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900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67개 세 글자:118개 네 글자:288개 다섯 글자:169개 여섯 글자 이상:157개 🎄모든 글자: 900개

  • 장경 왕 : (1)조선 제11대 왕 중종의 제1계비(1491~1515). 성은 윤(尹). 영돈령부사 여필(汝弼)의 딸로, 세자 인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죽었다.
  • 온대 몬순 기 : (1)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기후. 여름에는 바다 쪽에서 불어오는 습한 계절풍으로 강수량이 많고, 겨울에는 대륙에서 불어오는 건조한 계절풍으로 강수량이 매우 적다. 한국을 비롯하여 동부 아시아, 인도 북부 따위에 널리 분포한다.
  • : (1)성숙한 여성의 자궁에서 주기적으로 출혈하는 생리 현상. 임신하지 않는 경우 황체(黃體)에서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에 자궁 속막이 벗겨져서 일어난다. 보통 12~17세에 시작하여 50세 전후까지 계속되는데 임신 중이나 수유기를 빼놓고는 평균 28일의 간격을 두고 3~7일간 지속된다.
  • 남우 : (1)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덕으로 벼슬자리에 오른 우후.
  • : (1)그 덕이 왕실에 통한다는 뜻으로, 모든 제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제후 가운데 관위(官位)가 높은 사람.
  • 의복 내 기 : (1)사람의 피부와 의복 사이의 온도와 습도 등의 미세 기후. 사람은 대개 온도 31∼33℃, 습도 40∼60%에서 쾌적하다고 느낀다.
  • : (1)‘혼후하다’의 어근.
  • 최징 : (1)조선 후기의 학자(?~?). 호는 매봉(梅峯). 강문 팔학사의 한 사람이다.
  • 지형성 소기 : (1)지형의 소기복(小起伏)에 직접 영향을 받는 좁은 범위 안의 기후.
  • 하임ㆍ크라이시그 징 : (1)심장막 유착이 있을 때 심장 수축기와 동시에 갈비 사이 공간이 빨려 들어가는 증상.
  • 활력 징 : (1)맥박, 호흡, 체온, 혈압과 같이 생물에게 생명이 있다는 것을 증명해 주는 징후가 되는 요소. 환자를 진찰할 때 기본적으로 관찰하는 항목이다.
  • 토양 기 : (1)토양에서 일어나는 열과 물의 물리적 변화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천추만세 : (1)오래도록 별고 없이 살다가 돌아가신 뒤라는 뜻으로, 어른이 죽은 뒤를 높여서 이르는 말.
  • 대측 징 : (1)진찰자가 수막염 환자의 한쪽 다리를 구부렸을 때 반대쪽 다리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이 일어나는 증상.
  • : (1)‘돈후하다’의 어근. (2)파수를 보기 위하여 토담을 쌓아 높게 만든 돈대.
  • 사숙 태 : (1)고려 시대에, 선종(宣宗)의 비(妃)(?~?). 선종이 죽자 헌종(憲宗)의 섭정을 하였다.
  • 쿠엣켄슈텟트 증 : (1)허리 천자에 의해 골수액의 압을 조사할 때 볼 수 있는 현상. 이때 양측 경부를 압박하면 정상일 때는 액압이 급격하게 상승하지만, 액압이 상승하지 않는 경우는 양성이다. 뇌척수관강이 폐색되면 발생하고 척수 종양, 척수막염 등에서 생긴다.
  • 쌍방울 징 : (1)소아 방사선학에서 공기가 차 있는 위와 십이지장 팽대의 모양을 가리키는 증상. 십이지장 폐쇄증이나 창자 꼬임증과 관계가 있다.
  • 뫼비우스 징 : (1)‘그레이브스병’에서 눈 모음 장애가 있는 것.
  • 수중 기 : (1)수중의 기상, 온도, 광도 따위를 가리키는 자연 조건.
  • 서안 기 : (1)대륙 서쪽 연안에 나타나는 해양성 기후. 연교차가 적고 온화하며, 연 강수량이 많다.
  • 뇌압 항진 징 : (1)머리 안의 압력이 높아져서 생기는 증상. 두통ㆍ구역ㆍ유두의 부기 따위로, 뇌종양이나 뇌출혈 등이 있을 때 나타난다.
  • : (1)‘단후하다’의 어근. (2)‘단후하다’의 어근.
  • 권지지 : (1)고려 시대에, 합문(閤門)에 속하여 조회나 그 밖의 의식에서 임금의 시중을 드는 일을 맡아보던 임시 벼슬.
  • 신성 왕 : (1)고려 태조의 비(?~?). 성은 김(金). 경주(慶州) 출생으로 신라 문성왕의 5대손이며 경순왕의 큰아버지인 김억렴의 딸이다. 1010년 현종에 의해 왕후로 추존되었다.
  • 정덕 왕 : (1)고려 태조의 비(?~?). 성은 유(柳). 정주(貞州) 출생으로 문하시중 유덕영(柳德英)의 딸이다.
  • : (1)윗사람의 집을 찾아가서 문안함. (2)의사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환자의 병이나 증상을 살핌.
  • 샅고랑 징 : (1)샅고랑을 따라 있는 림프절이 커지고 단단해지며, 만지면 매우 아픈 증상. 성병 림프 육아종의 특징이다.
  • 접지 기 : (1)지표에서부터 약 2미터까지의 대기층의 기후.
  • 만세 : (1)살아 있는 임금의 죽은 뒤를 완곡하게 이르는 말.
  • 문혜 왕 : (1)고려의 추존왕 문원 대왕의 비(?~?). 성은 유(柳). 태조의 딸로,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 : (1)그런 뒤.
  • : (1)‘심후하다’의 어근.
  • 완전 농 : (1)왕복 엔진에서 연소가 일어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연료를 가장 많이 넣은 상태.
  • 유자 : (1)민속학자(1895~?). 호는 송주(松洲). 기자를 지냈으며 국사 연구와 여성사, 풍속사에 조예가 깊었다. 6ㆍ25 전쟁 때에 납북되었다. 저서에 ≪조선 화폐고(朝鮮貨幣考)≫ 따위가 있다.
  • 포탱 징 : (1)대동맥 확장에서, 타진 때의 둔탁한 소리가 복장뼈 자루에서 오른쪽 셋째 갈비 연골로 뻗는 것.
  • : (1)산의 뒤쪽. (2)아이를 낳은 뒤.
  • 카르바요 징 : (1)삼첨판 역류에서 숨을 들이쉴 때 범수축기 잡음이 커지는 증상. 승모판 질환과 구별된다.
  • : (1)설을 쇤 뒤. (2)세금을 낸 후.
  • 툰드라 기 : (1)냉대의 침엽수림대와 극지방의 빙설 지대 사이의 툰드라 지대에 나타나는 한대 기후. 연중 대부분이 0℃ 이하이고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이 0℃에서 10℃이다. 짧은 여름 동안에만 지표의 일부가 녹아서 선태류, 지의류 따위가 자란다.
  • 제안 : (1)고려의 왕족(?~1131). 이름은 왕서(王偦). 시호는 사절(思節). 숙종(肅宗)과 명의 왕후(明懿王后) 유씨의 아들이다. 이자겸(李資謙)이 왕족을 시기하여 귀양을 보내자 스스로 절제하여 화를 면하였다.
  • : (1)입을 동글게 오므려 내밀고 입김을 많이 내뿜는 소리. 또는 그 모양. (2)일이 고되어서 힘에 부치거나 시름이 있을 때 크고 길게 내쉬는 소리. (3)어려운 일을 끝내거나 고비를 넘겼을 때 안심하여 크고 길게 내쉬는 소리. (4)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당인(唐寅) 하나뿐이다. (5)임금의 아내. (6)‘후하다’의 어근. (7)공작의 아래, 백작의 위인 귀족의 작위. 또는 기 작위에 있는 사람. (8)고려 공민왕 때에 둔 오등작의 둘째 작위. (9)국궁에서 쓰는 가장 작은 무명 과녁. (10)뒤나 다음. (11)일이 지나간 얼마 뒤. (12)‘뒤나 다음’의 뜻을 나타내는 말. (13)닷새 동안을 이르는 말. (14)이정(里程)을 표시하기 위하여 쌓던, 조금 높직한 평지. (15)사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16)보건 상태의 향상을 위하여 국제적으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제 연합의 전문 기구. 1948년에 설립된 것으로, 중앙 검역소 업무ㆍ유행병 및 전염병에 대한 대책ㆍ회원국의 공중 보건 행정 강화의 세 가지 업무를 맡고 있다. 본부는 제네바에 있다.
  • 용의 왕 : (1)고려 정종의 비(?~?). 성은 한(韓). 한조(韓祚)의 딸로 정종의 정비였던 용신 왕후의 친동생이다. 슬하에 3남을 두었다.
  • : (1)썩은 나무를 꺾는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기가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바빈스키 징 : (1)발바닥의 바깥쪽을 비비면 엄지발가락은 위로 치켜지고 다른 발가락은 부채꼴로 벌어지는 반사 현상. 프랑스의 의사 바빈스키(Babinski, J.)가 발견하였다 하여 이러한 명칭이 붙여졌는데, 아기들에게서는 흔히 볼 수 있고 병적(病的)인 것도 아니지만, 성인의 경우에는 척추의 운동 신경이 아래로 내려오는 통로에 이상이 있을 때 볼 수 있는 병적 반사이다.
  • 효목성 황 : (1)중국 청나라 도광제의 첫 번째 황후(1757~1808). 유호록씨(鈕祜祿氏)이며, 시호는 효목온후장숙단성각혜관음부천유성성황후(孝穆溫厚莊肅端誠恪惠寬欽孚天裕聖成皇后)이다.
  • 효현 왕 : (1)조선 헌종의 비(妃)(1828~1843). 헌종 3년(1837)에 왕비로 책봉되고, 4년 뒤에 가례(嘉禮)를 올렸으나 2년 만에 16세로 죽었다.
  • 어깨 불안 징 : (1)위팔뼈를 90도로 벌리고 최대한 가쪽으로 회전시킬 때 불안정하거나 저항을 보이는 신체 증상. 오목 위팔 인대에 불안정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 공혜 왕 : (1)조선 성종의 비(妃)(1456~1474). 성은 한(韓). 영의정 한명회의 딸로, 1469년에 성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성종 5년에 19세로 소생이 없이 죽었다.
  • 네 징 : (1)폐동맥 협착, 심실 사이막 결손, 대동맥 오른쪽 전위, 오른심실 비대의 증상이 공존하는 선천 심장병. 호흡 곤란, 발육 장애 따위의 증상이 나타나며 수술로써 치료할 수 있다.
  • 온대철바람기 : (1)‘온대 몬순 기후’의 북한어.
  • 변재 부 : (1)임목이나 목재에 목재 부후균이 침입하여 변재가 부분적으로 썩어 가는 현상.
  • : (1)수술을 받은 뒤에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 일. 또는 그 증상.
  • 식직 : (1)의약품의 복용 시간을 지시하는 용어의 하나. 식사 바로 후를 뜻하는 말로, 주로 소화제나 위에 자극성이 있는 의약품의 복용 시간을 지시할 때 쓴다.
  • 식물 기 : (1)식물이 사는 지표 부근의 기후. 식물의 종류, 빽빽한 정도, 높이 및 시기에 따라 변화한다.
  • : (1)우리나라의 해금과 비슷한 중국 현악기. 모양새도 해금과 유사하다. 얼후의 현은 처음에는 명주실을 사용하였으나, 개량 과정에서 쇠줄을 사용하게 되었다.
  • 상박하 : (1)위는 박하고, 아래는 후하다는 뜻으로, 흔히 직장 따위에서 보상을 윗사람에게는 적게 주고 아랫사람에게는 많이 줌을 이르는 말. (2)위는 박하고 아래는 후하다는 뜻으로, 주로 윗부분은 빈약하고 아랫부분은 풍성함을 이르는 말.
  • 효성인 황 : (1)중국 청나라 강희제의 첫 번째 황후(1653~1674). 혁사리씨(赫舍里氏)이며, 혁사리색니의 손녀이다. 시호는 효성공숙정혜안화숙의각민려천양성인황후(孝誠恭肅正惠安和淑懿恪敏儷天襄聖仁皇后)이다.
  • 혐주 징 : (1)혐주약을 투여한 후에, 알코올을 섭취하면 체내에 아세트알데히드가 축적되어 혈압의 저하, 구토, 두근거림 따위의 증상이 나타내는 현상.
  • 명의 왕 : (1)고려 숙종의 비(?~1112). 성은 유(柳). 문하시중(門下侍中) 유홍(柳洪)의 딸이다. 예종 7년(1112)에 궁 밖으로 행차를 나갔다가 갑자기 병이 위독해져 신박사(信朴寺)에서 사망했다. 능은 숭릉(崇陵)이며, 슬하에 7남 4녀를 두었다.
  • 와일더 징 : (1)그레이브스병에서, 안구가 가쪽에서 안쪽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 안구에 약간의 연축이 일어나는 것.
  • 침엽수림 기 : (1)냉온대 북부에 나타나는, 식물의 생육 기간이 짧고 겨울의 추위가 심한 기후. 알래스카에서 캐나다 동부,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캄차카반도 사이에 분포한다. 영구 동토층이 두껍게 발달하고 여름에는 언 땅의 표면만이 녹아서 습지로 변한다.
  • 페레즈 징 : (1)팔을 번갈아 올리고 내릴 때 가슴 윗부분에서 거품 소리가 들리는 증상. 섬유 세로칸염에서 흔하게 나타나며, 대동맥 활자루에서도 들린다.
  • 효강장 황 : (1)중국 청나라 순치제(順治帝)의 세 번째 황후(1640~1663). 동가씨(佟佳氏)이며, 강희제(康熙帝)의 생모이다. 시호는 효강자화장의공혜온목단정숭문육성장황후(孝康慈和莊懿恭惠溫穆端靖崇文育聖章皇后)이다.
  • 깃발 징 : (1)머리털이 원래 색깔에 따라 붉은색, 금발 또는 회색의 띠처럼 변색된 상태. 영양의 변동으로 나타나는데, 단백 열량 부족증과 궤양 결장염과 같이 단백질이 고갈되는 병에서 생긴다.
  • 영구 동결 기 : (1)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이 0℃ 이하인 지구상에서 가장 한랭한 기후. 양극 지방과 그린란드에서 볼 수 있으며, 일 년 내내 빙설에 덮여 빙하가 발달하였다.
  • : (1)무과나 교습에 쓰기 위하여 80보(步) 정도의 거리에 세우던 과녁. (2)‘근후하다’의 어근. (3)‘근후하다’의 어근.
  • 효흠현 황 : (1)중국 청나라 함풍제(咸豐帝)의 세 번째 황후(1835~1908). 동치제의 생모이다. 엽혁나랍씨(葉赫那拉氏)이며 함풍제가 죽자 동치제(同治帝)와 광서제(光緖帝)의 섭정을 하였다. 무술정변을 탄압하였고, 의화단 운동이 일자 이를 선동하여 배외(排外) 정책을 취하였다. 시호는 효흠자희단우강이소예장성수공흠헌숭희배천흥성현황후(孝欽慈禧端佑康頤昭豫莊誠壽恭欽獻崇熙配天興聖顯皇后)이다.
  • 지중해성 기 : (1)지중해 지방에 나타나는 온대 기후. 여름에는 비가 적고 고온ㆍ건조하며, 겨울에는 비가 많고 온난ㆍ다습하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남아프리카의 남단부, 칠레 중부, 오스트레일리아 남부 등지에서도 나타난다.
  • 머리끝 털 징 : (1)머리뼈판 사이층이 지나치게 털이 선 것처럼 골수 영상이 나타나는 방사선상 모양. 중증의 지중해 빈혈 환자에게서 흔히 보인다.
  • 번시 : (1)‘번시’의 옛 이름.
  • : (1)왕세자의 병환을 이르던 말. (2)의사가 환자를 진찰하고 전망함. 또는 그런 병의 증세. (3)병이 나은 뒤의 경과.
  • 여태 : (1)‘여후’의 다른 이름.
  • 명성 황 : (1)조선 고종의 비(妃)(1851~1895). 성은 민(閔). 대원군의 집정을 물리치고 고종의 친정(親政)을 실현하였다. 통상ㆍ수교에 앞장서 1876년 일본과 외교 관계를 맺게 했으며, 임오군란 후에는 청나라를 개입시켜 개화당을 압박하고 친러시아 정책을 수행하다가 을미사변 때에 피살되었다. (2)국수호가 2010년에 안무, 발표한 춤극 작품. 명성 황후 시해 사건을 다룬 작품으로 그해 한국 무용 대상 대통령상을 받았다.
  • 월경 전 징 : (1)가임기 여성에게 월경 전에 여러 가지 정서ㆍ행동ㆍ신체 증상이 나타나는 현상. 월경이 시작되면 증상이 사라진다.
  • 굴드 징 : (1)망막 가장자리의 손상으로 시야가 좁아진 환자에게 머리를 숙이고 걷게 하면 사물의 형체가 망막의 건강한 부위에 맺히는 현상.
  • 헌애 왕 : (1)고려 경종의 비(妃)(964~1029). 목종의 생모로 목종이 즉위하자 섭정하면서 김치양과 통정하고 아들을 낳았는데, 후에 이 아들 때문에 강조의 정변이 일어나 섬으로 유배되었다.
  • 인예 왕 : (1)고려 문종의 비(?~1092). 성은 이(李). 중서령 자연(子淵)의 딸로, 아버지의 정략적인 야심으로 인하여 두 동생과 함께 문종의 비가 되었다. 불교를 숭상하여 국청사를 세웠다.
  • 블룸베르크 징 : (1)배에서 질병이 의심되는 부위에 지속해서 압력을 가하다 갑자기 압력을 가하지 않을 때 오는 통증. 이것은 복막염의 징후이다.
  • : (1)‘헐후하다’의 어근. (2)뒤 끝에 붙은 말을 줄여 버림. ‘우우형제(友于兄弟)’라는 말을 ‘우우(友于)’만으로 쓰는 것 따위를 이른다.
  • 위황 : (1)중국 당나라 중종의 황후(660?~710). 중종과 무후의 대립 가운데 중종의 신임을 얻었고, 이후 중종이 다시 황위에 오르자 권세를 부렸다. 710년 중종을 독살하고 아들을 황제로 옹립하였으나 임치왕(臨淄王)과 태평 공주(太平公主)가 일으킨 정변으로 궁중에서 살해되었다.
  • : (1)고려 시대에, 기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벼슬. 초기에는 태사국의 종구품 벼슬이었으나, 뒤에 서운의 정구품 벼슬로 상향 조정되었다. (2)중국 청나라에서 시행한 사형 판결과 집행 절차를 이르던 말. 죄인이 사형을 선고받은 후 신병(身柄)이 확보된 상태에서 형의 집행 명령을 기다리며, 추심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사형 집행 여부가 정해졌다.
  • 청색점 징 : (1)고환이나 부고환 윗부분의 피부에서 청색 또는 검은 점이 보이는 증상. 고환 곁자취가 꼬여서 매우 심한 통증이 따른다.
  • 효혜장 황 : (1)중국 청나라 순치제의 두 번째 황후(1641~1717). 시호는 효혜인헌단의자숙공안순덕순천익성장황후(孝惠仁憲端懿慈淑恭安純德順天翼聖章皇后)이다.
  • 선의 왕 : (1)고려의 추존왕 대종(戴宗)의 비(?~?). 성은 유(柳). 정주(貞州) 출생으로 태조의 딸이다. 아들은 성종이다.
  • : (1)임금의 어머니.
  • 효철의 황 : (1)중국 청나라 동치제의 비(1854~1875). 한림원시강 숭기(崇綺)의 딸로, 슬하에 자녀는 없다. 시호는 효철가순공단헌천창성의황후(孝哲嘉順恭端憲天彰聖毅皇后)이다.
  • 위숙 왕 : (1)고려 태조 왕건의 어머니(?~?). 성은 한씨(韓氏). 시호는 인평(仁平). 태조의 아버지 왕륭(王隆)과 결혼하면서 몽부인(夢夫人)이라 불렸다. 태조 2년(919)에 태조에 의해 이 시호로 추존되었다.
  • : (1)무과(武科) 시험이나 교습(敎習)에 사용하던 솔. 푸른 빛깔의 포목으로 만들며, 그 가운데 사방 여섯 자 크기의 돼지머리를 그린 과녁을 붙였다. (2)봄, 여름, 가을, 겨울 사철의 절후.
  • 임유 : (1)조선 인조 때의 문신(1601~1673). 자는 효백(孝伯). 호는 만휴(萬休). 생원과 진사에 모두 합격한 후 여러 벼슬을 지냈고 경주 부윤으로 백성을 잘 다스렸다. 저서에 ≪만휴당집≫, ≪휴와야담≫이 있다.
  • 기념 징 : (1)현재 앓고 있는 병이 아니라 이전에 앓았던 다른 병으로 인해 나타나는 징후.
  • 문손 징 : (1)원추 각막에서, 눈을 아래쪽으로 돌릴 때 각막의 잘못된 모양 때문에 아랫눈꺼풀이 비정상적으로 불룩해지는 것.
  • 효덕현 황 : (1)중국 청나라 함풍제의 첫 번째 황후(1831~1850). 살극달씨(薩克達氏)이며 슬하에 자녀가 없었다. 시호는 효덕온예성순자장각신휘의공천찬성현황후(孝德溫惠誠順慈莊恪愼徽懿恭天贊聖顯皇后)이다.
  • 효혜 황 : (1)중국 전한(前漢) 혜제(惠帝)의 황후(?~B.C.163). 본명은 장언(張嫣). 열두 살 때에 여태후(呂太后)의 뜻에 따라 혜제의 황후가 되었다. 그러나 혜제가 황후를 가까이하지 않자 여태후는 혜제가 총애하던 궁녀를 죽이고 궁녀가 낳은 자식을 효혜 황후의 자식으로 속였다. 그 후 여태후가 죽고 황제가 된 혜제의 동생 문제(文帝)가 효혜 황후를 폐위하고 유폐하였다.
  • 조프와 징 : (1)기질적 뇌 질환 초기에 나타나는 계산 능력의 장애. 단순한 더하기나 곱하기를 하지 못한다.
  • : (1)‘육후하다’의 어근.
  • 계구우 : (1)닭의 주둥이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 큰 단체의 꼴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말. ≪전국책(戰國策)≫의 〈한책(韓策)〉과 ≪사기≫의 〈소진전(蘇秦傳)〉에 나오는 말이다.
  • 신정 왕 : (1)조선 순조의 세자인 익종의 비(妃)(1808~1890). 순조 19년(1819)에 세자빈으로 책봉되었다. 1834년에 왕대비가 되었고 광무 3년(1899)에 익왕후(翼王后)로 추존되었다. (2)고려 태조의 비(?~983). 성은 황보(皇甫). 태위 삼중대광(太尉三重大匡)을 지내고 충의공(忠義公)의 시호를 받은 황보제공(皇甫悌恭)의 딸이다.
  • : (1)천제(天帝)의 아들, 즉 하늘의 뜻을 받아 하늘을 대신하여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군주 국가의 최고 통치자를 이르는 말. 우리나라에서는 임금 또는 왕(王)이라고 하였다. (2)중국의 남부와 중부의 바닷가 일대와 대만 지방의 민간에서 믿고 있는 바다의 여신. (3)일정한 지역에서 여러 해에 걸쳐 나타난 기온, 비, 눈, 바람 따위의 평균 상태.
  • : (1)적의 형편이나 지형 따위를 정찰하고 탐색함. (2)적의 형편이나 지형 따위를 정찰하고 탐색하는 임무를 맡은 병사.
6 7 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

실전 끝말 잇기

후로 시작하는 단어 (2,160개) : 후, 후ㅅ보롬, 후가, 후가계산, 후가속 전극, 후가스, 후가지, 후가하다, 후가황, 후각, 후각감각, 후각 감퇴, 후각 감퇴증, 후각 결절, 후각 곁 구역, 후각계, 후각 고랑, 후각 과민증, 후각구, 후각기, 후각 기관, 후각 기능 측정법, 후각 기원판, 후각끈, 후각뇌, 후각 뇌 고랑, 후각 뇌구, 후각뇌실, 후각 다리, 후각 동물 ...
후로 시작하는 단어는 2,160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후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900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