들을 거느리고 근정전(勤政殿) 월대에서 행하였다.
  • 변화지 : (1)성체 성사(聖體聖事)에서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하는 일.
  • 이삭형 꽃차 : (1)무한 꽃차례의 하나. 한 개의 긴 꽃대 둘레에 여러 개의 꽃이 이삭 모양으로 피는 꽃차례를 이른다. 질경이, 오이풀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사위 : (1)왕위를 이어받는 의식.
  • 회혼 : (1)부부가 혼인하여 함께 맞이하는 예순 돌을 기념하는 잔치.
  • : (1)나라의 제사 때에 홀기(笏記)를 읽는 일을 맡아보던 임시 벼슬.
  • 섭좌통 : (1)조선 시대에, 임시로 좌통례를 맡은 벼슬아치.
  • 조화 비 : (1)a, b, c 사이에 a-b :b-c =a:c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의 비례. 이 관계는 1/a+1/c=2/b가 되어 a, b, c가 조화수열을 이룬다.
  • : (1)예를 다하여 행함.
  • 안수 : (1)목사나 신부 등이 기도를 받는 사람의 머리에 손을 얹어 축복하는 의식. (2)목사가 성직 후보자의 머리에 손을 얹어 성별(聖別)하는 성직 임명의 의식.
  • 세족 : (1)성목요일 저녁 미사 때에, 열두 제자의 발을 씻긴 예수를 본받아 거행하는 예절. 12명의 어른이나 어린이를 뽑아 그들의 오른발을 씻긴 뒤 닦아 준다.
  • 정반비 : (1)정비례와 반비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사람이나 사물을 평가할 때에 긍정적인 점과 부정적인 점 등 서로 상반되는 측면이 비례적으로 놓이기도 하고 반비례적으로 놓이기도 하는 것. 또는 그런 특성.
  • 야유 세 : (1)남에게 빈정거리거나 비웃는 말을 많이 하는 일.
  • : (1)예로부터 내려오는, 습관이 된 전례. (2)서예에서, 한자의 서체 가운데 보통의 예서(隷書)를 팔분(八分)에 대하여 이르는 말. (3)옛날의 예법이나 예절.
  • 혹평 세 : (1)가혹한 비평을 한꺼번에 많이 받는 일.
  • 활용 : (1)충분히 잘 이용한 예.
  • 외자관 : (1)예전에, 혼인을 정한 데 없이 상투만 틀어 올리던 일.
  • 면신벌 : (1)예전에, 새로 부임한 관원이 선임자들을 청하여 음식을 대접하던 일.
  • 욕세 : (1)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욕하거나 한 사람이 여러 차례 욕하는 일. 또는 그런 욕을 듣게 되는 일.
  • 고시 : (1)민간 신앙에서, 산이나 들에서 음식을 먹을 때나 무당이 굿을 할 때, 귀신에게 먼저 바친다는 뜻으로 음식을 조금 떼어 던지는 일. 고시(高矢)는 단군 때에 농사와 가축을 관장하던 신장(神將)의 이름으로, 그가 죽은 후에도 음식을 먹을 때는 그에게 먼저 음식을 바친 뒤에 먹게 된 데서 유래한다. 한자를 빌려서 ‘高矢禮’로 적기도 한다. ⇒규범 표기는 ‘고수레’이다. (2)‘고수레’를 할 때 외치는 소리. 한자를 빌려서 ‘高矢禮’로 적기도 한다. ⇒규범 표기는 ‘고수레’이다.
  • 구의지 : (1)고려 시대에 왕이 왕사(王師)나 국사(國師)로 책봉될 고승(高僧)에게 행한 예의. 왕사나 국사에 책봉될 고승을 윗자리에 앉히고 왕은 그 아래에서 옷을 걷어 올리고 절을 하여 예를 표현하였다.
  • 고른꽃차 : (1)‘산방 화서’의 북한어.
  • 미상형 꽃차 : (1)수상 꽃차례의 하나. 가늘고 긴 주축에 단성화(單性花)가 달리고, 밑으로 늘어진 모양을 하고 있다. 버드나무, 호두나무, 너도밤나무, 오리나무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 (1)글방 따위에서 학생이 책 한 권을 다 읽어 떼거나 다 베껴 쓰고 난 뒤에 선생과 동료들에게 한턱내는 일. (2)왕세자를 책봉(冊封)하던 예식.
  • : (1)세 번 절함. (2)≪예기≫, ≪주례≫, ≪의례≫의 세 책.
  • 사탕 조 : (1)1764년에 영국 의회가 제정한 법률. 식민지 미국이 수입하는 당밀(糖蜜)에 높은 세금을 매겨 밀 무역을 금지하기 위하여 제정하였는데, 미국 독립 전쟁의 한 원인이 되었다.
  • 권정행 : (1)임금이 본디 참석하는 조정의 축하 의식에 임금이 나오지 아니한 채 임시방편으로 거행하던 식(式).
  • 긍정적 사 : (1)학습하여야 하는 개념에 적합하고, 그 개념의 일반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예.
  • : (1)조선 시대에, 통례원에 속한 정사품 벼슬.
  • 훈민정음해 : (1)‘훈민정음’에서 제자해(制字解), 초성해(初聲解), 중성해(中聲解), 종성해(終聲解), 합자해(合字解)의 5해(解)와 용자례(用字例)의 1례(例) 부분을 이르는 말. (2)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과 모음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훈민정음’이다.
  • : (1)전라남도 구례군에 있는 읍. 섬진강 뱃길의 종점이며, 지리산 재목의 집산지로 군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45.79㎢. (2)변통성이 없이 예의에 얽매임. (3)예전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관례. (4)예전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예법.
  • 좌통 : (1)조선 시대에, 통례원에서 국가 의식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으뜸 벼슬. 품계는 정삼품이다.
  • 상수 비 : (1)화합물이 이루어질 때, 각 물질 사이에 정하여져 있는 일정불변의 성분비. 수소와 산소가 2 대 1로 화합하는 물이나 탄소와 산소가 1 대 2로 화합하는 이산화 탄소 따위를 이른다.
  • : (1)두말할 것 없이 당연히. ⇒규범 표기는 ‘으레’이다. (2)전례에 의함. (3)서적의 범례(凡例). (4)행사를 치르는 일정한 법식. 또는 정하여진 방식에 따라 치르는 행사. (5)중국 경서(經書)의 하나. 관혼상제를 비롯하여 중국 고대 사회의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것으로 군례(軍禮)를 제외한 오례(五禮)를 망라하였으며, 고대 사회의 종교학적ㆍ사회학적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주공(周公)이 지었다고 하나, 그 후 춘추 시대부터 전국 시대에 걸쳐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원래 57편이던 것이 오늘날에는 17편만이 전한다. (6)틀림없이 언제나. ⇒규범 표기는 ‘으레’이다.
  • 전폐 : (1)제례(祭禮)에서, 헌관(獻官)이 세 번 향을 올리고 신주(神主) 앞에 폐백을 드리던 예.
  • 복산방 꽃차 : (1)동형 복합 화서의 하나. 산방 화서가 2회 이상 겹쳐서 다시 산방 화서를 형성하는 경우이다.
  • 꼬리 꽃차 : (1)축이 가늘고 꽃덮개가 작거나 없는 단성화가 빽빽하게 달려 늘어지거나 혹은 바로 서서 달리는 꽃차례. 소귀나뭇과, 참나뭇과, 자작나뭇과, 호두나뭇과, 버드나뭇과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오사 : (1)하느님이 내려 주신 다섯 가지 은혜를 감사하는 기도문. 하느님이 기르시고 돌보시는 은혜, 강생 구속의 은혜, 죄를 사해 주시고 은총을 주시는 은혜, 교회로 인도하시고 천국으로 이끄시는 은혜, 이제까지 내려 주신 모든 은혜에 대한 감사이다. ≪가톨릭 기도서≫에는 수록하지 않았다.
  • 혼합 비 : (1)종류는 같지만 품질이 다른 것을 섞는 응용 문제를 푸는 계산법. 혼화법과 화교법이 있다.
  • 군도경 : (1)군인이 일정한 격식에 따라 군도로 하는 경례.
  • 사신 : (1)제사를 지낼 때에, 종헌한 다음 신을 보내는 의식.
  • : (1)조선 시대에, 통례원에 속한 종삼품 벼슬. 태조 때에 두었다가 고종 때에 없앴다.
  • 무선국 허가 특 : (1)무선국을 허가하는 제도의 하나. 무선국 허가는 신청, 가허가, 검사 따위의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지만 외국에서 취득한 선박이나 항공기는 약식 절차로 신속하게 허가하여 주는 제도이다. 외국에 발주한 선박이나 항공기를 회항하거나 외국에서 용선한 선박이 국내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의 임시 조치로, 목적지에 도착하면 허가 효력이 상실된다.
  • 경로 : (1)늙은 사람을 공경하여 우대하던 제도. 80세 이상의 백성에게는 1자급(資級)을, 90세 이상에게는 2자급을, 100세 이상에게는 3자급을 올려 주고, 80세 이상의 천인에게는 천역을 면제해 주었다.
  • 나무귀명정 : (1)‘나무’라고 외면서 부처의 발에 머리를 대고 예배한다는 뜻으로, 신명을 바치어 부처 또는 보살에 돌아가 의지함을 이르는 말.
  • 종유 : (1)신자가 임종할 때에, 신체의 고통을 덜고 심신의 위안을 주려고 환자의 몸에 향유를 바르는 의식.
  • 시서 : (1)≪시경≫, ≪서경≫, ≪예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1)대제(大祭)를 지내는 의례(儀禮). (2)혼례가 끝나고 예물을 바치는 의식. (3)손님을 청하여 융숭하게 대접하는 잔치나 예의.
  • 무한 꽃차 : (1)아래쪽이나 가장자리에 있는 꽃부터 피기 시작하여 위쪽으로 피어 가는 꽃차례. 수상(穗狀) 꽃차례, 총상(總狀) 꽃차례, 산방(繖房) 꽃차례, 산형(繖形) 꽃차례, 두상(頭狀) 꽃차례 따위로 나눈다.
  • : (1)종교의 발생지, 본산(本山)의 소재지, 성인의 무덤이나 거주지와 같이 종교적인 의미가 있는 곳을 찾아다니며 방문하여 참배함. (2)여러 곳을 찾아다니며 방문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관례나 전례를 따름. (4)예법(禮法)을 따름. (5)좋은 술과 감주. 또는 진한 단술. (6)1997년 홍신자가 안무하여 발표한 현대 무용 작품. 이듬해인 1998년에는 독일에서 공연하여 현지 언론의 극찬을 받았다.
  • 취산 꽃차 : (1)유한 꽃차례의 하나. 먼저 꽃대 끝에 한 개의 꽃이 피고 그 주위의 가지 끝에 다시 꽃이 피고 거기서 다시 가지가 갈라져 끝에 꽃이 핀다. 미나리아재비, 수국, 자양화, 작살나무, 백당나무 따위가 있다.
  • 진전한 : (1)중국 진(秦)나라 때에는 전서체가, 한(漢)나라 때에는 예서체가 성하고 발달하여 특히 아름다웠음을 이르는 말.
  • 고봉 : (1)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의 무신(?~1411). 고려 말기에 탐라가 여러 번 모반을 일으키자 조정에서 그를 서울로 불러 제주 축마겸안무별감(濟州畜馬兼安撫別監)에 임명하였다.
  • : (1)보기를 들어서 풀이함. (2)훈민정음에서 제자해(制字解), 초성해(初聲解), 중성해(中聲解), 종성해(終聲解), 합자해(合字解)의 5해(解)와 용자례(用字例)의 1례(例) 부분을 이르는 말. (3)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과 모음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훈민정음’이다.
  • : (1)널리 전하여 오는 예. (2)잘못된 예. (3)같거나 비슷한 예. (4)이전부터 있었던 사례.
  • : (1)남의 상사(喪事)에 대하여 조문(弔問)하는 예절. (2)서울의 각 관아에서 부리던 하인. 칠반천역(七般賤役)의 하나로, 사령(使令)ㆍ마지기ㆍ가라치ㆍ별배(別陪) 따위가 있다. (3)나라에서 종친이나 공신에게 내려 주던 관노비. (4)조목조목 적어 놓은 규칙이나 명령. (5)지방 자치 단체가 법령의 범위 안에서 지방 의회의 의결을 거쳐 그 지방의 사무에 관하여 제정하는 법. (6)학교 따위에서 그 구성원들이 모여 일과를 시작하기 전에 행하는 아침 모임. 주의 사항이나 지시 사항 따위를 전한다. (7)조정의 관리들이 아침에 궁궐에 모여 임금을 뵙던 일. (8)전례(前例)에 비추어 상고함.
  • : (1)가물칫과의 민물고기. 몸의 길이는 60cm 정도이며, 등 쪽은 어두운 갈색, 배는 잿빛 흰색이다. 옆구리에 검은 갈색의 얼룩무늬가 있으며 입은 크고 눈은 작다. 식용하거나 산모(産母)의 보혈 약 따위로 쓴다. 한국, 일본, 아시아 동남부에 널리 분포한다.
  • 원산지 결정의 특 : (1)수입 상품의 원산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 이를 확정하는 특별 규정.
  • 등차 비 : (1)네 개의 수 a, b, c, d 사이에 a-b=c-d의 관계를 이룰 때 이를 이르는 말.
  • 권초 : (1)조선 시대에, 궁중에서 비빈(妃嬪)의 해산이 끝나고 나서 행하던 의식. 해산할 때 깔았던 거적자리를 붉은 끈으로 문 앞에 매달아 두었다가 산후 7일 만에 권초관이 그 앞에 은, 쌀, 비단, 실 따위를 늘어놓고 분향하여 명을 빈 뒤에 그 고석(藁席)을 칠궤(漆櫃)에 넣고 홍보(紅褓)에 싸서 남자면 내자시(內資寺), 여자면 내섬시(內贍寺)의 창고에 보관하게 했다. (2)궁중의 해산에 따른 예제(禮制)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독점 조 : (1)1624년 영국 국왕 제임스 1세가 상인들에게 상납을 받고 독점권을 주던 특혜를 폐지한 조례.
  • 육전조 : (1)조선 고종 4년(1867)에 각 관아에서 맡은 일과 시행 세칙 따위를 규정하여 펴낸 행정 법규집. ≪경국대전≫, ≪속대전≫, ≪대전통편≫, ≪대전회통≫ 따위의 기본 법규를 보충하고, 육전(六典)의 할 일과 시행 조목을 종류별로 모아 엮은 것이다. 10권 10책의 인본(印本).
  • : (1)예식, 제사, 전쟁 따위에 참여함. (2)분수에 맞지 않는 지나친 예의. (3)부처에게 참회하고 예배하며 기도함.
  • 강원상강 : (1)불경을 강론하기 전에 행하는 의식. 불경을 통하여 불교에 은혜를 입은 것에 고마움을 표하고, 앞으로 보다 좋은 강론이 있기를 발원하는 의식이다. 신앙의 대상이 되는 비로자나불ㆍ노사나불ㆍ석가모니불ㆍ미륵불 등과 주된 강론의 대상이 되는 경전들이 설해진 화엄회상(華嚴會上)ㆍ법화회상(法華會上)ㆍ능엄회상(楞嚴會上), 불경을 번역하고 주석서를 쓴 여러 고승들을 열거하고 찬한다. 이 의식을 통해 주로 강론된 불경이 무엇인지를 살필 수 있다.
  • 자치 조 : (1)위임의 여부에 따라 분류한 조례의 하나. 개별 법령의 위임에 의하여 지방 의회가 정하는 위임 조례와 달리 개별 법령의 위임 없이 지방 자치 단체의 고유사무에 대하여 직권으로 정하는 조례를 말한다.
  • 허참 : (1)조선 시대에, 새로 부임한 관원이 선임자들에게 음식을 차려 대접하던 일. 관직에 참여하는 것을 허락하여 달라는 뜻이 있다.
  • : (1)장정(壯丁)인 종. (2)신랑, 신부가 첫날밤을 치름. 또는 그런 절차. (3)일정하게 정하여진 규칙이나 관례. (4)정기적으로 계속하여 행하는 사례(事例). (5)정리(情理)와 예의를 아울러 이르는 말. (6)가장 공경하는 뜻으로 이마가 땅에 닿도록 몸을 구부려 절을 함. 또는 그렇게 하는 절.
5 6 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4개) : 라, 락, 란, 랄, 람, 랍, 랑, 래, 랙, 랜, 램, 랩, 랬, 랭, 랴, 략, 량, 러, 럭, 런, 럼, 레, 렌, 렘, 렙, 렛, 려, 력, 련, 렴, 령, 례, 로, 록, 론, 롤, 롬, 롱, 롸, 뢰, 룀, 료, 룡, 루, 룩, 룬, 룰, 룸, 룹, 류, 륙, 륜, 률, 르, 륵, 를, 릉, 리, 릭, 린, 릴, 림, 립, 링

실전 끝말 잇기

례로 시작하는 단어 (142개) : 례, 례가, 례거, 례거하다, 례건, 례격, 례겸, 례경, 례경하다, 례관, 례구, 례궁, 례규, 례기, 례납, 례납하다, 례년, 례니라, 례단, 례담, 례답다, 례당, 례대, 례대하다, 례도, 례론, 례리, 례모, 례모관, 례모답다 ...
례로 시작하는 단어는 142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례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77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