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할 때에는 그 동작이 매우 재빠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때
#도둑
#동작
#개가
#개
•
:
늘 남의 것을 탐하는 자는 재물을 모으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재물
#도둑
#남
#안
#개
•
:
도둑이 관가에 잡혀가 볼기를 맞아서 멍이 든 것과 같다는 뜻으로, 얼굴 빛깔이 시푸르죽죽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얼굴
#볼기
#멍
#빛깔
#도둑
#도둑놈
#볼기짝
#관가
•
:
도둑의 등을 쳐서 우려먹는다는 뜻으로, 아주 못된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등
#도둑
#턱
#짓
#뒤
#도둑놈
•
:
잘못한 놈이 도리어 기세를 올리고 나무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놈
#도둑
#잘못
#기세
#매
•
:
잘못한 놈이 도리어 기세를 올리고 나무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둑
#잘못
#놈
#기세
•
:
도둑을 맞고는 공연히 무고한 사람까지 의심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의심
#사람
#도둑
#무
#죄
•
:
도둑을 맞고는 공연히 무고한 사람까지 의심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의심
#사람
#도둑
#무
•
:
못된 짓을 하는 자들에게도 저희끼리 지켜야 하는 의리나 질서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질서
#꼭지
#있음
#도둑
#짓
#자
#의리
•
:
운수가 나쁘면 모든 것이 제대로 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둑
#안
#운수
#개
#면
•
:
운수가 나쁘면 모든 것이 제대로 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둑
#안
#운수
#개
•
:
윗자리에 앉아 시키는 놈이나 그대로 따라 하는 놈이나 다 마찬가지로 나쁜 놈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놈
#임
#마찬가지
#윗자리
#도둑
#두목
#졸개
•
:
자식의 잘못은 어쩔 수 없이 부모가 책임져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식
#때
#도둑
#잘못
#부모
#함
•
:
•
:
대접받을 가치가 없는 사람에게 과분한 대접을 함과 같이 일을 잘못 처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잔
#일
#묘
#사람
#가치
#부
#대접
#도둑
#처리
•
:
특별히 타고난 도둑은 없다는 뜻으로, 사람이란 주위의 환경과 조건에 따라 누구나 도둑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환경
#주위
#사람
#씨
#있음
#도둑
#조건
•
:
못된 짓을 하는 사람에게도 경위와 종작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위
#집
#사람
#있음
#도둑
#짓
•
:
몹쓸 놈이 그보다 더 몹쓸 놈에게 변을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집
#변
#놈
#도둑
•
:
도둑이 지나간 자리는 남는 것이 있어도 화재가 났던 자리는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다는 말.
#찌끼
#찌
#자리
#화재
#아무것
#도둑
#불
•
:
도둑질이 가장 나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법
#도둑질
#도둑
•
:
지은 죄가 있으면 자연히 마음이 조마조마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둑
#발
#저
#짐
#마음
#죄
•
:
지은 죄를 숨기려고 한 짓이 도리어 죄를 드러내고 맒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관용구> ‘도둑이 도둑이야 한다’ ‘불낸 놈이 불이야 한다’
#죄
#놈
#관용구
#도둑
#포도청
#불
#짓
#‘도둑
•
:
무슨 일이나 여럿이 하면 말이 많아지고 손이 맞지 않아 실수하기 쉬우니, 혼자 하는 것이 가장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실수
#손
#혼자
#도둑
#여럿
#도둑질
#말
•
:
아무리 큰 잘못을 저지른 사람도 그것을 변명하고 이유를 붙일 수 있다는 말.
#변명
#사람
#도둑
#잘못
#이유
#도둑질
#그것
•
:
나쁜 짓을 하고도 사모라는 배짱으로 도리어 남을 야단치고 뽐내며 횡포를 부린다는 말.
#도둑질
#배짱
#부
#도둑
#남
#짓
#바람
#횡포
#사모
•
:
무슨 일이든지 두 편에서 서로 뜻이 맞아야 이루어질 수 있다는 말.
#일
#편
#손발
#뜻
#도둑
#눈
#도둑질
•
:
도둑은 결코 그냥 물러서는 법이 없고 반드시 해로운 일을 하고야 만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적
#일
#주인
#때
#돈
#뺨
#도둑
#법
•
:
•
:
아무리 착한 사람이라도 몹시 궁하게 되면 못하는 짓이 없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놈
#사람
#도둑
#짓
#사흘
#도둑질
•
:
도둑질은 유전에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마음을 잘못 먹으면 누구나 도둑이 될 수 있다는 말.
#도둑질
#씨
#도둑
#오이
#유전
#마음
•
:
해괴망측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깨비
#사람
#도둑
#낮
•
:
많은 재물을 가진 사람은 도둑을 걱정하여 웃을 수 없으나 아이를 가진 자는 그 재롱에 늘 웃을 수 있다는 뜻으로, 재물보다 자식이 더 소중하다는 말.
#걱정
#자식
#소중
#재롱
#사람
#재물
#돈
#도둑
#아이
#자
•
:
아무리 가난한 집이라도 도둑맞을 물건은 있다는 말.
#집
#도둑
#동생
#물건
#가난
•
:
아무리 가난한 집이라도 도둑맞을 물건은 있다는 말.
#집
#구제
#도둑
#물건
#가난
•
:
인색하여 응당 돌보아야 할 근친자조차 동정하지 아니한 사람도 도둑이 빼앗아 가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말.
#사람
#동정
#도둑
#인색
#근친자
#동생
•
:
딸은 시집보내는 비용도 많이 들고 시집간 딸들이 무엇이고 가져가는 버릇이 있기 때문에 도둑도 안 들 정도로 살림이 준다는 뜻으로, 딸이 많으면 재산이 다 줄어든다는 말.
#살림
#재산
#시집
#뿌리
#때문
#셋
#비용
#딸
#도둑
#기둥뿌리
#무엇
#정도
#기둥
#버릇
•
:
딸은 시집보내는 비용도 많이 들고 시집간 딸들이 무엇이고 가져가는 버릇이 있기 때문에 도둑도 안 들 정도로 살림이 준다는 뜻으로, 딸이 많으면 재산이 다 줄어든다는 말.
#살림
#재산
#시집
#때문
#딸
#문
#비용
#셋
#도둑
#무엇
#정도
#버릇
•
:
딸은 출가한 후에도 친정에 와서 이것저것 다 가져가 마치 도둑과 같다는 말.
#친정
#출가
#산적
#딸
#이것저것
#도둑
#후
•
:
어떤 일에 남보다 늦게 재미를 붙인 사람이 그 일에 더 열중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열중
#일
#줄
#새
#재미
#사람
#도둑
#남
#날
•
:
•
:
조막손이는 달걀 같은 것을 쥘 수가 없는데 어찌 달걀을 도둑질할 수 있느냐는 말.
#달걀
#도둑
#도둑질
•
:
나쁜 짓을 절대 하지 못하도록 제도와 질서를 세우지 아니하고 감시하는 사람의 머릿수만 늘려서는 나쁜 짓 하는 사람을 잡기 어렵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제도
#머릿수
#질서
#감시
#사람
#열
#도둑
#짓
•
:
아무리 조심하여 감시하거나 예방하여도 불시에 생기는 불행은 막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려움
#조심
#감시
#사람
#불시
#열
#도둑
#불행
#예방
•
:
아무리 여럿이 지키고 있어도 빠져나갈 구멍은 있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임
#사람
#열
#도둑
#여럿
#마련
#구멍
•
:
도둑질한 물건을 다시 빼앗는다는 뜻으로, 나쁜 짓을 한 수 더 떠서 하는 경우에 이르는 말.
#경우
#화
#도둑
#짓
#봇짐
#도둑질
#물건
•
:
•
:
일단 제 마음속에 자리 잡은 좋지 못한 생각을 스스로 고치기는 매우 어렵다는 말.
#자리
#놈
#맘
#속
#생각
#열
#도둑
#마음속
#저
#산속
•
:
하찮은 물건이라도 도둑이 집어 갈 것은 있기 마련이라는 말.
#살림
#도둑
#남
#마련
#건
#물건
•
:
밤에 도둑질을 한 도둑놈이 지은 죄가 드러날까 두려워 밝은 데를 피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적
#밤
#도둑
#빛
#도둑놈
#도둑질
#죄
•
:
흔히 밤에 다녀 이슬에 젖는 놈이라는 뜻으로, ‘도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둑
#이슬
#놈
#밤
•
:
흔히 밤에 다녀 이슬에 젖는 놈이라는 뜻으로, ‘도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둑
#이슬
#놈
#밤
•
:
억울하게 도둑으로 몰아넣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
#억울
#도둑
#밥
#떡
•
:
무엇이 버릇이 되어 안 하려야 안 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둑
#무엇
#도둑질
#버릇
•
:
남을 구제할 생각만 있다면 얼마간이라도 도와줄 것은 있다는 말.
#생각
#구제
#얼마간
#도둑
#남
•
:
도둑맞을 것이 없다고 방심하지 말라는 말.
#구제
#방심
#도둑
#말
•
:
얕은 수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하나 거기에 속는 사람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울
#도적
#속
#귀
#사람
#도둑
#남
#도둑질
#도적질
•
:
집안에서 지녀 온 내력은 아무리 해도 없앨 수 없다는 말.
#씨
#집안
#내력
#도둑
•
:
•
:
‘씨도둑은 못한다’의 북한 속담.
#도둑
#도적
#씨
•
:
사람은 저마다의 분수와 소임이 따로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새끼
#사람
#분수
#있음
#도둑
#개
#닭
•
:
•
:
도둑이 포졸에게 잡혀가면서도 포졸의 상투에 꽂힌 은동곳을 뽑는다는 뜻으로, 도둑질하는 습관을 쉽게 버리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포도군사
#습관
#군사
#도둑
#은동곳
#도둑질
#상투
•
:
•
:
어떤 일에 남보다 늦게 재미를 붙인 사람이 그 일에 더 열중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새벽
#열중
#일
#줄
#재미
#시작
#사람
#도둑
#남
•
:
배에서 기르는 개는 도둑을 지킬 필요가 없다는 뜻으로, 하는 일 없이 놀고먹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놈
#사람
#필요
#도둑
#놀고먹
#배
#개
•
:
친한 벗에게 줄 것 없어서 안타까워할 형편이지만 그래도 도적이 들어 훔쳐 갈 물건은 얼마든지 있다는 뜻으로, 없다 없다 하는 사람도 무엇인가 쓸 만한 것은 다 가지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도적
#사람
#있음
#얼마
#도둑
#무엇
#물건
•
:
제게 가까운 사람들에게는 매우 인색하나 억지로 빼앗아 가는 데는 못 이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김
#사람
#도둑
#인색
#제
#저
#벗
#사람들
•
:
•
:
자세한 내용을 모르는 사람은 도둑질을 못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실정을 알아야 그 일을 감당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실정
#놈
#내용
#일
#사람
#있음
#도둑
#도둑질
#감당
•
:
도둑질은 결국 내용을 잘 아는 사람이 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놈
#내용
#사람
#결국
#도둑
#도둑질
•
:
생선을 먹지도 아니한 부처더러 생선 토막을 도둑질하여 먹었다고 한다는 뜻으로, 자기의 무죄를 내세우는 말.
#방어
#무죄
#부처
#생선
#도둑
#도둑질
#토막
#부처님
•
:
•
:
어쩌다 한번 못된 짓을 해 본 것이 공교롭게 바로 들킨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번
#밤
#도둑
#짓
#어쩌다
#첫날밤
•
:
솜씨가 서툴러서 일의 첫 시작부터 낭패를 보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시작
#밤
#도둑
#낭패
#첫날밤
#솜씨
•
:
믿지 못할 사람을 신용하여 일을 맡기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사람
#도둑
#열쇠
#신용
•
:
도둑은 물건을 훔친 죄 하나밖에 없으나 잃은 사람은 간수를 잘못한 일, 공연히 남을 의심한 일 따위의 여러 가지 죄를 짓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놈
#의심
#사람
#물건
#열
#도둑
#간수
#남
#잘못
#도둑놈
#따위
#가지
#죄
•
:
도둑은 분명한 증거를 가지고 잡아야지 의심만으로는 잡을 수 없다는 뜻으로, 확실한 증거가 없이 추측만으로는 남을 의심하거나 이렇다 저렇다 말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분명
#의심
#확실
#앞
#잡지
#도둑
#남
#뒤
#말
•
:
지은 죄를 숨기려고 한 짓이 도리어 죄를 드러내고 맒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관용구> ‘도둑이 포도청 간다’ ‘불낸 놈이 불이야 한다’
#죄
#놈
#관용구
#도둑
#포도청
#불
#짓
#‘도둑
•
:
나쁜 짓을 해서 이익은 자기가 차지하고 그것에 대한 벌은 남보고 받으라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도둑질
#차지
#이익
#도둑
#남
#짓
#너
#그것
•
:
남에게 해를 입힌 사람은 마음이 불안하나 해를 입은 사람은 오히려 마음이 편하다는 말.
#불안
#사람
#도둑
#남
#도둑질
#마음
•
:
도둑질하는 놈은 기침도 마음대로 크게 못한다는 뜻으로, 음식이나 물건이 매우 적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놈
#도둑
#도적놈
#기침
#음식
#도둑질
#물건
#마음
•
:
•
:
남의 산의 나무를 베는 일이나 큰일 때에 숟가락이 없어지는 일은 항상 있는 일이라는 뜻으로, 작은 도둑은 늘 어디에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큰일
#때
#있음
#도둑
#남
#나무
#숟가락
#산
#어디
•
:
본래는 밤에 돌아다니는 도깨비가 염치없이 낮에 돌아다닌다는 뜻으로, 염치가 없고 하는 짓이 미련하고 우악스러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깨비
#미련
#본래
#사람
#밤
#도둑
#짓
#염치
#우악
#낮
•
:
아무리 가난한 집이라도 도둑맞을 물건은 있다는 말.
#집
#도둑
#쥐
#물건
#가난
•
:
딸은 시집보내는 비용도 많이 들고 시집간 딸들이 무엇이고 가져가는 버릇이 있기 때문에 도둑도 안 들 정도로 살림이 준다는 뜻으로, 딸이 많으면 재산이 다 줄어든다는 말.
#살림
#재산
#시집
#형제
#때문
#딸
#비용
#좀도둑
#도둑
#무엇
#정도
#버릇
•
:
남의 불행을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도리어 그 기회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익을 채우려 할 때 이르는 말.
#화재
#이용
#때
#이익
#도둑
#기회
#남
#불행
#도둑질
#자신
•
:
바늘을 훔치던 사람이 계속 반복하다 보면 결국은 소까지도 훔친다는 뜻으로, 작은 나쁜 짓도 자꾸 하게 되면 큰 죄를 저지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사람
#결국
#반복
#도둑
#바늘
#짓
#죄
•
:
바늘을 훔치던 사람이 계속 반복하다 보면 결국은 소까지도 훔친다는 뜻으로, 작은 나쁜 짓도 자꾸 하게 되면 큰 죄를 저지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사람
#결국
#반복
#도둑
#바늘
#짓
#죄
•
:
•
:
개가 기름을 도둑질하여 먹고 고소한 맛에 홀려 먹을 것이 더 없나 하고 기웃거린다는 뜻으로, 남의 눈치를 살피며 불안스럽게 눈동자를 이리저리 굴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불안
#도적
#덕
#도둑질
#기름
#도둑
#눈
#눈치
#남
#눈동자
#개가
#고소
#모양
#개
#맛
#리
•
:
논의 피는 뽑아 버려도 한없이 나오듯이 도둑도 아무리 잡아도 한없이 생겨난다는 말.
#피
#나라
#도둑
#논
•
:
남을 대놓고 의심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의심
#사람
#도둑
#남
#개
•
:
준비하는 데에 시간을 다 보내고 목적한 바를 이루지 못함을 이르는 말.
#바
#준비
#도둑
#목적
#몽치
#시간
•
:
출처: 우리말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