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은 덕으로 대하고 원쑤는 원쑤로 대하라
:
자기를 좋게 대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선의로 대하고 자기를 해치려는 원수에 대해서는 원수로 대하여야 한다는 말. •덕을 원쑤로 갚는다
: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의 북한 속담. •수양산 그늘이 강동 팔십 리를 간다
:
수양산 그늘진 곳에 아름답기로 유명한 강동 땅 팔십 리가 펼쳐졌다는 뜻으로, 어떤 한 사람이 크게 되면 친척이나 친구들까지 그 덕을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수박 겉 핥기
:
맛있는 수박을 먹는다는 것이 딱딱한 겉만 핥고 있다는 뜻으로, 사물의 속 내용은 모르고 겉만 건드리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던져 마름쇠
:
마름쇠는 누구나 던지면 틀림없이 꽂히고 한쪽은 위로 솟는 데서, 어떤 일에 별로 숙달되지 않은 사람도 실수 없이 능히 할 수 있는 일인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깨비 대동강 건너듯
:
일의 진행이 눈에 띄지는 않으나 그 결과가 빨리 나타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들 적 며느리 날 적 송아지
:
며느리는 시집올 적에만 대접을 받고 송아지는 태어날 때만 잠시 귀염을 받는다는 뜻으로, 며느리는 출가해 온 후 일만 하고 산다는 말. •딸 덕에 부원군
:
출가한 딸의 도움으로 무슨 일을 하거나 잘되는 것을 이르는 말. •딸은 산적 도둑이라 하네
:
딸은 출가한 후에도 친정에 와서 이것저것 다 가져가 마치 도둑과 같다는 말.
•어이딸이 두부 앗듯
:
무슨 일을 할 때 의견이 잘 맞고 손발이 척척 맞아 쉽게 잘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이딸이 쌍절구질하듯
:
무슨 일을 할 때 의견이 잘 맞고 손발이 척척 맞아 쉽게 잘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이딸이 쌍절구질하듯
:
말다툼을 할 때 한 사람이 무어라고 하고 나서 곧 또 한 사람이 이어 하기를 쉬지 않고 되풀이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죽하여 호랑이가 개미를 핥아 먹겠는가
:
상황이 극도로 어려워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할 하찮은 것을 붙들고 늘어지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명주옷은 사촌까지 덥다
:
가까운 사람이 부귀한 몸이 되면 그 도움이 일가에까지 미침을 이르는 말. •두절개 같다
:
돌보아 줄 사람이 너무 많아서 서로 미루는 바람에 도리어 하나도 도움을 못 받게 됨을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