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
끝
초성
사전
속담
한자
명언
포함
사투리
+
곡식
에 관한 속담 총 39 개
•
숙성이 된 곡식은 여물기도 일찍 된다
:
지식이나 경험 따위가 많을수록 일의 성과도 그만큼 빨리 이루어질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
#
성
#
성과
#
있음
#
지식
#
숙성
#
기도
#
경험
#
곡식
#
따위
•
마파람에 곡식이 혀를 빼물고 자란다
:
남풍이 불기 시작하면 모든 곡식은 놀랄 만큼 무럭무럭 빨리 자란다는 말.
#
마파람
#
시작
#
남
#
만큼
#
곡식
#
혀
•
흉년에 뱀이 조 이삭을 먹는다
:
곡식이 귀하다고 하니 별별 것이 다 달라붙어 곡식을 축내고 훔쳐 간다는 말.
#
이삭
#
조
#
곡식
#
흉년
#
별
#
뱀
•
흉년의 곡식이다
:
물건이 적을 때 비로소 그 진가를 알게 된다는 말.
#
때
#
진가
#
곡식
#
물건
#
흉년
•
흉년의 곡식이다
:
물건이 적을 때에는 다른 때보다 귀하게 여기게 된다는 말.
#
곡식
#
때
#
물건
#
흉년
•
흉년의 곡식이다
:
값을 높이 불러도 작자는 있기 마련이라는 말.
#
곡식
#
마련
#
값
#
흉년
•
흉년의 곡식이다
:
비로소 소중한 것인 줄 알게 되었지만 구하기가 어렵다는 말.
#
줄
#
소중
#
곡식
#
흉년
•
오뉴월 품앗이 논둑[논두렁] 밑에 있다
:
여름에 산 품을 가을에 곡식을 거둔 후에 갚게 된다는 뜻으로, 빚 갚을 날짜가 멀었음을 이르는 말.
#
품앗이
#
날짜
#
오뉴월
#
가을
#
논두렁
#
여름
#
빚
#
밑
#
곡식
#
후
#
산
•
곡식 이삭은 익을수록[잘될수록] 고개를 숙인다
:
교양이 있고 수양을 쌓은 사람일수록 겸손하고 남 앞에서 자기를 내세우려 하지 않는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개
#
이삭
#
수양
#
사람
#
앞
#
교양
#
남
#
겸손
#
곡식
•
동풍에 곡식이 병난다
:
한참 낟알이 익어 갈 무렵에 때아닌 동풍이 불면 못쓰게 된다는 말.
#
때
#
병
#
동풍
#
곡식
#
낟알
#
무렵
•
보고도 못 먹는 전라도 곡식
:
필요한 것을 눈앞에 두고도 마음대로 쓰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필요
#
눈앞
#
곡식
#
마음
•
전라도 곡식이라
:
필요한 것을 눈앞에 두고도 마음대로 쓰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필요
#
눈앞
#
곡식
#
마음
•
딸은 제 딸이 고와 보이고, 곡식은 남의 곡식이 탐스러워 보인다
:
자식은 남의 자식보다 제 자식이 나아 보이고, 물건은 남의 물건이 제 물건보다 좋아 보임을 이르는 말.
#
자식
#
딸
#
남
#
저
#
곡식
#
탐
#
물건
•
자라는 조 홰기 뽑기
:
‘패는 곡식 이삭 뽑기[빼기]’의 북한 속담.
#
곡식
#
패
#
이삭
#
조
•
곡식은 남의 것이 잘되어 보이고 자식은 제 자식이 잘나 보인다
:
자식은 자기 자식이 잘나 보이고 재물은 남의 것이 더 좋아 보여 탐이 남을 이르는 말.
#
자식
#
재물
#
남
#
저
#
곡식
#
탐
•
아이는 제 자식이 잘나 보이고 곡식은 남의 곡식이 잘되어 보인다
:
자식은 자기 자식이 잘나 보이고 재물은 남의 것이 더 좋아 보여 탐이 남을 이르는 말.
#
자식
#
재물
#
아이
#
남
#
저
#
곡식
#
탐
•
자식은 제 자식이 좋고 곡식은 남의 곡식이 좋다
:
자식은 자기 자식이 잘나 보이고 재물은 남의 것이 더 좋아 보여 탐이 남을 이르는 말.
#
자식
#
재물
#
남
#
저
#
곡식
#
탐
•
자식 죽는 건 봐도 곡식 타는 건 못 본다
:
농부들이 농사짓는 일에 온 정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
일
#
정성
#
자식
#
농부
#
곡식
•
헌 섬에 곡식이 더 든다
:
늙은 사람이 밥을 더 많이 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곡식
#
사람
#
섬
#
밥
•
곡식과 사람은 가꾸기에 달렸다
:
곡식은 사람의 손이 많이 가고 부지런히 가꾸어야 잘되고 사람은 어려서부터 잘 가르치고 이끌어야 훌륭하게 된다는 말.
#
곡식
#
사람
#
손
#
훌륭
•
곡식은 될수록 준다
:
곡식은 이리저리 될수록 준다는 말.
#
곡식
•
곡식에 제비 같다
:
제비는 곡식을 안 먹는다는 데서, 청렴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람
#
제비
#
청렴
#
곡식
•
곡식은 될수록 준다
:
무엇이나 여기저기 옮겨 담으면 조금이라도 줄지 늘지는 아니한다는 말.
#
곡식
#
조금
#
무엇
#
여기저기
•
가꾸지 않는 곡식 잘되는 법이 없다
:
공들여 가꾸지 않고 버려 둔 곡식이 잘되는 일이 없듯이 사람을 바르게 가르치고 잘 이끌지 않으면 제구실을 못한다는 말.
#
일
#
사람
#
법
#
곡식
#
제구실
•
가물에 단비
:
가뭄이 들어 곡식이 다 마를 때에 기다리던 비가 온다는 뜻으로, 기다리고 바라던 일이 마침내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
바
#
가물
#
일
#
때
#
단비
#
물
#
가뭄
#
비
#
곡식
#
짐
•
가을비는 떡비라
:
풍족한 가을에는 이것저것 먹을 것도 많으므로, 비가 와서 일하러 나가지 못하게 되는 날에는 집 안에서 넉넉한 곡식으로 떡이나 해 먹고 지내기가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
#
풍족
#
집
#
이것저것
#
가을
#
넉넉
#
안
#
날
#
비
#
곡식
#
떡
•
가을 중의 시주 바가지 같다
:
가을에는 곡식이 풍성하여 시주도 많이 하게 되므로 시주 바가지가 가득하다는 데서, 무엇이 가득 담긴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
#
시주
#
가득
#
풍성
#
가을
#
무엇
#
곡식
•
패는 곡식 이삭 뽑기[빼기]
:
잘되어 가는 일을 심술궂은 행동으로 망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일
#
이삭
#
곡식
#
행동
•
하늬바람에 곡식이 모질어진다
:
여름이 지나 서풍이 불게 되면 곡식이 여물고 대가 세진다는 말.
#
하늬바람
#
대가
#
바람
#
여름
#
서풍
#
곡식
#
대
•
아침에 심은 곡식은 먹어도 저녁에 심은 것은 못 먹는다
:
아침에 심은 곡식은 땅에 습기가 있어서 씨가 자랄 수가 있지만, 하루 종일 햇볕에 마른 저녁 땅에는 씨가 제대로 붙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햇볕
#
씨
#
습기
#
땅
#
하루
#
저녁
#
곡식
#
아침
•
보릿고개에 죽는다
:
묵은 곡식은 거의 떨어지고 햇보리는 아직 여물지 아니하여 농가가 심히 곤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곤궁
#
햇보리
#
농가
#
보릿고개
#
곡식
•
상농은 밭을 가꾸고 중농은 곡식을 가꾸고 하농은 풀을 가꾼다
:
진짜 농사를 잘 짓는 농사꾼은 밭을 기름지게 가꾸는 반면 농사를 못 짓는 사람일수록 쓸데없는 풀만 가꿈을 이르는 말.
#
반면
#
밭
#
농사
#
상
#
진짜
#
사람
#
풀
#
곡식
#
중농
#
꿈
•
흉년에도 한 가지 곡식은 먹는다
:
아무리 흉년이 들어도 모든 곡식이 다 안되는 경우는 드물고 한 가지라도 먹을 수 있는 곡식이 남는다는 말.
#
경우
#
안
#
곡식
#
흉년
•
두고도 못 먹는 전라도 곡식
:
필요한 것을 눈앞에 두고도 마음대로 쓰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필요
#
눈앞
#
곡식
#
마음
•
칠월 흉년에 팔월 도깨비
:
음력 칠월에는 가뭄이 들어 곡식이 말라 죽은 데다가 팔월에는 도깨비 장마가 져서 농사를 망치게 되는 자연재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깨비
#
음력
#
팔월
#
농사
#
칠월
#
자연재해
#
말라
#
가뭄
#
장마
#
곡식
#
흉년
•
사람과 곡식은 가꾸기에 달렸다
:
곡식은 사람의 손이 많이 가고 부지런히 가꾸어야 잘되고 사람은 어려서부터 잘 가르치고 이끌어야 훌륭하게 된다는 말.
#
곡식
#
사람
#
손
#
훌륭
•
삼남이 풍년이면 천하는 굶주리지 않는다
: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땅에 곡식이 많이 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풍년
#
땅
#
경상도
#
천하
#
곡식
•
갈바람에 곡식이 혀를 빼물고 자란다
:
가을이 오려고 서풍이 불기 시작하면 곡식들이 놀랄 만큼 빨리 자라고 익어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작
#
갈바람
#
가을
#
만큼
#
서풍
#
곡식
#
혀
•
부자네 곡식은 정한 게 없다
:
남의 곡식을 마음대로 빼앗는 부자의 곡식이 얼마나 되는지 한도를 정할 수 없는 것처럼 부자의 재산은 어느 것이나 다 착취와 사기 협잡으로 긁어모은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기
#
재산
#
정
#
남
#
한도
#
착취
#
부자
#
곡식
#
협잡
#
마음
출처: 우리말샘
곡식
스토리 보기
속담을 검색해 보세요.
(와)과 관련된
모든 속담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
곡식
에 관련된
한자어
21개 더 보기
›
膏粱珍味(고량진미): 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
草根木皮(초근목피):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
納粟加資(납속가자): 조선 시대에, 흉년이 들거나 병란이 있을 때 많은 곡식을 바친 사람에게 공명첩을 주던 일.
⇈
G
o
o
g
l
e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