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속담 총 1,045 개
- 소전 뒤 글자 같다 : 쇠천의 글자가 닳아 제대로 알아보지 못하게 된 것 같다는 뜻으로, 남의 심중을 잘 알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신 댁 송아지 백정 무서운 줄 모른다 : 남의 권력만 믿고 거만을 부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신 집 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남의 권력만 믿고 거만을 부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수염을 내리쓴다 : 남에게 마땅히 하여야 할 일도 하지 아니하고 모르는 체 시치미를 뚝 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술 받아 주고 뺨 맞는다 : 술을 받아서 대접해 주고는 오히려 뺨을 맞는다는 뜻으로, 남을 잘 대접하고 나서 오히려 그에게 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술 사 주고 뺨 맞는다 : 술을 받아서 대접해 주고는 오히려 뺨을 맞는다는 뜻으로, 남을 잘 대접하고 나서 오히려 그에게 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술 사 주고 뺨 맞는다 : 술을 사서 대접해 주고는 오히려 뺨을 맞는다는 뜻으로, 남을 잘 대접하고 나서 오히려 그에게 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술 받아 주고 뺨 맞는다 : 술을 사서 대접해 주고는 오히려 뺨을 맞는다는 뜻으로, 남을 잘 대접하고 나서 오히려 그에게 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통 맞은 병아리 같다 : 남에게 얻어맞거나 의외의 일을 당하여 정신이 멍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숫눈길을 걷는 사람만이 제 발자국을 남긴다 : 남들이 하지 않은 일을 처음으로 개척하는 사람만이 자신이 한 일을 후세에 남길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새벽길을 걷는 사람이 첫 이슬을 턴다 : 남들이 하지 않은 일을 처음으로 개척하는 사람만이 자신이 한 일을 후세에 남길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숭어가 뛰니까 망둥이도 뛴다 : 남이 한다고 하니까 분별없이 덩달아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망둥이가 뛰면 꼴뚜기도 뛴다 : 남이 한다고 하니까 분별없이 덩달아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잉어가 뛰니까 망둥이도 뛴다 : 남이 한다고 하니까 분별없이 덩달아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숯이 검정 나무란다 : 숯이 검은 것을 나무란다는 뜻으로, 제 허물은 생각하지 않고 남의 허물을 들추어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 먹자니 싫고 개 주자니 아깝다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그네 먹던 김칫국도 먹자니 더럽고 남 주자니 아깝다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 먹기는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저 먹자니 싫고 남[개] 주자니 아깝다 :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승냥이는 꿈속에서도 양 무리를 생각한다 : 남을 해치는 것에 익숙해진 사람은 늘 그런 생각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승냥이는 매로 다스려야 한다 : 남을 침략하는 자에게는 힘으로 맞서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골 놈 제 말 하면 온다 : 깊은 시골에 있는 사람조차도 저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찾아온다는 뜻으로, 어느 곳에서나 그 자리에 없다고 남을 흉보아서는 안 된다는 말.
- 호랑이도 제 말 하면 온다 : 깊은 시골에 있는 사람조차도 저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찾아온다는 뜻으로, 어느 곳에서나 그 자리에 없다고 남을 흉보아서는 안 된다는 말.
- 더부살이가 주인 마누라 속곳 베 걱정한다 : 남의 집에 더부살이하면서 제 옷도 변변히 못 입는 형편에 주인집 마누라의 속곳 마련할 걱정을 한다는 뜻으로, 주제넘게 남의 일에 대하여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칠월 더부살이가 주인 마누라 속곳 걱정한다 : 남의 집에 더부살이하면서 제 옷도 변변히 못 입는 형편에 주인집 마누라의 속곳 마련할 걱정을 한다는 뜻으로, 주제넘게 남의 일에 대하여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더부살이 환자 걱정 : 주제넘게 남의 일에 대하여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더부살이가 주인 마누라 속곳 베 걱정한다 : 주제넘게 남의 일에 대하여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칠월 더부살이가 주인 마누라 속곳 걱정한다 : 주제넘게 남의 일에 대하여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어미가 오래 살다가 며느리 환갑날 국수 양푼에 빠져 죽는다 : 사람이 모질어서 남에게 못할 짓 하는 것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내 할 말을 사돈이 한다
: 자기가 하려고 하는 말이나 마땅히 할 말을 도리어 남이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 부를 노래를 사돈집에서 부른다
: 자기가 하려고 하는 말이나 마땅히 할 말을 도리어 남이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 노래를 사돈이 부른다
: 자기가 하려고 하는 말이나 마땅히 할 말을 도리어 남이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귀머거리 삼 년이요 벙어리 삼 년(이라)
: 여자는 시집가서 남의 말을 듣고도 못 들은 체하고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색시가 시집살이하려면 벙어리 삼 년 귀머거리 삼 년 해야 한다
: 여자는 시집가서 남의 말을 듣고도 못 들은 체하고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쿰하여 지레 꿰어지다
: 맛이 들지 못하고 시기만 한 것이 물크러져서 지레 터진다는 뜻으로, 못난 주제에 남보다 성숙하여 잘난 체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마지막 담배 한 대는 기생첩도 안 준다
: 마지막 남은 한 대의 담배는 남을 주기가 매우 아까움을 이르는 말.
-
마파람에 곡식이 혀를 빼물고 자란다
: 남풍이 불기 시작하면 모든 곡식은 놀랄 만큼 무럭무럭 빨리 자란다는 말.
-
말 꼬리에 파리가 천 리 간다
: 남의 세력에 의지하여 기운을 편다는 말.
-
천리마 꼬리에 쉬파리 따라가듯
: 남의 세력에 의지하여 기운을 편다는 말.
-
말로 온 동네 다 겪는다
: 말로만 남을 대접하는 체한다는 말.
-
신주 개 물어 간다
: 가장 중요한 것을 남에게 뺏기고 사정이 딱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사 덕분에 큰기침한다
: 남의 권세에 의지하여 큰소리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끼로 제 발등 찍는다
: 남을 해칠 요량으로 한 것이 결국은 자기에게 해롭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억지가 사촌보다 낫다
: 남에게 의지하기보다는 억지로라도 자기 힘으로 하는 것이 낫다는 말.
-
회오리밤 벗듯
: 남이 시비할 여지가 없이 사람됨이 원만하다는 말.
-
도둑개 살 안 찐다
: 늘 남의 것을 탐하는 자는 재물을 모으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고양이가 살찌랴
: 늘 남의 것을 탐하는 자는 재물을 모으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놈 개 꾸짖듯
: 남이 알까 두려워서 입 속으로 중얼거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놈 딱장 받듯
: 남을 너무 욱대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얻어 온 쐐기
: 남의 집에 와 거드는 일도 없이 먹기만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언제는 외조할미 콩죽으로 살았나
: 남의 은덕으로 살아온 것이 아니니 이제 새삼스럽게 남의 호의를 바라지 아니한다고 단호히 거절하는 말.
-
언청이도 저 잘난 맛에 산다
: 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남보다 잘났다고 생각하며 산다는 말.
-
저 잘난 멋에 산다
: 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남보다 잘났다고 생각하며 산다는 말.
-
언청이 아가리에 토란 비어지듯
: 남이 이야기하는 데에 불쑥불쑥 끼어듦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말 죽은 데 체 장수 모이듯
: 쳇불로 쓸 말총을 구하기 위하여 말이 죽은 집에 체 장수가 모인다는 뜻으로, 남의 불행은 아랑곳없이 제 이익만 채우려고 많은 사람이 모여드는 것을 이르는 말.
-
얻은 것이 잠방이라
: 남에게 얻은 것이 그리 신통할 것이 없다는 말.
-
얻은 장 한 번 더 떠먹는다
: 남의 집 음식이 더 맛있어 보인다는 말.
-
얻은 죽에 머리가 아프다
: 변변치 못한 것이나마 남의 것을 얻어 가지게 되면 마음에 짐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좋은 짓은 저희들끼리 하고 죽은 아이 장사는 나더러 하란다
: 나쁜 짓을 해서 이익은 자기가 차지하고 그것에 대한 벌은 남보고 받으라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질을 하더라도 사모 바람에 거드럭거린다
: 나쁜 짓을 하고도 사모라는 배짱으로 도리어 남을 야단치고 뽐내며 횡포를 부린다는 말.
-
망나니짓을 하여도 금관자 서슬에 큰기침한다
: 나쁜 짓을 하고도 사모라는 배짱으로 도리어 남을 야단치고 뽐내며 횡포를 부린다는 말.
-
금관자 서슬에 큰기침한다
: 나쁜 짓을 하고도 사모라는 배짱으로 도리어 남을 야단치고 뽐내며 횡포를 부린다는 말.
-
사모 바람에 거드럭거린다
: 나쁜 짓을 하고도 사모라는 배짱으로 도리어 남을 야단치고 뽐내며 횡포를 부린다는 말.
-
때린 놈은 다릴 못 뻗고 자도 맞은 놈은 다릴 뻗고 잔다
: 남에게 해를 입힌 사람은 마음이 불안하나 해를 입은 사람은 오히려 마음이 편하다는 말.
-
때린 놈은 가로 가고 맞은 놈은 가운데로 간다
: 남에게 해를 입힌 사람은 마음이 불안하나 해를 입은 사람은 오히려 마음이 편하다는 말.
-
망신하려면 아버지 이름자도 안 나온다
: 평소에 잘 알고도 남음이 있는 일까지 잊어버리고 생각나지 아니하여 실수를 하게 됨을 이르는 말.
-
세 살 먹은 아이 말도 귀담아들으랬다
: 어린아이가 하는 말이라도 일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소홀히 여기지 말고 귀담아들어야 한다는 뜻으로, 남이 하는 말을 신중하게 잘 들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늙은이도 세 살 먹은 아이 말을 귀담아들으랬다
: 어린아이가 하는 말이라도 일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소홀히 여기지 말고 귀담아들어야 한다는 뜻으로, 남이 하는 말을 신중하게 잘 들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아이 말도 귀여겨들으랬다
: 어린아이가 하는 말이라도 일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소홀히 여기지 말고 귀담아들어야 한다는 뜻으로, 남이 하는 말을 신중하게 잘 들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린아이 말도 귀담아들어라
: 어린아이가 하는 말이라도 일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소홀히 여기지 말고 귀담아들어야 한다는 뜻으로, 남이 하는 말을 신중하게 잘 들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업은 자식에게 배운다
: 어린아이가 하는 말이라도 일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소홀히 여기지 말고 귀담아들어야 한다는 뜻으로, 남이 하는 말을 신중하게 잘 들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없는 놈이 우는소리 하면 있는 놈도 우는소리 한다
: 남보다 많이 가진 사람들이 더 깍쟁이 노릇을 한다는 말.
-
없는 사람 울면 있는 사람도 운다
: 남보다 많이 가진 사람들이 더 깍쟁이 노릇을 한다는 말.
-
손톱 발톱이 젖혀지도록 벌어 먹인다
: 남을 위하여 몹시 수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솔개 까치집 뺏듯
: 솔개가 만만한 까치를 둥지에서 몰아내고 그 둥지를 차지하듯 한다는 뜻으로, 힘을 써서 남의 것을 강제로 빼앗는 경우를 이르는 말.
-
솔개를 매로 보았다
: 기껏해야 남의 집 병아리나 채 가는 새를 꿩 사냥에 쓰는 매로 보았다는 뜻으로, 쓸모가 없는 것을 쓸 만한 것으로 잘못 보았을 경우를 이르는 말.
-
엑 하면 떽 한다
: 자기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말.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 자기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말.
-
가는 떡이 커야 오는 떡이 크다
: 자기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말.
-
가는 정이 있어야 오는 정이 있다
: 자기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말.
-
여든에 첫 아이 비치듯
: 남이 하지 않는 큰일을 하는 듯이 거드름을 피우거나 뽐냄을 비꼬는 말.
-
여산 중놈 쓸 것
: 전혀 관계없는 남이 쓸 것이라는 말.
-
먹는 데는 관발이요 일에는 송곳이라
: 제 이익이 되는 일 특히 먹는 일에는 남보다 먼저 덤비나, 일할 때는 꽁무니만 뺀다는 말.
-
소금 섬을 물로 끌라고 해도 끈다
: 소금 섬을 물로 끌면 소금이 녹아 없어져서 애쓴 보람도 없이 일을 망치고 마는 데도 아무 생각 없이 남이 시키니까 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시키는 대로 맹목적으로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윈 당나귀 귀 베고 무엇 베면 남을 것이 없다
: 원래 넉넉하지 못한 데서 가장 두드러진 것을 한두 개 떼고 나면 남을 것이 없다는 말.
-
여윈 말이 짐 탐한다
: 몸이 약한 사람이 감당하지도 못하면서 남보다 오히려 많이 가지려고 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열두 폭 말기를 달아 입었나
: 남의 일에 쓸데없이 간섭하고 참견함을 비꼬는 말.
-
치마가 열두 폭인가
: 남의 일에 쓸데없이 간섭하고 참견함을 비꼬는 말.
-
열두 폭 치마를 둘렀나
: 남의 일에 쓸데없이 간섭하고 참견함을 비꼬는 말.
-
솜뭉치로 사람 때린다
: 대수롭지 않은 듯 슬쩍 남을 골려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솜방망이로 허구리를 찌른다
: 대수롭지 않은 듯 슬쩍 남을 골려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먹은 죄는 없다
: 설령 남의 것을 훔쳐 먹었다 할지라도 그것을 죄 삼아 벌을 주지 않는다는 말.
-
송도 부담짝
: 송도 장사꾼의 부담짝이라는 뜻으로, 남이 모를 값진 물건이 가득 들어 있는 짐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먼 데 단 냉이보다 가까운 데 쓴 냉이
: 먼 데 있는 친척보다 가까이 있어 사정을 잘 알아주는 남이 더 낫다는 말.
-
솥은 부엌에 걸고 절구는 헛간에 놓아라 한다
: 솥과 절구 놓을 자리는 일정해서 누구나 다 알고 있는데 그것을 두고 이래라저래라 한다는 뜻으로,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일을 특별히 자기만 아는 것인 양 똑똑한 체하며 남에게 가르치려 듦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쇠스랑 발은 세 개라도 입은 한 치다
: 쇠스랑 한 입에 세 발이 찍혀 들어가듯이 남의 흠을 꼬집어 말하기를 즐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열 사람 형리(刑吏) 사귀지 말고 한 가지 죄를 범하지 마라
: 남의 힘을 믿고 함부로 처신하지 말고 제 몸을 바로 처신하라는 말.
-
열 소경이 풀어도 아니 듣는다
: 자기 고집만 내세우고 남의 말을 도무지 듣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흉년에 배운 장기
: 장기를 둘 때 자꾸 남의 말을 먹으려고만 드는 경우를 이르는 말.
-
염병에 땀을 못 낼 놈
: 염병을 앓으면서도 땀도 못 내고 죽을 놈이라는 뜻으로, 남을 욕하여 이르는 말.

▹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초성이 같은 단어들
•
ㄴ
(총 118개)
:
나, 낙, 낛, 난, 낟, 날, 낡, 남, 납, 낫, 낭, 낮, 낯, 낱, 낳, 내, 낵, 낸, 낼, 냄, 냅, 냇, 냉, 냏, 냐, 냔, 냘, 냥, 냬, 냰, 너, 넉, 넋, 넌, 널, 넘, 넙, 넛, 넝, 넠, 넢, 네, 넥, 넨, 넬, 넴, 넵, 넷, 넹, 넼, 넽, 넾, 넿, 녀, 녁, 년, 녈, 념, 녑, 녕, 녘, 녜, 녬, 녯, 노, 녹, 논, 놀, 놁, 놈, 놉, 놋, 농, 놓, 뇌, 뇍, 뇜, 뇨, 뇰, 누, 눈, 눌, 눔, 눕, 눗, 눚, 눛, 눞, 눠, 눰, 눼, 뉘, 뉨, 뉫, 뉯, 뉴, 늄, 늇, 느, 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