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25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00개 세 글자:88개 네 글자:62개 다섯 글자:4개 여섯 글자 이상:3개 🍩모든 글자: 258개

  • 야외 : (1)들에서 행하는 가면극의 하나. 부산 동래를 중심으로 정월 대보름날 줄다리기를 한 다음 얼굴에 가면을 쓰고 길놀이를 한다.
  • : (1)‘인형극’을 달리 이르는 말. 유득공의 ≪경도잡지≫에서 사용한 말이다.
  • 지광인 : (1)땅은 넓으나 사람 수가 적음.
  • 호외 유 : (1)집 바깥에서 하는 유희.
  • : (1)중국 서진(西晉) 무제(武帝) 때의 네 번째 연호(290).
  • 가무백 : (1)주로 궁중 행사 때에 벌이던 노래와 춤 및 온갖 놀이.
  • : (1)부모의 경사에 잔치를 베풂.
  • : (1)미칠 듯이 기뻐함. (2)미친 장난. (3)조선 시대에, 장악원에 속하여 궁중 음악에 종사하던 잡직 벼슬. 연산군 10년(1504)에 악공(樂工)을 고친 것이다. (4)중국 후한 소제(少帝) 때의 연호(189). 소제의 첫 번째 연호이다. (5)중국 서진 혜제(惠帝) 때의 연호(306). 혜제의 열 번째 연호이다.
  • 언어유 : (1)말이나 글자를 소재로 하는 놀이. 말 잇기 놀이, 어려운 말 외우기, 새말 만들기 따위가 있다. (2)내용 없는 미사여구나 현학적인 말을 늘어놓는 일.
  • : (1)단청에서, 넉 줄로 넣은 휘. ⇒규범 표기는 ‘사휘’이다.
  • : (1)돈이나 재물 따위를 걸고 주사위, 골패, 마작, 화투, 트럼프 따위를 써서 서로 내기를 하는 일. (2)손과 발로 친다는 뜻으로, ‘태권도’를 달리 이르는 말.
  • : (1)‘명기’를 달리 이르는 말.
  • : (1)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三皇)의 한 사람으로, 팔괘를 처음으로 만들고, 그물을 발명하여 고기잡이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 가면 : (1)탈을 쓰고 하는 전통 극(劇) 양식. 탈춤, 오광대놀이, 산대놀이 따위가 있다.
  • : (1)아이들의 장난.
  • 구주 : (1)아홉 개의 핀(pin)을 세워 놓고 공을 굴려 쓰러뜨리는 실내경기. 11세기 무렵에 독일의 교회에서 시작된, 현대 볼링의 전신이다.
  • : (1)중국 동진 공제(恭帝) 때의 연호(419~420). 동진의 마지막 연호이다. (2)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조 한왕(漢王) 유연 때의 연호(304~308).
  • : (1)고려 예종 이후로 성행한 물놀이의 하나. 많은 배를 아름답게 꾸미고 풍악을 울리며, 귀희ㆍ함화토 등의 가무 잡희를 연출하였다. (2)불보살이나 다른 사람의 좋은 일을 자신의 일처럼 따라서 함께 기뻐함.
  • 체육유 : (1)운동 종목을 기본으로 하여 진행하는 놀이. 장소에 따라 땅에서 하는 놀이, 물에서 하는 놀이, 눈과 얼음 위에서 하는 놀이로 나누어진다.
  • 이장 : (1)시인(1900~1929). 본명은 양희(樑熙). 호는 고월(古月). 1925년 ≪조선 문단≫을 통하여 문단에 등장하여 즉물적인 감각으로 심미적인 이미지를 표출하는 청신한 감각의 시를 썼다. 작품에 <봄은 고양이로다>, <고양이의 꿈>이 있다.
  • 무애지 : (1)정재(呈才) 때 추던 춤의 하나. 12명으로 구성되어 기생 2명은 앞에 서서 노래를 부르다가 양손에 하나씩 각각 호로(葫蘆)를 쥐고 마주 섰다 등졌다 하며 춤을 춘다. 그러다가 다시 창사(唱詞)를 부르고 그것이 끝나면 이어서 뒤에 선 10명이 앞으로 나가 주악에 맞추어 서로 자리를 바꾸어 가면서 창사를 부르면서 춤을 춘다.
  • 피황 : (1)중국 경극의 기초가 된 지방극. 피리 반주를 특색으로 하는 이황과 호궁을 중심으로 하는 서피가 있다.
  • : (1)‘큰비’의 방언
  • 반의지 : (1)늙어서 효도함을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노래자가 일흔 살에 늙은 부모님을 위로하려고 색동저고리를 입고 어린이처럼 기어 다녀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 (1)젊고 아리따운 여자. (2)여자 가수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3)중국 남송 이종(理宗) 때의 연호(1237~1240).
  • 롱장 : (1)‘농장희’의 북한어.
  • 창우 : (1)광대 한 사람이 고수(鼓手)의 북장단에 맞추어 서사적(敍事的)인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엮어 발림을 곁들이며 구연(口演)하는 우리 고유의 민속악. 조선 숙종 말기에서 영조 초기에 걸쳐 충청도, 전라도를 중심으로 발달하여 왔으며, 지역에 따라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로 나뉜다.
  • : (1)사랑하는 여자. (2)사랑의 장난.
  • : (1)못된 장난을 함. 또는 그 장난.
  • 가무 : (1)극적 줄거리를 노래와 춤으로 나타내는 전통적 공연 양식.
  • 구침지 : (1)살아 있는 닭의 몸 안에 아홉 종류의 침을 찔러도 닭이 아파하거나 죽지 않는 침술이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침술을 이르는 말.
  • 권중 : (1)독립운동가(1890~?). 경상북도 안동(安東) 출신으로 삼일 운동 때 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으며, 1990년에 건국 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 : (1)광대가 하는 연극.
  • : (1)한숨을 지음.
  • 상중지 : (1)남녀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이나 풍속의 퇴폐를 풍자하여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호기 : (1)음력 사월 초파일에, 연등 행사를 위하여 벌였던 아이들 놀이. ≪고려사≫ 세가(世家) 권41 공민왕 13년(1364) 4월조에 의하면, 연등의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아이들이 며칠 동안 기를 만들어서 마을을 돌아다니며 쌀과 베를 구하던 행사라고 하였다. 공민왕이 이를 관람하고 베를 하사하였다는 기록도 있으며, 이는 조선 시대에도 계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 (1)예전에, 두 패로 갈라서 말을 타고 하던 운동 경기. 경기장 한복판에 놓인 자기편의 공을 숟가락 모양의 채를 이용하여 자기편 구문(毬門)에 먼저 넣으면 이긴다. (2)야구 따위에서, 공을 치는 일.
  • 십주 : (1)지름 22cm의 비금속성의 공을 굴려 약 20미터 전방에 정삼각형으로 세워 둔, 열 개의 핀을 많이 쓰러뜨려서 승부를 겨루는 경기. 3~4세기 무렵에 독일의 한 수도원에서 악마에 견준 곤봉을 쓰러뜨린 경기가 원형이라 한다.
  • 산대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 (1)‘의희하다’의 어근. (2)중국 동진(東晉) 안제(安帝) 때의 연호(405~418). 안제의 세 번째 연호이다.
  • 규식지 : (1)조선 시대에, 조정의 중요한 행사나 외국 사신을 영접할 때 행하던 곡예를 통틀어 이르던 말. 방울 놀이, 줄타기, 땅재주, 솟대 놀이, 불놀이, 어룡지희(魚龍之戲), 무동(舞童) 따위가 있다.
  • : (1)조선 순조 때의 한글 학자(1773~1837). 자는 계신(戒仲). 호는 서파(西陂)ㆍ방편자(方便子)ㆍ남악(南嶽). 한글을 독창적으로 연구하고 자모를 분류ㆍ해설하였다. 장원 급제까지 했으나 벼슬은 하지 않았다. 저서로 ≪언문지≫, ≪물명유고≫ 따위가 있다. (2)즐겁게 놀며 장난함. 또는 그런 행위. (3)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의 육체적 단련과 정서 교육을 위하여 일정한 방법에 따라 재미있게 하는 운동. (4)근로자의 휴식과 오락을 위한 놀이. (5)성균관 유생들이 이상적인 선정(善政)을 모의(模擬)로 베풀던 풍자 놀이. 여름과 겨울 두 차례, 종이에 ‘闕’ 자를 써서 성균관 문에 붙이고 공자(孔子)를 임시 왕으로 받들어 행하였다. (6)광대들이 선비의 모습과 행동을 풍자하여 보여 주던 연극. 과거에 급제한 이들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공연하였다. (7)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조(前趙)의 마지막 황제(?~329). 나라가 멸망되었기 때문에 시호는 없다. 유요가 죽자 329년 상규(上邽)로 천도하였고, 장안을 탈환하던 중 후조(後趙)에게 패하여 상규(上邽)가 점령되면서 그도 처형되고 전조는 멸망하였다. 재위 기간은 328~329년이다. (8)프랑스의 작곡가 드뷔시가 작곡한 발레곡. 1913년 완성된 곡으로 몽퇴의 지휘, 니진스키의 안무로 러시아 발레단에 의해 초연되었다.
  • 수부 : (1)음력 사월 초파일 관등절 때에 하는 아이들 놀이의 하나. 아이들이 못에, 바가지나 진흙으로 구워 만든 악기인 부(缶)를 엎어 놓고 빗자루 따위로 두드리며 음악을 연주하거나 춤을 추며 논다. (2)넓은 옹기그릇에 물을 가득 담아 놓고 바가지를 엎어서 두드리며 리듬에 맞춰 노래를 부르는 놀이.
  • : (1)‘가면극’을 달리 이르는 말. 유득공이 ≪경도잡지≫에서 사용한 말이다.
  • 산악백 : (1)서역악(西域樂)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민간 잡희(雜戱)의 총칭. 아악(雅樂)이나 정악(正樂)처럼 정식 무악(舞樂)이 아닌 모든 잡예(雜藝)를 가리킨다. 이러한 부류의 잡희는 중국 한나라 때 비롯되어 당나라에 계승되고, 한반도와 일본에까지 전파되었다.
  • 박정 : (1)군인ㆍ정치가(1917~1979). 호는 중수(中樹). 1961년에 육군 소장으로 5ㆍ16 군사 정변을 주도하여 최고 권력 기관인 국가 재건 최고 회의 의장이 되었으며, 1963년에 예편하여 민주 공화당 총재로 제5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1972년에 10월 유신(維新)을 단행하였고, 1979년 9대 대통령 재임 중에 중앙정보부장의 총격으로 사망하였다.
  • : (1)조선의 마지막 임금인 순종 때의 연호(1907~1910).
  • 산붕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 (1)민가와 궁중에서, 음력 섣달 그믐날에 묵은해의 마귀와 사신을 쫓아내려고 베풀던 의식. 본디 중국에서 시작한 것으로, 새해의 악귀를 쫓을 목적으로 행하다가 차츰 중국 칙사의 영접, 왕의 행행(行幸), 인산(因山) 때 따위에도 행하였다.
  • 황종 : (1)중국 명나라 말에서 청나라 초의 학자(1610~1695). 자는 태충(太沖). 호는 이주(梨州). 실증주의를 강조하였으며 왕부지ㆍ고염무와 함께 청나라 초기의 삼대사(三大師)로 불린다. 저서에 ≪명이대방록≫, ≪역학상수론(易學象數論)≫, ≪명유학안≫, ≪송원학안≫ 따위가 있다.
  • 운동 유 : (1)주로 유아나 아동들이 몸이나 손발을 움직여 운동을 즐기는 일. 또는 그런 놀이. 어린이의 따로따로나 세발자전거 타기ㆍ그네 타기ㆍ널뛰기 따위로, 생후 3개월에 시작하여 초등학생 때에 가장 많이 한다.
  • 구옥 : (1)프로 골프 선수(1956~2013). 한국 여자 프로 골프 1세대로, 2004년에 한국 여자 프로 골프(KLPGA) 투어 명예의 전당 1호로 헌정되었다. 1983년에 일본 프로 골프 무대로 진출한 이래 23승을 거두었고, 미국에서도 1승을 하며 활약하였다.
  • 관우 : (1)조선 정조 때에, 명창(名唱) 송만재(宋晩載)가 엮은 판소리집. 서문과 50수의 시로 되어 있으며, 판소리 열두 마당에 대한 최초의 문헌이다.
  • : (1)꿈 같은 장난. (2)매우 기뻐함. 또는 큰 기쁨. (3)몸의 즐거움과 마음의 기쁨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자기의 뜻에 알맞은 경계를 만났을 때의 기쁨, 죽어 극락왕생하는 것에 대한 기쁨, 불법(佛法)을 듣고 믿음을 얻어 느끼는 기쁨 따위를 이른다.
  • 김정 : (1)조선 후기의 문신ㆍ서화가(1786~1856). 자는 원춘(元春). 호는 완당(阮堂)ㆍ추사(秋史)ㆍ시암(詩庵)ㆍ예당(禮堂)ㆍ노과(老果)ㆍ농장인(農丈人)ㆍ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순조 19년(1819)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이조 참판에 이르렀다. 학문 연구에 대해서는 실사구시를 주장하였고, 서예에서는 추사체를 완성하였다. 고증학, 금석학에도 밝아 북한산에 있던 진흥왕 순수비를 고증하였다. 작품에 <묵죽도(墨竹圖)>, <묵란도(墨蘭圖)>, <세한도(歲寒圖)> 따위가 있으며, 저서에 ≪완당집≫, ≪금석과안록≫ 따위가 있다.
  • : (1)성균관 유생들이 이상적인 선정(善政)을 모의(模擬)로 베풀던 풍자 놀이. 여름과 겨울 두 차례, 종이에 ‘闕’ 자를 써서 성균관 문에 붙이고 공자(孔子)를 임시 왕으로 받들어 행하였다.
  • : (1)중국 남송(南宋) 효종(孝宗) 때의 연호(1174~1189).
  • : (1)‘우리’의 낮춤말. (2)‘우리’의 낮춤말. (3)앞에서 이미 말하였거나 나온 바 있는 사람들을 도로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4)귀찮게 굴어서 방해함.
1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

실전 끝말 잇기

희로 시작하는 단어 (686개) : 희, 희가극, 희가극 전화, 희가스, 희가스류 원소, 희각분, 희갈색, 희강왕, 희강왕릉, 희견궁, 희견성, 희견성천, 희견천, 희경, 희고 곰팡이 슬다, 희곡, 희곡계, 희곡론, 희곡 무가, 희곡 민요, 희곡사, 희곡의 플롯, 희곡 작가, 희곡적, 희곡집, 희곡화, 희곡화되다, 희곡화하다, 희곰하다, 희공랑 ...
희로 시작하는 단어는 68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희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25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