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히 역적이 될 만한 그릇이라는 뜻으로, 우악스럽고 모략을 잘 꾸미는 사람을 이르는 말.
#역적
#사람
#그릇
#우악
#모략
•
:
겉모양만 보고 속까지 그릇된 것으로 판단하지 말라는 말.
#속
#그릇
#판단
#솥
#겉모양
#밥
#말
•
:
•
:
•
:
열 사람이 한 술씩 보태서 밥 한 그릇을 만든다는 뜻으로, 여럿이 각각 조금씩 도와주어 큰 보탬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태
#사람
#조금
#그릇
#열
#밥
#술
#보탬
#여럿
#조금씩
•
:
열 사람이 한 술씩 보태서 밥 한 그릇을 만든다는 뜻으로, 여럿이 각각 조금씩 도와주어 큰 보탬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태
#조금
#사람
#그릇
#열
#밥
#술
#보탬
#여럿
#푼
#조금씩
•
:
열 사람이 한 술씩 보태서 밥 한 그릇을 만든다는 뜻으로, 여럿이 각각 조금씩 도와주어 큰 보탬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태
#조금
#사람
#그릇
#열
#밥
#술
#보탬
#여럿
#조금씩
•
:
어른과 아이의 차별이 없이 나누어 주는 분량이 같다는 말.
#어른
#분량
#그릇
#아이
#차별
#흉년
•
:
어른과 아이의 차별이 없이 나누어 주는 분량이 같다는 말.
#어른
#분량
#그릇
#아이
#차별
•
:
어른과 아이의 차별이 없이 나누어 주는 분량이 같다는 말.
#어른
#그릇
#분량
#아이
#차별
•
:
한번 그릇된 일은 다시 본래대로 돌리려고 애써도 돌릴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본래
#번
#그릇
•
:
어떤 사물에 대하여 똑똑히 알지도 못하면서 제가 알고 있는 옅은 지식을 가지고 어림짐작으로 그릇되게 판단함을 핀잔하는 말.
#줄
#핀잔
#그릇
#판단
#지식
#사물
#저
#어림짐작
•
:
마당이 벌어졌는데 그릇이 터졌을 때 필요한 솔뿌리를 걱정한다는 뜻으로, 당치도 아니한 것으로 사건을 수습하려 하는 어리석음을 비웃는 말.
#걱정
#뿌리
#솔
#때
#그릇
#필요
#수습
#치도
#마당
#당
#당치
#솔뿌리
#사건
•
:
자식과 그릇은 있으면 있는 대로 쓰고 없으면 없는 대로 쓰기 마련이라는 뜻으로, 둘러맞춰 가며 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식
#그릇
#대로
#마련
#대
•
:
죽이 매우 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그릇
#그림자
•
:
•
:
•
:
•
:
이왕 그릇된 일을 자꾸 생각하여 보아야 소용없다는 말.
#일
#자식
#이왕
#생각
#소용
#그릇
•
:
양에 관계없이 명목상으로는 같다는 말.
#양
#그릇
•
:
이미 그릇된 일이 다시 잘될 리 없다는 말.
#일
#코딱지
#그릇
#살이
#리
•
:
이미 그릇된 일이 다시 잘될 리 없다는 말.
#고름
#일
#그릇
#리
•
:
이미 그릇된 일이 다시 잘될 리 없다는 말.
#부스럼
#일
#그릇
#리
•
:
말만 번지르르하게 하는 것보다는 목마른 사람에게 냉수 한 그릇을 대접하는 것이 낫다는 뜻으로, 말로만 하는 것보다는 실질적으로 도와주는 것이 훨씬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빈말
#랭수
#사람
#그릇
#대접
#냉수
#말
•
:
사람의 노력이나 그릇은 많으면 많을수록 그만큼 쓸모가 있음을 이르는 말.
#사람
#있음
#쓸모
#그릇
#노력
•
:
사람과 그릇은 없으면 못 쓰지만 있기만 하면 있는 만큼 다 쓸모가 있음을 이르는 말.
#사람
#있음
#쓸모
#그릇
#만큼
•
:
살림을 하노라면 쓸모없어 보이는 쪽박이나 그릇도 있는 대로 다 쓴다는 뜻으로, 사람도 다 제 나름대로 쓸모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살림
#사람
#그릇
#나름
#쪽박
#쓸모
#있음
#개천
#저
#종
#대
•
:
사람이 초췌하여 풀이 죽고 기운이 없어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풀이
#사람
#초췌
#그릇
#기운
#사흘
•
:
밀기름 그릇만 한 작은 그릇에 밥을 담고 귀이개만 한 숟가락으로 퍼먹는다는 뜻으로, 세상이 망하게 되면 있을 괴상망측한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귀이개
#세상
#그릇
#기름
#밀기름
#밥
#짓
#숟가락
#망
•
:
•
:
아무리 훌륭하고 좋은 것이라도 다듬고 정리하여 쓸모 있게 만들어 놓아야 값어치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슬
#훌륭
#진주
#쓸모
#그릇
#정리
#열
#있음
#값어치
•
:
흔히 물건이 좋고 값진 것일수록 쉬 망가진다는 말.
#물건
#귀
#그릇
•
:
귀하게 태어난 사람이나 재주가 비상한 사람이 일찍 죽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비상
#귀
#사람
#그릇
#재주
•
:
세상의 온갖 것이 한번 번성하면 다시 쇠하기 마련이라는 말.
#쇠
#세상
#번
#그릇
#번성
#마련
•
:
‘부엌에서 숟가락을 얻었다’의 북한 속담.
#가시
#숟가락
#그릇
#부엌
•
:
•
:
그릇이 크니 많이 달라고 할 때 그대로 다 줄 수는 없다는 뜻으로 하는 말.
#거지
#자루
#때
#그릇
•
:
지나치게 큰 그릇을 가지고 옴을 비웃는 말.
#거지
#자루
#그릇
•
:
법대로 가는 것 같다가도 그릇된 방향으로 가는 세상이라는 뜻으로, 옳은 것과 그른 것이 뒤죽박죽이 되어 갈피를 잡을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세상
#그릇
#뒤죽박죽
#법
#방향
#외
#갈피
•
:
북두칠성이 제자리를 떠나서 획 돌아갔다는 뜻으로, 일이 그릇되거나 틀어지어 낭패가 되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제자리
#북두칠성
#그릇
#낭패
•
:
마당이 벌어졌는데 그릇이 터졌을 때 필요한 솔뿌리를 걱정한다는 뜻으로, 당치도 아니한 것으로 사건을 수습하려 하는 어리석음을 비웃는 말.
#걱정
#뿌리
#솔
#때
#그릇
#필요
#수습
#치도
#마당
#당
#당치
#솔뿌리
#사건
#뒷집
•
:
마당이 벌어졌는데 그릇이 터졌을 때 필요한 솔뿌리를 걱정한다는 뜻으로, 당치도 아니한 것으로 사건을 수습하려 하는 어리석음을 비웃는 말.
#걱정
#뿌리
#솔
#때
#그릇
#필요
#수습
#치도
#마당
#당
#당치
#솔뿌리
#사건
•
:
자신의 잘못은 깨닫지 못하고 남에게만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거나, 자신이 저지른 잘못의 원인을 남에게서 찾는 그릇된 태도를 이르는 말.
#줄
#태도
#원인
#생각
#그릇
#남
#잘못
#저
#자신
•
:
쉽게 할 수 있는 설거지는 딸을 시키고 어렵게 해야 하는 설거지는 며느리를 시킨다는 뜻으로, 시어머니는 며느리보다 제 딸을 더 아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며느리
#딸
#그릇
#저
#시어머니
•
:
살림을 하노라면 쓸모없어 보이는 쪽박이나 그릇도 있는 대로 다 쓴다는 뜻으로, 사람도 다 제 나름대로 쓸모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살림
#사람
#쓸모
#나름
#그릇
#쪽박
#있음
#대로
#저
#대
•
:
물장수가 물을 대어 주는 집에서 밥을 얻어먹을 때에 그 밥상을 물로 씻듯이 깨끗이 먹어 치웠다는 데서, 먹고 난 밥상이 아주 깨끗하여 빈 그릇만 남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깨끗
#물장수
#상
#집
#때
#그릇
#대어
#물
#밥
#밥상
•
:
밉다고 차 버리니까 떡을 담아 놓은 그릇에 자빠져 도리어 잘되었다는 뜻으로, 미운 사람을 해친다고 한 일이 그자에게는 도리어 다행한 일이 되어 더욱 분이 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떡
#일
#다행
#사람
#그릇
#고리
#차
#분
•
:
세상의 온갖 것이 한번 번성하면 다시 쇠하기 마련이라는 말.
#쇠
#세상
#번
#그릇
#번성
#달
#마련
•
:
그릇이 작더라도 담는 솜씨에 따라 많이 담을 수도 있다는 뜻으로, 좋지 아니한 조건에서도 솜씨나 마음가짐에 따라서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말.
#성과
#그릇
#탓
#밥
#조건
#마음가짐
#담
#솜씨
#접시
•
:
행운이 언제까지나 계속되는 것은 아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그릇
#행운
#언제
#계속
#달
출처: 우리말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