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진 돈이 한 푼도 없다는 말.
#돈
#천
#반
#푼
#대
•
:
소의 코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소
#쇠
#경
#효과
#마디
#대
#코
•
:
소의 코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소
#귀
#경
#효과
#마디
#염불
#말
#대
#코
•
:
•
:
•
:
원래 미끈한 수숫대에 기름을 바른 것과 같은 반질반질한 말소리라는 뜻으로, 내용은 없고 번지르르하기만 한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수수
#내용
#기름
#수숫대
#말소리
#말
#대
#원래
•
:
자기에게 편한 대로 아무렇게나 일을 처리하여 자신의 이익만을 꾀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며느리
#수양딸
#이익
#처리
#대
#자신
•
:
‘수염이 대 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다’의 북한 속담.
#양반
#수염
#땅
#대
•
:
배가 불러야 체면도 차릴 수 있다는 뜻으로, 먹는 것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양반
#수염
#중요
#배
#대
#체면
•
:
•
:
먹을 것만 생기면 몰려와서 윙윙거리는 쉬파리처럼, 자기만 잘 아는 듯이 떠들어 대는 사람을 비꼬는 말.
#쉬파리
#사람
#거리
#대
•
:
무엇을 하라고 하였을 때에 엉뚱한 핑계를 대고 하지 아니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발뒤축
#때
#핑계
#무엇
#발
#엉뚱
#대
#함
#시조
•
:
이런저런 구실과 조건을 대면서 이러쿵저러쿵 불만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불만
#대
#구실
#조건
•
:
마지막 남은 한 대의 담배는 남을 주기가 매우 아까움을 이르는 말.
#기생
#담배
#마지막
#남
#첩
#대
•
:
어떠한 말이나 행동을 하더라도 하는 대로 내버려 둠을 이르는 말.
#응석
#대
#말
#행동
•
:
‘마지막 담배 한 대는 기생첩도 안 준다’의 북한 속담.
#기생
#담배
#마지막
#막대
#첩
#대
•
:
말의 귀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귀
#경
#효과
#마디
#염불
#말
#대
•
:
말의 귀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귀
#쇠귀
#경
#효과
#마디
#말
#대
•
:
말의 귀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쇠
#귀
#경
#효과
#마디
#말
#대
#코
•
:
서로 맞지 않는 것을 가져다 대고 붙이려고 하는 헛된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칼날
#도끼
#등
#짓
#대
•
:
남을 너무 욱대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김
#남
#도둑놈
#장
#대
•
:
이치에 닿지 아니하는 말을 함부로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언청이
#퉁소
#이치
#말
#대
#함
•
:
무슨 잘못을 저질러 놓고 그것을 감추려고 정신없이 애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잘못
#정신
#그것
#도둑놈
#대
•
:
무슨 잘못을 저질러 놓고 그것을 감추려고 정신없이 애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언덕
#잘못
#정신
#그것
#대
#둔덕
•
:
사물을 자세히 못 보고 설쳐 대며 대강대강 훑어봄을 이르는 말.
#타고
#구경
#사물
#꽃
#말
#대
#봄
•
:
손조차 사용하지 아니하고 코를 푼다는 뜻으로, 일을 힘 안 들이고 아주 쉽게 해치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손
#힘
#안
#대
#움
#코
#사용
•
:
서 발이나 되는 긴 막대를 휘둘러도 아무것도 거치거나 걸릴 것이 없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안이라 세간이 아무것도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집안
#세간
#아무것
#장대
#발
#장
#대
#가난
•
:
소금 섬을 물로 끌면 소금이 녹아 없어져서 애쓴 보람도 없이 일을 망치고 마는 데도 아무 생각 없이 남이 시키니까 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시키는 대로 맹목적으로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생각
#소금
#물
#남
#섬
#대
#보람
•
:
버썩 소리를 낼 리 없는 솔잎이 버썩하니 버썩 소리를 잘 내는 가랑잎이 어이가 없어 아무 소리도 내지 못한다는 뜻으로, 자기보다 정도가 덜한 사람이 먼저 야단스럽게 떠들어 대니 정작 큰 걱정거리가 있는 사람은 너무나 어이가 없어 할 말이 없게 됨을 이르는 말.
#소리
#솔잎
#가랑잎
#사람
#어이
#야단
#걱정거리
#정도
#말
#대
#리
•
:
하고 싶은 대로 하고야 마는 소나 닭처럼 고집이 몹시 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쇠
#고집
#대
#셈
#닭
•
:
소의 귀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소
#귀
#경
#효과
#마디
#염불
#말
#대
•
:
소의 귀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소
#쇠
#귀
#경
#효과
#마디
#대
#코
•
:
•
:
까마귀 같은 흔한 동물이 귀한 학이 될 리가 없다는 뜻으로,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밖
#귀
#학
#까마귀
#동물
#리가
#저
#대
#리
•
:
까마귀 같은 흔한 동물이 귀한 학이 될 리가 없다는 뜻으로,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귀
#밖
#기린
#학
#까마귀
#동물
#우마
#리가
#저
#대
#리
•
:
까마귀 같은 흔한 동물이 귀한 학이 될 리가 없다는 뜻으로,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대
#귀
#밖
#학
#까마귀
#동물
#리가
#나무
#저
#접시
#리
•
:
까마귀 같은 흔한 동물이 귀한 학이 될 리가 없다는 뜻으로,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봉
#새끼
#귀
#밖
#학
#까마귀
#동물
#리가
#저
#대
#닭
#리
•
:
까마귀와 까치가 울어 대듯 시끄럽게 할 소리, 못할 소리를 다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리
#못
#까마귀
#까치
#모양
#대
#까막까치
•
:
죽어서 극락 가겠다고 명산대천에 대고 불공을 드릴 생각은 하지 말고, 타관 객지에 나서서 외로운 사람을 괄시하지 말고 잘 대접하며 좋은 일을 해야 극락에 갈 수 있다는 말.
#일
#관
#명산
#생각
#타관
#사람
#불공
#대접
#객지
#괄시
#극락
#대
•
:
꼭 적당한 것이 없을 때 그와 비슷한 것으로 대신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적당
#비슷
#대신
#때
#대
#닭
#꿩
•
:
밖에 나갔던 사람이 집 안에 들어와 공연히 떠든다는 뜻으로, 아무런 공로도 없는 자가 공연히 참견하여 떠들어 대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밖
#집
#사람
#공로
#안
#참견
#파리
#대
•
:
본척만척하며 무표정하게 대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귀
#나귀
#샌님
#척
#모양
#대
•
:
죽어서 극락 가겠다고 명산대천에 대고 불공을 드릴 생각은 하지 말고, 타관 객지에 나서서 외로운 사람을 괄시하지 말고 잘 대접하며 좋은 일을 해야 극락에 갈 수 있다는 말.
#일
#관
#명산
#생각
#타관
#사람
#불공
#대접
#객지
#괄시
#극락
#대
•
: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쇠
#밖
#양푼
#뚝배기
#나무
#저
#대
•
:
•
: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밖
#학
#까마귀
#저
#대
•
: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봉
#밖
#새끼
#저
#대
#닭
•
:
‘나무에도 못 대고 돌에도 못 댄다’의 북한 속담.
#나무
#대
•
:
아무 데도 의지할 곳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의지
#돌
#나무
#대
•
:
나무를 베면 그보다 몇 배 더 많은 나무를 심어 숲을 키워야 한다는 말.
#숲
#열
#나무
#배
#대
•
:
나중에 일이 잘 안되어 최악의 경우에 이를지라도 우선은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어떤 일을 함을 이르는 말.
#경우
#일
#우선
#최악
#안
#나중
#대
#삼수갑산
•
:
나중에 일이 잘 안되어 최악의 경우에 이를지라도 우선은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어떤 일을 함을 이르는 말.
#경우
#일
#우선
#최악
#내일
#안
#나중
#대
#삼수갑산
•
:
대단한 일도 그 처음 시작은 아주 보잘것없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종자
#시작
#처음
#근본
#대
#낙락장송
•
:
하는 행동이나 성격 따위가 어릴 때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성격
#마찬가지
#때
#있음
#행동
#대
#따위
•
:
마구 단속하여 닥치는 대로 물건을 압수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난전
#압수
#대
#물건
#단속
•
:
하고 싶은 대로 하라고 상대편에게 자기 몸을 내맡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대
#날
#상대편
#몸
•
:
남이 나를 대하는 것만큼 나도 남을 그만큼밖에는 대접하지 아니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나
#밖
#욕
#대접
#남
#은혜
#대
•
:
남이 나를 대하는 것만큼 나도 남을 그만큼밖에는 대접하지 아니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나
#밖
#대접
#남
#대
#떡
•
: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견
#남
#장단
#대
#함
•
: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견
#피리
#남
#대
#함
•
: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견
#엉덩춤
#남
#장단
#대
#함
•
:
자기에게만 이롭도록 일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물
#논
#대
•
:
자기에게만 이롭도록 일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물
#논
#저
#대
•
:
노름하다 보면 따는 수도 있지만 먹는 일은 한없는 일이라서 당해 내지 못하므로 가난한 사람을 먹여 살리기는 어려운 노릇이라는 말.
#일
#사람
#노름
#대어
#노릇
#뒤
#대
#가난
•
:
사슴 가죽에 쓴 가로왈(曰) 자는 가죽을 잡아당기는 대로 일(日) 자도 되고 왈(曰) 자도 된다는 뜻으로, 사람이 일정한 주견이 없이 남의 말을 좇아 이랬다저랬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왈
#일
#주견
#사람
#사슴
#가죽
#일정
#남
#가로
#비
#말
#대
#함
•
:
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대나무
#근본
#결과
#대
•
:
‘나무에도 못 대고 돌에도 못 댄다’의 북한 속담.
#나무
#대
•
:
이를 데 없이 몹시 기뻐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노인
#독자
#구
#남
#대
#듯
#칠십
•
:
한참 장난이 심한 사내아이 옷이 쉬 못 입게 됨을 이르는 말.
#옷
#장난
#밥
#돼지
#대
#사내아이
•
:
일을 욕심스럽게 마구 해 대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파
#욕심
#땅굴
#대
#모습
•
:
소나 말 같은 흔하고 천한 동물이 귀하고 상서로운 기린이 될 리가 없다는 뜻으로,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밖
#기린
#학
#까마귀
#동물
#리가
#저
#말
#대
#천한
#리
•
:
소나 말 같은 흔하고 천한 동물이 귀하고 상서로운 기린이 될 리가 없다는 뜻으로,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쇠
#양푼
#밖
#기린
#동물
#뚝배기
#리가
#나무
#저
#말
#대
#천한
#리
•
:
소나 말 같은 흔하고 천한 동물이 귀하고 상서로운 기린이 될 리가 없다는 뜻으로,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대
#밖
#기린
#동물
#리가
#나무
#저
#말
#접시
#천한
#리
•
:
우물귀신은 다른 사람을 끌어넣어 대신 귀신을 만든 다음에야 비로소 탈출할 수 있다는 미신에서 생긴 말로, 어떤 어려움이나 걱정 속에서 자기가 벗어나기 위하여 남을 대신 밀어 넣어 곤란한 지경에 빠뜨리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려움
#걱정
#속
#지경
#곤란
#사람
#우물
#귀신
#남
#말로
#미신
#탈출
#말
#대
#대신
#다음
•
:
필요하면 아무 때나 마구 불러 대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때
#필요
#똥
#대
#개
•
:
몹시 연약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연약
#대
#음달
#풀
•
:
•
:
변변치 아니하여 우습게 알고 대한 일에 뜻밖에 큰 손해를 입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일
#뜻
#손해
#음식
#개떡
#대
•
:
아무리 장사라도 달아매어 놓고 치는 데는 안 맞을 재간이 없다는 뜻으로, 아무리 강한 사람도 여럿이 함께 몰아 대면 당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재간
#사람
#장사
#안
#여럿
#대
•
:
웃는 낯으로 대하는 사람에게 침을 뱉을 수 없다는 뜻으로, 좋게 대하는 사람에게 나쁘게 대할 수 없다는 말.
#사람
#낯
#대
#침
•
:
웃는 낯으로 대하는 사람에게 침을 뱉을 수 없다는 뜻으로, 좋게 대하는 사람에게 나쁘게 대할 수 없다는 말.
#사람
#낯
#대
#침
•
:
자식과 그릇은 있으면 있는 대로 쓰고 없으면 없는 대로 쓰기 마련이라는 뜻으로, 둘러맞춰 가며 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식
#그릇
#대로
#마련
#대
•
:
제사 집에 와서 염불을 외우는 중만큼이나 말솜씨가 좋다는 뜻으로, 말재간이 좋아서 술술 엮어 대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
#집
#사람
#말재간
#말솜씨
#구변
#염불
#날
#제사
#대
•
:
자기 살림은 자기가 꾸려야지 남이 대신 해 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살림
#남
#자기
#저
#대
#대신
•
:
남의 물건에 손을 대도 누구의 물건인지 민감하게 따질 수 없어 별로 말썽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말썽
#손
#남
#대
#물건
•
:
생각 없이 남 하는 대로 덩달아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입
#원숭이
#생각
#흉
#남
#흉내
#대
#함
•
:
매우 위태롭고 급한 고비를 당하면 닥치는 대로 쥐고 늘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비
#급
#위태
#상투
#대
#원님
•
:
죽은 게는 남이 움직이는 대로 발을 놀린다는 데서 아무런 주견이나 목적이 없이 남이 시키는 대로 움직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주견
#남
#대로
#발
#대
#목적
•
:
•
:
중매는 함부로 할 일이 못 되며 신중히 잘해야 함을 이르는 말.
#중매
#잔
#일
#뺨
#술
#대
#함
•
:
궁한 터이니 아무것이나 닥치는 대로 가진다는 말.
#개
#대
#터
#아무것
•
:
이러저러한 핑계를 대고 꾀만 살살 피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에미
#꾀
#아이
#대
#핑계
•
:
어떤 일을 하려 함에 있어 너무 미리부터 서둘러 대는 모양을 조롱하여 이르는 말.
#일
#미리
#천
#다리
#월천꾼
#조롱
#모양
#대
#함
•
:
새 오리가 장가가면 헌 오리가 나도 하겠다고 나선다는 뜻으로, 남이 하는 대로 무턱대고 자기도 하겠다고 따라나서는 주책없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책
#새
#학
#남
#황새
#대
#행동
#오리
•
:
새 오리가 장가가면 헌 오리가 나도 하겠다고 나선다는 뜻으로, 남이 하는 대로 무턱대고 자기도 하겠다고 따라나서는 주책없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책
#나
#새
#남
#대
#행동
#오리
•
:
몹시 졸라 대며 귀찮게 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젖
#대
#어린애
•
:
‘대로 한길 노래로 열라’의 북한 속담.
#대
#한길
#노래
•
:
큰길을 노래를 부르며 가라는 뜻으로, 낙관적인 마음으로 앞길을 개척해 나가라는 말.
#개척
#큰길
#앞길
#대
#마음
#한길
•
:
혼인은 중매하기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말.
#중매
#혼인
#대
#물길
•
:
일을 성의 없이 되는대로 함부로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성
#홍
#흙
#생원
#모양
#성의
#대
출처: 우리말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