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속담 총 411 개
- 술 먹은 개 : 정신없이 술에 취해 행동을 멋대로 하는 사람을 비꼬는 말.
- 댑싸리 밑의 개 팔자 : 하는 일 없이 놀고먹는 편한 팔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식전 개가 똥을 참지 : 늘 하던 일을 다시는 하지 않겠다고 하는 사람에게 놀림조로 이르는 말.
- 나 먹자니 싫고 개 주자니 아깝다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저 먹자니 싫고 남[개] 주자니 아깝다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어머니에게 역정 나서 개 배때기 찬다 : 엉뚱한 데 가서 노여움이나 분을 푸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어미 미워서 개 옆구리 찬다 : 엉뚱한 데 가서 노여움이나 분을 푸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어미 역정에 개 옆구리[배때기,밥그릇] 찬다 : 엉뚱한 데 가서 노여움이나 분을 푸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부모에게 역정 나서 개의 옆구리 찬다 : ‘시어머니에게 역정 나서 개 배때기 찬다’의 북한 속담.
- 싸리밭에 개 팔자 : 하는 일 없이 놀고먹는 편한 팔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음지의 개 팔자 : 하는 일 없이 놀고먹는 편한 팔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풍년 개 팔자 : 하는 일 없이 놀고먹는 편한 팔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마음잡아 개장사 : 방탕하던 사람이 마음을 다잡아서 생업을 하게 되었으나 결국 오래가지 못하여 헛일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막다른 골목에서 돌아선 개는 범보다 무섭다 :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서 헤어나 보려고 마지막 힘을 다하여 덤비면 무서운 힘을 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얌전한 고양이[강아지,개](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겉으로는 얌전하고 아무것도 못 할 것처럼 보이는 사람이 딴짓을 하거나 자기 실속을 다 차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신주 개 물려 보내겠다 : 하는 짓이 칠칠하지 못하고 흐리터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신주 개 물어 간다 : 가장 중요한 것을 남에게 뺏기고 사정이 딱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훈장 똥은 개도 안 먹는다 : 애탄 사람의 똥은 매우 쓰다는 데에서, 선생 노릇이 매우 힘들다는 말.
- 도는 개는 배 채우고 누운 개는 옆 챈다 : 활동하면 얻는 바가 있지만 누워서 게으름이나 피우면 옆구리나 차이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개가 겻섬에 오른다 :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할 때에는 그 동작이 매우 재빠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개 살 안 찐다 : 늘 남의 것을 탐하는 자는 재물을 모으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놈 개 꾸짖듯 : 남이 알까 두려워서 입 속으로 중얼거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놈 개에게 물린 셈 : 자신의 잘못 때문에 봉변을 당하여도 아무 말 못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을 맞으려면 개도 안 짖는다 : 운수가 나쁘면 모든 것이 제대로 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이 들려면 개도 안 짖는다 : 운수가 나쁘면 모든 것이 제대로 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운수가 사나우면 짖던 개도 안 짖는다 : 운수가 나쁘면 모든 것이 제대로 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척의 개 범 물어 간 것 같다 : 도척의 개를 범이 물어 간 것처럼 시원하다는 뜻으로, 싫어하는 사람이 잘못되거나 불행하여지는 것을 보고 매우 통쾌하게 여기거나 기뻐함을 이르는 말.
- 매인 개처럼 돌아다니려고만 한다 : 그저 돌아다니려고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재수가 없는 포수는 곰을 잡아도 웅담이 없고 복 없는 봉사는 괘문을 배워 놓으면 개좆부리 하는 놈도 없다 : 일이 안되려면 하는 모든 일이 잘 안 풀리고 뜻밖의 큰 불행도 생긴다는 말.
-
검정개는 돼지 편
: 모양이나 형편이 서로 비슷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 사정을 보아주며 감싸 주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검정개 한패[한편]
: 모양이나 형편이 서로 비슷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 사정을 보아주며 감싸 주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이리가 짖으니 개가 꼬리(를) 흔든다
: 모양이나 형편이 서로 비슷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 사정을 보아주며 감싸 주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먹기 싫은 음식은 개나 주지 사람 싫은 것은 백 년 원수
: 싫은 사람과 같이 지내기는 어려운 일이라는 말.
-
여윈 당나귀 귀 베고 무엇 베면 남을 것이 없다
: 원래 넉넉하지 못한 데서 가장 두드러진 것을 한두 개 떼고 나면 남을 것이 없다는 말.
-
여윈 개 겨섬 뒤지듯
: 무엇을 극성스럽게 뒤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솥에 개 누웠다
: 쌀이 들어갈 솥에 개가 누웠다는 뜻으로, 끼닛거리가 없어 여러 날 동안 밥을 짓지 못하였음을 이르는 말.
-
쇠스랑 발은 세 개라도 입은 한 치다
: 쇠스랑 한 입에 세 발이 찍혀 들어가듯이 남의 흠을 꼬집어 말하기를 즐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엿을 물고 개잘량에 엎드러졌나
: 입에 엿을 물고 개 털가죽에 엎어졌느냐는 뜻으로, 털이 많이 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옆집 개가 짖어서 도적 면했다
: 우연히 남의 덕을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이웃집 개가 짖어서 도적을 면했다
: 우연히 남의 덕을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양반이 대추 한 개가 해장국이라고
: 먹을 것이 많은 양반도 대추 한 개만 가지고 해장을 한다는 뜻으로, 음식을 많이 먹을 필요가 없고 조금씩만 먹어도 넉넉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꼬리 삼 년 묵어도[묻어도,두어도] 황모 되지 않는다
: 본바탕이 좋지 아니한 것은 어떻게 하여도 그 본질이 좋아지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센 개 꼬리 시궁창에 삼 년 묻었다 보아도 센 개 꼬리다
: 본바탕이 좋지 아니한 것은 어떻게 하여도 그 본질이 좋아지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흰 개 꼬리 굴뚝에 삼 년 두어도 흰 개 꼬리다
: 본바탕이 좋지 아니한 것은 어떻게 하여도 그 본질이 좋아지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오뉴월 감기는 개도 아니 걸린다[앓는다]
: 여름에 감기 앓는 사람을 변변치 못한 사람이라고 놀림조로 이르는 말.
-
오뉴월 개 가죽 문인가
: 한여름 개 가죽으로 만든 문이 있는 방처럼 더운 줄 아느냐는 뜻으로, 추운 날 드나들면서 문을 열어 놓고 다니는 사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오뉴월 거적문인가
: ‘오뉴월 개 가죽 문인가’의 북한 속담.
-
오뉴월 음달 아래 개 팔자
: ‘오뉴월 댑싸리 밑의 개 팔자’의 북한 속담.
-
네 떡이 한 개면 내 떡이 한 개라
: 말은 누구에게나 점잖고 부드럽게 하여야 한다는 말.
-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 잘못이 명백히 드러나 변명의 여지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멸치 한 마리는 어쭙잖아도 개 버릇이 사납다
: 개에게 멸치 한 마리를 주는 것은 아깝지 않지만 그로 인해 개의 버릇이 사나워질까 걱정이라는 뜻으로, 물건이 아까워서가 아니라 버릇을 고치라고 나무라는 말.
-
개가 똥을 마다할까[마다한다]
: 본디 좋아하는 것을 짐짓 싫다고 거절할 때 이를 비꼬는 말.
-
꼬리 먼저 친 개가 밥은 나중에 먹는다
: 어떤 일이나 먼저 서두르는 사람이 뒤떨어짐을 이르는 말.
-
먼저 꼬리 친 개 나중 먹는다
: 어떤 일이나 먼저 서두르는 사람이 뒤떨어짐을 이르는 말.
-
꿀 먹은 개 욱대기듯
: 어떤 일을 저지른 사람을 몹시 몰아세우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라 없는 백성은 상가집 개만도 못하다
: 나라가 없는 백성의 처지가 몹시 고달프고 힘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에게 매 맞고 개 옆구리 찬다
: 앞에서는 감히 반항하지 못하고 있다가 아무 상관도 없는 만만한 대상에게 화풀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개를 때린다는 게 내 개가 맞아 죽었다
: ‘남 잡이가 제 잡이’의 북한 속담.
-
내 밥 먹은 개가 발뒤축을 문다
: 자기에게 은혜를 입은 사람으로부터 도리어 화를 입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밥 먹은 개가 제 발등 문다
: 자기에게 은혜를 입은 사람으로부터 도리어 화를 입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집 개에게 발뒤꿈치 물린 셈
: 자기에게 은혜를 입은 사람으로부터 도리어 화를 입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외간 싸움은 개싸움
: 부부는 싸움을 하여도 화합하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너하고 말하느니 개하고 말하겠다
: 말귀를 알아듣지 못하는 상대를 비꼬는 말.
-
넉 달 가뭄에도 하루만 더 개었으면 한다
: 사람은 날씨에 대하여 항상 자기중심으로 생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넉 달 가뭄에도 하루만 더 개었으면 한다
: 오래 가물어서 아무리 기다리던 비일지라도 무슨 일을 치르려면 그 비 오는 것을 싫어한다는 말.
-
노루잠에 개꿈이라
: 아니꼽고 같잖은 꿈 이야기나 격에 맞지 않는 말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노뭉치로 개 때리듯
: 상대편의 비위를 맞춰 가면서 슬슬 놀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뇌성벽력은 귀머거리라도 듣는다
: 아무리 장님일지라도 맑게 갠 하늘은 알 수 있다는 뜻으로, 누구나 분명히 알 수 있는 사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청천백일은 소경이라도 밝게 안다
: 아무리 장님일지라도 맑게 갠 하늘은 알 수 있다는 뜻으로, 누구나 분명히 알 수 있는 사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서당 개 삼 년에 풍월(을) 한다[읊는다,짓는다]
: 어떤 분야에 대하여 지식과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도 그 부문에 오래 있으면 얼마간의 지식과 경험을 갖게 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만 있으면 개도 멍첨지라
: 천한 사람도 돈만 있으면 다른 사람들이 귀하게 대접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만 있으면 개도 흉한 짓을 한다
: 천한 사람도 돈만 있으면 다른 사람들이 귀하게 대접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산다[먹는다]
: 돈을 벌 때는 천한 일이라도 하면서 벌고 쓸 때는 떳떳하고 보람 있게 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네 개 짖는 소리(만 못하게 여긴다)
: 남이 하는 말을 무시하여 들은 체도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디 개가 짖느냐 한다
: 남이 하는 말을 무시하여 들은 체도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느 집 개가 짖느냐 한다
: 남이 하는 말을 무시하여 들은 체도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올가미 없는 개장사
: 밑천 없이 하는 장사를 낮잡아 이르는 말.
-
올가미의 개가 멍멍 짖거든
: ‘솔방울이 울거든’의 북한 속담.
-
동지 때 개딸기
: 철이 지나 도저히 얻을 수 없는 것을 바란다는 말.
-
동짓달에 멍석딸기 찾는다
: ‘동지 때 개딸기’의 북한 속담.
-
돝잠에 개꿈
: 돼지 잠에 잡스러운 개꿈이라는 뜻으로, 별 볼 일 없는 꿈을 꾸거나 그런 꿈 이야기를 멋없이 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돝잠에 개꿈
: 격에 맞지 아니한 말을 주책없이 늘어놓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두 계집 둔 놈의 똥은 개도 안 먹는다
: 첩을 둔 자의 마음은 몹시 괴로워 속이 썩는다는 말.
-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 자기는 더 큰 흉이 있으면서 도리어 남의 작은 흉을 본다는 말.
-
뒷간에 앉아서 개 부르듯 한다
: 자기에게 필요할 때만 찾는다는 말.
-
드나드는 개가 꿩을 문다
: 꾸준하게 열성적으로 노력하는 사람이 일을 이루고 재물을 얻을 수 있다는 말.
-
등겨 먹던 개는 들키고 쌀 먹던 개는 안 들킨다
: 크게 나쁜 일을 한 사람은 들키지 아니하고 그보다 덜한 죄를 지은 사람은 들키어서 애매하게 남의 허물까지 뒤집어쓰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복날(에) 개 맞듯
: 몹시 두들겨 맞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똥 누고 개 불러 대듯
: 필요하면 아무 때나 마구 불러 대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똥 누면 분칠하여 말려 두겠다
: 사람의 똥에 분을 칠하여 하얗게 말려 두었다가 흰 개의 흰 똥을 약으로 구하는 사람이 있으면 팔아먹겠다는 뜻으로, 악독하고 인색한 사람을 이르는 말.
-
똥 묻은 개 쫓듯
: 어떤 부정적인 대상이 나타났을 때 여유를 주지 않고 마구 쫓아내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음달 아래 개 팔자
: ‘오뉴월 댑싸리 밑의 개 팔자’의 북한 속담.
-
뉘 아기[개] 이름인 줄 아나
: 실없이 자기의 이름을 자꾸 부름을 핀잔하는 말.
-
뉘 집 숟가락이 몇 갠지 아냐
: 어느 집에 숟가락이 몇 개나 되는지 어찌 알겠느냐는 뜻으로, 남의 집 일을 다 알 수 없고 또 알 필요도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늙은 우세 하고 사람 치고, 병 우세 하고 개 잡아먹는다
: 늙음을 구실로 하여 사람을 치고 병든 것을 구실로 하여 개를 잡아먹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자기에게 유리한 핑계로 삼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닭 쫓던 개 울타리 넘겨다보듯
: 개에게 쫓기던 닭이 지붕으로 올라가자 개가 쫓아 올라가지 못하고 지붕만 쳐다본다는 뜻으로, 애써 하던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남보다 뒤떨어져 어찌할 도리가 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정승 말[개,당나귀] 죽은 데는 (문상을) 가도 정승 죽은 데는 (문상을) 안 간다
: 대감이 죽은 후에는 그에게 잘 보일 필요가 없으나 대감이 살고 말이 죽으면 대감의 환심을 사기 위하여 조문을 간다는 뜻으로, 권력이 있을 때는 아첨을 하지만 권력이 없어지면 돌아다보지 않는 세상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울바자가 헐어지니 이웃집 개가 드나든다
: 자신에게 약점이 있으니까 남이 그것을 알고 업신여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울타리가 허니까 이웃집 개가 드나든다
: 자신에게 약점이 있으니까 남이 그것을 알고 업신여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가 싸움은 개싸움
: 일가끼리 싸우는 것은 짐승과도 같은 일임을 이르는 말.
▹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초성이 같은 단어들
•
ㄱ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