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아트
시작
끝
초성
사전
속담
한자
명언
포함
사투리
+
기생
에 관한 속담 총 16 개
•
마지막 담배 한 대는 기생첩도 안 준다
:
마지막 남은 한 대의 담배는 남을 주기가 매우 아까움을 이르는 말.
#
기생
#
담배
#
마지막
#
남
#
첩
#
대
•
막대는 첩도 안 준다
:
‘마지막 담배 한 대는 기생첩도 안 준다’의 북한 속담.
#
기생
#
담배
#
마지막
#
막대
#
첩
#
대
•
나 모르는 기생은 가기생이라
:
나를 모르는 사람은 가짜 기생이라는 뜻으로, 지나치게 아는 체하거나 면식이 넓은 체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기생
#
나
#
사람
#
체
#
가짜
#
면
•
한량이 죽어도 기생집 울타리 밑에서 죽는다
:
사람이 평소에 가지고 있는 본색이나 행실을 죽을 때까지 버리지 못한다는 말.
#
기생
#
행실
#
평소
#
한량
#
때
#
사람
#
집
#
색
#
본색
#
울타리
#
밑
•
기생의 자릿저고리
:
기생의 자릿저고리는 기름때가 묻고 분 냄새가 나는 더러워진 것이라는 뜻으로, 외모가 단정하지 못하고 말씨가 간사스러운 사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비난
#
기생
#
간사
#
사람
#
기름때
#
냄새
#
외모
#
단정
#
분
#
말씨
#
저고리
•
기생 환갑은 서른
:
서른 살이면 기생으로서의 생명이 다한 것이나 다름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기생
#
생명
#
살
#
서른
#
환갑
•
기생 환갑은 서른
:
특별한 체력이나 능력을 필요로 하는 직업에는 연령에 한계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연령
#
기생
#
능력
#
체력
#
있음
#
필요
#
한계
#
직업
#
특별
#
환갑
•
과거 전에 창부
:
과거 시험에 합격하여 벼슬아치가 되기도 전에 기생을 데리고 노는 데 재미를 붙였다는 뜻으로, 일이 이루어지기도 전에 다 된 듯이 경솔하고 망령되게 행동함을 비꼬는 말.
#
기생
#
일
#
경솔
#
창부
#
벼슬아치
#
재미
#
합격
#
과거
#
망령
#
시험
#
행동
•
파리 수보다 기생이 셋 많다
:
기생 수가 매우 많음을 이르는 말.
#
파리
#
기생
#
셋
•
약방 기생 볼 줴지르게 잘생기다
:
여자의 용모가 빼어나게 잘생겼다는 말.
#
기생
#
약방
#
용모
#
여자
•
기생의 자릿저고리
:
요란히 분 냄새가 풍기는 비단 저고리이기는 하나 낡고 꼬깃꼬깃해져 볼품이 없는 기생의 자릿저고리처럼, 이름은 요란하나 실상은 헌 넝마와 같이 전혀 쓸모없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기생
#
볼품
#
실상
#
쓸모
#
냄새
#
비단
#
요란
#
이름
#
넝마
#
분
#
저고리
•
기생 죽은 넋
:
다 낡아 못 쓰게 되었어도 아직 볼품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넋
#
기생
#
있음
#
볼품
•
기생 죽은 넋
:
게을러빠지고 모양만 내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기생
#
놀림
#
사람
#
넋
#
모양
•
눈이 하가마가 되였다
:
눈이 옛날 기생의 쓰개인 하가마 모양으로 우묵하게 들어갔다는 뜻으로, 몹시 굶주리거나 앓고 나서 눈이 움푹 패어 들어간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기생
#
마가
#
되
#
쓰개
#
가마
#
옛날
#
눈
#
패
#
모양
•
늙어도 기생
:
비록 늙기는 하였어도 기생이란 신분은 버릴 수 없다는 뜻으로, 본질은 좀처럼 변하지 아니하고 오래 남아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본질
#
기생
#
있음
#
신분
•
늙어도 기생
:
몸에 밴 버릇이나 생활 습관 따위는 세월이 흘러도 좀처럼 변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기생
#
습관
#
생활
#
버릇
#
몸
#
따위
#
세월
출처: 우리말샘
기생
스토리 보기
속담을 검색해 보세요.
(와)과 관련된
모든 속담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
기생
에 관련된
한자어
6개 더 보기
›
路柳墻花(노류장화): 길가의 버드나무와 담장의 꽃이라는 뜻으로, 누구라도 꺾을 수 있는 버드나무나 꽃 같은 창부(娼婦)를 의미.
›
解語花(해어화): (1)‘기생’을 달리 이르는 말. (2)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 ‘미인’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에, 현종이 양 귀비를 가리켜 말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名花(명화): (1)아름답기로 이름난 꽃. (2)아름다운 여자나 기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