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2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67개 세 글자:30개 네 글자:22개 다섯 글자:2개 여섯 글자 이상:7개 🤟모든 글자: 129개

  • : (1)지방 관아에서 고을 원(員)이나 감사(監司), 병사(兵使), 수사(水使) 및 그 밖의 수령(守令)들이 공사(公事)를 처리하던 중심 건물.
  • : (1)와서 바침.
  • 허난설 : (1)조선 중기의 시인(1563~1589). 본명은 초희(楚姬). 자는 경번(景樊). 난설헌은 호. 천재적인 시를 짓는 재주를 발휘하였으며, 특히 한시에 능하였다. 한시에 <유선시(遊仙詩)>, 가사 작품에 <규원가>, <봉선화가> 따위가 있고, 유고집에 ≪난설헌집≫이 있다.
  • 기자 : (1)조선 시대의 문신(1567~1624). 자는 사정(士靖). 호는 만전(晩全). 부제학ㆍ대사헌ㆍ영의정을 지냈고, 광해군을 즉위시키는 데 공헌하였으나, 영창 대군의 살해를 반대하다가 제주로 귀양을 갔다. 이괄(李适)의 난 때 무고한 혐의를 받아 사사(賜死)되었다.
  • 록음문 : (1)보고, 연설, 담화, 논문, 결론 따위를 녹음한 문헌. ⇒남한 규범 표기는 ‘녹음문헌’이다.
  • : (1)전쟁할 때에 쓰는 수레.
  • : (1)윗사람에게 올려 바침.
  • 김교 : (1)대종교(大倧敎)의 제2대 교주(1868~1923). 자는 백유(伯猷). 호는 무원(茂園)ㆍ보화(普和). 대사성, 규장각 부제학을 지냈다.
  • 감찰사 : (1)고려 시대에, 사헌대에 속한 종육품 벼슬. 현종 때에 감찰어사를 고친 것으로, 뒤에 다시 감찰어사로 이름을 고쳤다.
  • 김두 : (1)철학자ㆍ교육자(1903~1981). 호는 예동(汭東). 숙명 여자 대학교, 전북 대학교 총장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윤리학 개론≫, ≪서양 윤리학사≫ 따위가 있다.
  • 기오 : (1)창덕궁 후원에 있는 건물의 하나. 창덕궁 주합루의 언덕을 넘어 들면 길쭉한 계곡에 돌로 만든 불로문이 있는데 불로문 남쪽 산록에 있다.
  • : (1)천도교에서, 교리를 해설하며 여러 가지 종교 의식을 행하는 집. 또는 그 집에 있는 종교 기관의 교직.
  • 틴베르 : (1)니콜라스 틴베르헌, 네덜란드 태생의 영국 동물학자(1907~1988). 새나 투어(鬪魚)를 대상으로 동물의 행동을 연구하여 생득적(生得的) 행동 기구를 밝혔다. 1973년에 노벨 생리ㆍ의학상을 받았다.
  • 음악 문 : (1)음악과 관련한 자료와 기록, 또는 이를 수록해 놓은 서적이나 문서.
  • : (1)헌법을 제정함.
  • 대사 : (1)고려 시대에 둔, 사헌부의 으뜸 벼슬. 충렬왕 34년(1308)에 감찰대부를 고친 것으로, 충선왕 3년(1311)에 품계를 정이품에서 정삼품으로 낮추었다. (2)조선 시대에 둔, 사헌부의 종이품 벼슬. 정사를 논하고 백관(百官)을 감찰하며 기강을 확립하는 따위의 업무를 맡아보았다.
  • 동국문 : (1)조선 초기부터 순조 때까지의 여러 명신(名臣)의 약전(略傳)을 수록한 책. 순조 4년(1804)에 김성개(金性漑)가 교정(校正)하여 전라북도 정읍 충렬사에서 간행하였다. 4권 4책의 목판본.
  • 성모 자 : (1)세 살 된 마리아를 그 부모가 하느님에게 봉헌한 일.
  • : (1)‘헌헌하다’의 어근.
  • : (1)범죄와 형벌에 관한 법률 체계. 어떤 행위가 처벌되고 그 처벌은 어느 정도이며 어떤 종류의 것인가를 규정한다.
  • : (1)사헌부에 속한 장령(掌令).
  • : (1)‘성문 헌법’을 줄여 이르는 말.
  • : (1)지어서 바침. (2)조정의 법규. (3)나라의 근본이 되는 법규라는 뜻으로, ‘헌법’을 달리 이르는 말. (4)조선 선조 때의 문신ㆍ의병장ㆍ학자(1544~1592).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ㆍ도원(陶原)ㆍ후율(後栗). 이이의 문인으로 기발이승 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하여 스승의 학문을 계승ㆍ발전시켰다. 임진왜란 때 옥천, 홍성 등지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에서 7백 의병과 함께 전사하였다. 저서에 ≪중봉집≫이 있으며, ≪청구영언≫에 시조 세 수가 전한다.
  • : (1)조선 시대에 둔, 사헌부의 종이품 벼슬. 정사를 논하고 백관(百官)을 감찰하며 기강을 확립하는 따위의 업무를 맡아보았다. (2)조선 고종 때에, 의정부 도찰원에 둔 벼슬. 처음에는 사헌(司憲)이라 불렀다. (3)통일 신라 시대의 승려(?~?). 구산 조사(九山祖師)의 한 사람으로 구산문(九山門)의 하나인 희양산문(曦陽山門)의 개조이다.
  • : (1)독립운동가ㆍ사회 운동가(1885~1951). 1927년 2월 신간회 중앙 집행 위원장으로 활동하는 등 독립운동에 힘썼으며, 광복 후에는 여운형과 함께 건국 준비 위원회로 활동하였다. 월북하여 최고 인민 회의 의장, 김일성 대학 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 : (1)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헌법과 같은 뜻으로 쓰던 말. 임시 정부의 헌법은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 헌장’으로 제정ㆍ공포된 이후 ‘헌법’, ‘약헌’이라는 이름으로 다섯 차례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1927년 제3차 개헌과 1940년 제4차 개헌 때는 ‘대한민국 임시 약헌’이라고 하였다.
  • : (1)조선 중기의 문인(1570~1636). 자는 시재(時哉). 호는 삼일산인(三一山人)ㆍ우용(寓慵)ㆍ팔계후인(八溪後人). 임진왜란 때 승군(僧軍)으로 출전하여 공을 세웠고, 광해군 때 별시(別試)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간관(諫官)의 탄핵을 받아 취소되었다. 시서(詩書)에 뛰어났으며, 문장은 ≪동국필원(東國筆苑)≫에 실려 있다. (2)조선 후기의 역관(1707~?). 자는 덕장(德章). 중국어에 능통하여 여러 차례 통역관으로 청나라에 드나들었다. 저서에 ≪노걸대신석(老乞大新釋)≫이 있다.
  • 감찰제 : (1)고려 시대에, 감찰사(監察司)에 둔 으뜸 벼슬. 정삼품으로, 충렬왕 원년(1275)에 감찰대부를 고친 것이다.
  • : (1)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참신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첫 술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2)조선 시대에, 종묘 제향 때에 첫 번째 잔을 올리는 일을 맡아보던 제관. (3)조선 시대에, 종이품 이상의 벼슬아치가 타던 수레. 긴 줏대에 외바퀴가 밑으로 달리고, 앉는 데는 의자 비슷하게 되어 있으며, 두 개의 긴 채가 달려 있다.
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

실전 끝말 잇기

헌으로 시작하는 단어 (445개) : 헌, 헌가, 헌가악, 헌가요, 헌가하다, 헌 갓 쓰고 똥 누기, 헌강, 헌강왕, 헌강왕릉, 헌거, 헌거로이, 헌거롭다, 헌거리, 헌거지, 헌거지하다, 헌거하다, 헌걸래, 헌걸스럽다, 헌걸스레, 헌걸차다, 헌것, 헌겊, 헌경 왕후, 헌계집, 헌 고리[짚신]도 짝이 있다, 헌공, 헌공 다례, 헌공 다례식, 헌공하다, 헌관 ...
헌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445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헌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2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