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 욕심을 채우고 나서 쓸데없는 불평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불평
#욕심
#저
#냄새
›
:
사돈집 사이에는 말이 나돌기 쉽고 뒷간은 고약한 냄새가 나므로 둘 다 멀리 있을수록 좋음을 이르는 말.
#사이
#뒷간
#둘
#집
#고약
#사돈
#냄새
#사돈집
#말
›
:
이익이 있을 때는 정신없이 찾아 헤매다가 제 욕심을 채우고 나면 흉을 보고 돌아가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때
#흉
#이익
#냄새
#저
#욕심
#정신
#말
#마리
›
:
비린내 맡은 강아지가 맞아 죽으면서까지도 냄새를 찾아 뜨물통 앞까지 기어가서 죽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나 지위 따위에 눈이 어두워지면 죽는 것도 아랑곳하지 않고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뜨물통
#물건
#앞
#냄새
#지위
#아랑곳
#눈
#통
#뜨물
#비린내
#허리
#따위
#행동
›
:
산천어가 매우 맛이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며느리
#맛
#냄새
›
:
풀을 먹지도 않는 미친개가 이 풀을 먹을까 저 풀을 먹을까 냄새를 맡는다는 뜻으로, 먹기도 싫은 것을 이것저것 집어 먹어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미친개
#이것저것
#냄새
#풀
#봄
›
:
잔뜩 먹은 고양이가 흡족해서 제 새끼를 핥아 주며 냄새를 맡듯 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서나 마음이 흐뭇해서 이것저것 살펴보고 만져 보고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흡족
#새끼
#이것저것
#냄새
#저
#모양
#마음
#고양이
›
:
기생의 자릿저고리는 기름때가 묻고 분 냄새가 나는 더러워진 것이라는 뜻으로, 외모가 단정하지 못하고 말씨가 간사스러운 사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비난
#기생
#간사
#사람
#기름때
#냄새
#외모
#단정
#분
#말씨
#저고리
›
:
어떤 일을 아무리 노력하여 숨기려 하여도 결국에는 드러나고야 만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결국
#냄새
#사향
#노력
›
:
재주와 덕망을 겸비한 사람은 알리지 아니하려고 하여도 저절로 알려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
#냄새
#덕망
#재주
#겸비
#사향
#짐
›
:
백정이 잘 입고 점잔을 부려 양반 행세를 하려 하나 고기 냄새가 나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겉모양을 잘 꾸미어도 본색은 감추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어려움
#양반
#점잔
#가마
#행세
#냄새
#겉모양
#본색
#백정
#겉
#개가
#동네
#모양
#개
›
:
제 본성은 그대로 지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리
#냄새
#술
#저
#본성
›
:
근원이 좋으면 결과도 좋고 근원이 나쁘면 결과도 나쁘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리
#냄새
#술
#결과
#근원
›
:
›
:
초병을 흔들어 빼다 보니 온통 식초 냄새가 풍긴다는 뜻으로, 하는 짓이 몹시 덜렁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식초
#짓
#냄새
›
:
사돈집 사이에는 말이 나돌기 쉽고 뒷간은 고약한 냄새가 나므로 둘 다 멀리 있을수록 좋음을 이르는 말.
#사이
#뒷간
#둘
#집
#고약
#사돈
#냄새
#사돈집
#말
›
:
실컷 먹고 나서 잘 먹었다는 말은커녕 도리어 말 냄새가 난다고 흉만 본다는 뜻으로, 남의 신세나 덕을 많이 지고도 비방하거나 모략하는 경우에 이르는 말.
#경우
#덕
#신세
#흉
#냄새
#비방
#남
#지고
#말
#모략
#마리
›
:
요란히 분 냄새가 풍기는 비단 저고리이기는 하나 낡고 꼬깃꼬깃해져 볼품이 없는 기생의 자릿저고리처럼, 이름은 요란하나 실상은 헌 넝마와 같이 전혀 쓸모없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생
#볼품
#실상
#쓸모
#냄새
#비단
#요란
#이름
#넝마
#분
#저고리
›
:
백정이 잘 입고 점잔을 부려 양반 행세를 하려 하나 고기 냄새가 나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겉모양을 잘 꾸미어도 본색은 감추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어려움
#백장
#양반
#점잔
#냄새
#겉모양
#본색
#행세
#백정
#겉
#개가
#모양
#개
›
:
전어 굽는 냄새가 하도 고소해서 시집을 버리고 나가던 며느리가 마음을 돌려 돌아온다는 뜻으로, 전어가 대단히 맛이 좋음을 이르는 말.
#며느리
#시집
#맛
#냄새
#고소
#마음
출처: 우리말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