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속담 총 187 개
- 쇠천 샐 닢도 없다 : 가진 돈이 한 푼도 없다는 말.
- 피천 한 닢 없다 : 가진 돈이 한 푼도 없다는 말.
- 땡전 한 푼[닢] 없다 : 가진 돈이 한 푼도 없다는 말.
- 물에 빠져도 주머니밖에 뜰 것이 없다 : 가진 돈이 한 푼도 없다는 말.
- 피천 대[반] 푼(도) 없다 : 가진 돈이 한 푼도 없다는 말.
- 피천 샐 닢 없다 : 가진 돈이 한 푼도 없다는 말.
- 술 담배 참아 소 샀더니 호랑이가 물어 갔다 : 돈을 모으기만 할 것이 아니라 쓸데는 써야 한다는 말.
- 만 냥의 돈인들 무슨 소용이냐 : 아무리 가치 있는 것이라도 직접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소용이 없다는 말.
- 말뚝 베끼기 : 밑천 없이 소의 말뚝만 옮겨 매어 돈을 번다는 데서, 우시장에서 흥정을 붙이고 구전을 받는 중개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망건 쓰고 귀 안 빼는 사람 있느냐 : 망건을 쓰면 누구나 조금이라도 편하게 귀를 내놓는다는 뜻으로, 돈 버는 일이나 먹는 일을 싫어하는 사람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적이 돈을 빼앗지 못하면 주인 뺨이라도 때리고 뛴다 : 도둑은 결코 그냥 물러서는 법이 없고 반드시 해로운 일을 하고야 만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수가 밑천이다 : 꾼 돈은 반드시 제 날짜에 갚아야 신용을 얻게 되고 다음에 또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는 말.
- 쇠 먹는 줄 : 돈이 많이 생기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쇠 먹는 줄 : 줄칼이 쇠를 깎아 먹는다는 뜻으로, 돈을 함부로 쓰는 사람을 이르는 말.
- 쇠 먹는 줄 : 돈이 한없이 많이 들어가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염라대왕도 돈 쓰기에 달렸다 : 돈만 있으면 못하는 일이 없이 다 할 수 있다는 말.
- 염라대왕도 돈 앞에는 한쪽 눈을 감는다 : 돈만 있으면 못하는 일이 없이 다 할 수 있다는 말.
- 꿈에 나타난 돈도 찾아 먹는다 : 매우 깐깐하고 인색하여 제 몫은 어떻게 해서든지 찾아가고야 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꿈에 본[얻은] 돈이다 : 아무리 좋아도 제 손에 넣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라님 만든 관지 판 돈도 자른다 : 사람이 지나치게 이기적이고 욕심이 사나워 뻔뻔스럽고 염치없는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상납 돈도 잘라먹는다 : 사람이 지나치게 이기적이고 욕심이 사나워 뻔뻔스럽고 염치없는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라님 망건값도 쓴다 : 사람이 급할 때 어떤 돈이든 가리지 아니하고 써 버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급하면 임금 망건 사러 가는 돈이라도 쓴다 : 사람이 급할 때 어떤 돈이든 가리지 아니하고 써 버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더운밥이 내 식은 밥만 못하다 : ‘남의 돈 천 냥이 내 돈 한 푼만 못하다’의 북한 속담.
- 내 돈 서 푼이 남의 돈 사백 냥보다 낫다 : 아무리 적고 보잘것없는 것이라도 자기가 직접 가진 것이 더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딸이 되거들랑 시정 딸 되라 : 돈 많고 잘사는 집에 몸을 붙이거나 태어나야 복을 받을 수 있다는 말.
- 닷 돈 보고 보리밭에 갔다가 명주 속옷 찢었다 : 작은 이익을 얻으려다 도리어 큰 손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 돈 서 푼은 알고 남의 돈 칠 푼은 모른다 : 제 것은 소중히 여기면서 남의 것은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이기적인 사람을 비꼬는 말.
- 너구리 굴 보고 피물 돈 내어 쓴다 : 일이 되기도 전에 거기서 나올 이익부터 생각하여 돈을 앞당겨 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땅벌 집 보고 꿀 돈 내어 쓴다
: 일이 되기도 전에 거기서 나올 이익부터 생각하여 돈을 앞당겨 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닷 돈 추렴에 두 돈 오 푼을 내었나
: 여럿이 모인 자리에서 발언권을 얻지 못하거나 업신여김을 당하는 경우를 불만조로 이르는 말.
-
노름은 도깨비 살림
: 도박의 성패는 도저히 예측할 수 없어 돈이 불어 갈 때에는 알 수 없을 만큼 쉽게 또 크게 늘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 나는 모퉁이 죽는 모퉁이
: 세상에서 돈 벌기가 가장 어려운 일이라는 말.
-
돈 놓고는 못 웃어도 아이 놓고는 웃는다
: 많은 재물을 가진 사람은 도둑을 걱정하여 웃을 수 없으나 아이를 가진 자는 그 재롱에 늘 웃을 수 있다는 뜻으로, 재물보다 자식이 더 소중하다는 말.
-
돈 다음에 나온 놈
: 돈이 나오자 뒤따라 나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돈밖에 모르는 인색한 자를 욕으로 하는 말.
-
돈 떨어지자 입맛 난다
: 쌀이 이미 없어진 이후에 밥맛이 더 난다는 뜻으로, 무엇이 없어지는 것을 본 뒤면 그것이 더 애석하게 여겨지고 더 간절하게 생각난다는 말.
-
돈만 있으면 개도 멍첨지라
: 천한 사람도 돈만 있으면 다른 사람들이 귀하게 대접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만 있으면 개도 흉한 짓을 한다
: 천한 사람도 돈만 있으면 다른 사람들이 귀하게 대접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만 있으면 귀신[두억시니]도 부릴 수 있다
: 돈만 있으면 세상에 못 할 일이 없다는 말.
-
돈만 있으면 귀신도 사귄다
: 돈만 있으면 세상에 못 할 일이 없다는 말.
-
돈맛을 보면 대통 그림자를 따라간다
: 돈이라면 오금을 못 쓰고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이라면 대통 그림자도 따라간다
: 돈이라면 오금을 못 쓰고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 모아 줄 생각 말고 자식 글 가르쳐라
: 자식을 위하는 가장 좋은 유산은 교육을 잘 시키는 일임을 강조하는 말.
-
돈 없는 놈이 선가 먼저 물어본다
: 자격을 갖추지 못한 자가 도리어 먼저 나댈 때 이르는 말.
-
돈 한 푼 없는 놈이 자두치떡만 즐긴다
: 자격을 갖추지 못한 자가 도리어 먼저 나댈 때 이르는 말.
-
돈에 대한 사랑은 돈이 자랄수록 자란다
: 돈에 대한 애착은 돈을 가지게 될수록 점점 자라나 끝이 없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에 침 뱉는 놈 없다
: 사람은 누구나 돈을 소중히 여긴다는 말.
-
돈으로 비단은 살 수 있어도 사랑은 살 수 없다
: 남녀 간의 참다운 사랑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임을 이르는 말.
-
돈은 더럽게 벌어도 깨끗이 쓰면 된다
: 돈을 벌 때는 천한 일이라도 하면서 벌고 쓸 때는 떳떳하고 보람 있게 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산다[먹는다]
: 돈을 벌 때는 천한 일이라도 하면서 벌고 쓸 때는 떳떳하고 보람 있게 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은 도적맞을 수 있어도 땅은 도깨비도 떠메고 갈 수 없다
: 땅이 가장 안전하고 없어질 걱정이 없는 재산이라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은 있다가도 없어지고 없다가도 생기는 법이라
: 재물은 돌고 도는 것이므로 재물을 가지고 상대를 평가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는 말.
-
돈을 주면 배 속의 아이도 기어 나온다
: 돈을 가지면 무엇이든 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이 돈을 번다
: 돈이 많은 사람이 그 이익을 통하여 돈을 더 벌 수 있다는 말.
-
돈이 많으면 장사를 잘하고 소매가 길면 춤을 잘 춘다
: 모든 일이 잘되려면 그 소재가 좋고 풍족하여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이면 나는 새도 떨어진다
: 돈을 가지면 어떤 일도 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돈이면 지옥문도 연다
: 돈을 가지면 어떤 일도 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돈이 양반이라
: 돈이 있어야 의젓하게 양반 행세도 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돈이 없으면 적막강산이요 돈이 있으면 금수강산이라
: 경제적으로 넉넉하여야 삶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돈 있으면 활량 돈 못 쓰면 건달
: 경제적으로 넉넉하여야 삶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돈이 자가사리 끓듯 한다
: 돈이 많음을 빙자하여 함부로 외람된 짓을 하며 못되게 구는 사람을 욕으로 이르는 말.
-
돈이 장사라
: 돈의 힘은 장사의 힘과 같이 커서 세상일은 돈의 힘으로 어떻게든지 뜻대로 된다는 말.
-
돈 주고 못 살 것은 기개
: 의지와 기개가 있는 사람은 재물에 팔려 행동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돈주머니가 크다고 인심도 후하랴
: 돈이 많은 부자일수록 더 인색하고 인정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피에 잣죽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
: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당사자의 마음이 내키지 않으면 억지로 시킬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피 옷 잣죽에 자랐느냐
: 생활을 매우 호사스럽게만 하려고 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피 옷 잣죽에 자랐느냐
: 기혈(氣血)이 약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돈 한 푼을 쥐면 손에서 땀이 난다
: 수전노처럼 돈을 끔찍이 알고 돈밖에 모름을 이르는 말.
-
동풍 닷 냥이다
: 난봉이 나서 돈을 함부로 날려 버림을 조롱하는 말.
-
돼짓값은 칠 푼이요, 나뭇값은 서 돈이다
: 주된 것보다 부차적인 것이 오히려 비용이 더 많이 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따벌둥지 보고 꿀돈 내여 쓴다
: 일을 매우 서두르는 모양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딸은 예쁜 도적
: 딸은 키울 때나 출가한 후에도 아들보다 더 돈이 들고 친정집 세간도 축내지만, 딸에 대한 애정이 커서 그것이 도리어 예쁘게만 보임을 이르는 말.
-
땅을 열 길 파면 돈 한 푼이 생기나
: 돈이 생기는 것은 공짜로 되는 것이 아니므로 한 푼의 돈이라도 아껴 쓰라는 말.
-
조리 장수 매끼돈을 내어서라도
: 일이 궁박하면 염치를 돌보지 않고 무슨 방법이라도 하여 힘쓰겠다는 말.
-
중의 망건 사러 가는 돈이라도
: 일이 궁박하면 염치를 돌보지 않고 무슨 방법이라도 하여 힘쓰겠다는 말.
-
제 나락 주고 제 떡 사 먹기
: 남의 덕을 보려다가 뜻대로 안되고 결국 제 돈을 쓰게 되었다는 말.
-
대들보 썩는 줄 모르고 기왓장 아끼는 격
: 장차 크게 손해 볼 것은 모르고 당장 돈이 조금 든다고 사소한 것을 아끼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조자룡이 헌 창[칼] 쓰듯
: 돈이나 물건을 헤프게 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주머니가 화수분이라도 모자라겠다
: 주머니 속에서 돈이 샘솟는 듯하여도 모자라겠다는 뜻으로, 재물을 함부로 낭비하지 말라는 말.
-
쌈짓돈이 주머닛돈
: 쌈지에 든 돈이나 주머니에 든 돈이나 다 한가지라는 뜻으로, 그 돈이 그 돈이어서 구별할 필요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죽사발이 웃음이요 밥사발이 눈물이라
: 죽을 먹으며 가난하게 사는 집안은 화기애애하나 돈 많은 집안은 불화가 그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죽었다는 헛소문이 돈 사람은 오래 산다
: 버젓이 살아 있는데도 죽었다고 헛소문이 돈 사람은 두 몫의 삶을 누리는 것과 같기 때문에 오래 살게 된다는 말.
-
중놈 돝고깃값 치른다
: 당치도 아니한 돈을 물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이 횟값 문다
: 당치도 아니한 돈을 물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의 망건값 안 모인다
: 필요 없는 지출을 아니 하면 돈이 모일 것 같지만 실제로 그렇지도 아니하다는 말.
-
중이 개고기 사 먹듯
: 돈을 조금씩 전부 써 버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쥐고 펼 줄을 모른다
: 돈을 모으기만 하고 쓸 줄을 모른다는 말.
-
한 냥 장설(帳說)에 고추장이 아홉 돈어치라
: 값이 한 냥인 음식상에 아홉 돈어치의 고추장이 올랐다는 뜻으로, 전체에 비하여 어느 한 부분에 지나치게 많은 비용이 든 경우에 이르는 말.
-
한 닢도 없는 놈이 두 돈 오 푼 바란다
: 없는 사람이 바라기는 크게 바란다는 말.
-
한 푼 돈에 살인 난다
: 많지도 아니한 돈의 시비 끝에 큰일이 날 수도 있다는 말.
-
한 푼 돈을 우습게 여기면 한 푼 돈에 울게 된다
: 아무리 적은 돈이라도 하찮게 여기지 말라고 경계하여 이르는 말.
-
허리에 돈 차고 학 타고 양주에 올라갈까
: 언제 많은 돈을 마련하여 학을 타고 양주 구경을 갈 수 있겠느냐는 뜻으로, 평생소원을 언제 풀어 보겠냐는 말.
-
황아장사 돈고리 같다
: 빤질빤질하면서도 아주 매끄러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홰대 밑에 중머리 셋 앉으면 돈 안 모인다
: 집에 일 못하는 노인이 많으면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게 된다는 말.
-
코 묻은 떡[돈]이라도 뺏어 먹겠다
: 하는 행동이 너무나 치사하고 마음에 거슬리는 경우를 비꼬는 말.
-
사내는 돈을 잘 써야 하고 녀편네는 물을 잘 써야 한다
: 남자는 밖에 나가서 사회적 활동을 잘해야 하고 여자는 집 안에서 살림살이를 잘해야 함을 이르는 말.
-
사내는 변소 길을 가도 돈 열 냥은 넣고 간다
: 남자는 길을 떠나려면 급할 때 쓸 수 있도록 돈 밑천을 지니고 있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내는 죽을 때 계집과 돈을 머리맡에 놓고 죽어라
: 남자가 늙어서는 아내와 돈이 있어야 된다는 말.
-
사람 나고 돈 났지 돈 나고 사람 났나
: 아무리 돈이 귀중하다 하여도 사람보다 더 귀중할 수는 없다는 뜻으로, 돈밖에 모르는 사람을 비난하여 이르는 말.
-
사람이 돈이 없어서 못 사는 게 아니라 명이 모자라서 못 산다
: 돈은 없다가도 생기기 마련이지만 목숨은 일정한 한도가 있다는 뜻으로, 사람에게는 돈이나 물질보다도 생명이 더 중요함을 이르는 말.

▹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초성이 같은 단어들
•
ㄷ
(총 100개)
:
다, 닥, 닦, 단, 닫, 달, 닭, 담, 답, 닷, 당, 닻, 닼, 닽, 대, 댁, 댄, 댈, 댐, 댓, 댕, 댯, 더, 덕, 덗, 던, 덛, 덜, 덤, 덥, 덧, 덩, 덫, 덭, 데, 덱, 덴, 델, 뎁, 뎅, 뎌, 뎔, 뎜, 뎡, 뎧, 뎨, 도, 독, 돆, 돈, 돌, 돍, 돐, 돓, 돔, 돗, 동, 돛, 돜, 돝, 됀, 되, 됙, 됨, 됴, 두, 둑, 둔, 둘, 둟, 둠, 둥, 둬, 둼, 둿, 뒈, 뒘, 뒝, 뒤, 뒴, 뒷, 뒹, 뒿, 듀, 드, 득, 든, 들, 듥, 듬, 듯, 등, 듸, 디, 딘, 딜, 딤, 딥, 딩, 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