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녀편네 떡 퍼 돌리듯
정신 나간 미친 여자가 헤아림도 없이 있는 떡을 닥치는 대로 퍼서 돌리듯 한다는 뜻으로, 타산 없이 있는 대로 마구 내다 쓰거나 헤프게 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편
#여자
#타산
#녀편네
#대로
#모양
#정신
#대
#산
#떡
#편
: 총 65 개의 편에 관한 속담 모두 보기
1
숙맥이 상팔자
: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이 팔자가 좋다는 뜻으로, 모르는 것이 마음 편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댑싸리 밑의 개 팔자
:
하는 일 없이 놀고먹는 편한 팔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싸리밭에 개 팔자
:
하는 일 없이 놀고먹는 편한 팔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여자
: 총 94 개의 여자에 관한 속담 모두 보기
1
숙향전이 고담(古談)이라
:
소설의 숙향전이 옛이야기에 불과하다는 뜻으로, 여자의 운명이 평탄치 못하여 고생만 하다가 끝내 좋은 때를 만나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숟갈 한 단 못 세는 사람이 살림은 잘한다
:
숟갈 한 단도 못 셀 정도로 좀 미련해 보이는 여자가 오히려 다른 생각 없이 살림을 꾸준히 잘한다는 말.
3
귀머거리 삼 년이요 벙어리 삼 년(이라)
:
여자는 시집가서 남의 말을 듣고도 못 들은 체하고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타산
: 총 14 개의 타산에 관한 속담 모두 보기
1
미친 녀편네 떡 퍼 돌리듯
:
정신 나간 미친 여자가 헤아림도 없이 있는 떡을 닥치는 대로 퍼서 돌리듯 한다는 뜻으로, 타산 없이 있는 대로 마구 내다 쓰거나 헤프게 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부엌에 가면 더 먹을까 방에 가면 더 먹을까
:
남보다 더 먹기 위하여 방에 들어갈까 부엌에 들어갈까 타산한다는 뜻으로, 어느 쪽이 더 이익이 많을까 하고 잇속을 따지느라 망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이 장떡이 큰가 저 장떡이 큰가
:
남보다 더 먹기 위하여 방에 들어갈까 부엌에 들어갈까 타산한다는 뜻으로, 어느 쪽이 더 이익이 많을까 하고 잇속을 따지느라 망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녀편네
: 총 11 개의 녀편네에 관한 속담 모두 보기
1
마음 좋은 녀편네 동네에 시아버지가 열이다
:
‘인정에 겨워 동네 시아비가 아홉이라’의 북한 속담.
2
깝진 녀편네 첫아이 낳기만이나 하다
:
끙끙거리기만 하면서 일을 척척 해치우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녀편네 말 잘 들으면 오뉴월에 팥밥 먹는다
:
아내가 걱정하는 말을 잘 들으면 좋은 수가 생길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대로
: 총 5 개의 대로에 관한 속담 모두 보기
1
자식과 그릇은 있으면 쓰고 없으면 못 쓴다
:
자식과 그릇은 있으면 있는 대로 쓰고 없으면 없는 대로 쓰기 마련이라는 뜻으로, 둘러맞춰 가며 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죽은 게 발 놀리듯 한다
:
죽은 게는 남이 움직이는 대로 발을 놀린다는 데서 아무런 주견이나 목적이 없이 남이 시키는 대로 움직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미친 녀편네 떡 퍼 돌리듯
:
정신 나간 미친 여자가 헤아림도 없이 있는 떡을 닥치는 대로 퍼서 돌리듯 한다는 뜻으로, 타산 없이 있는 대로 마구 내다 쓰거나 헤프게 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모양
: 총 476 개의 모양에 관한 속담 모두 보기
1
도깨비 대동강 건너듯
:
일의 진행이 눈에 띄지는 않으나 그 결과가 빨리 나타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덜 곪은 부스럼에 아니 나는 고름 짜듯
:
상을 몹시 찌푸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수염의 불 끄듯
:
조금도 지체하지 못하고 황급히 서두르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정신
: 총 82 개의 정신에 관한 속담 모두 보기
1
술 먹은 개
:
정신없이 술에 취해 행동을 멋대로 하는 사람을 비꼬는 말.
2
대통 맞은 병아리 같다
:
남에게 얻어맞거나 의외의 일을 당하여 정신이 멍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신선놀음에 도낏자루 썩는 줄 모른다
:
어떤 나무꾼이 신선들이 바둑 두는 것을 정신없이 보다가 제정신이 들어보니 세월이 흘러 도낏자루가 다 썩었다는 데서, 아주 재미있는 일에 정신이 팔려서 시간 가는 줄 모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대
: 총 305 개의 대에 관한 속담 모두 보기
1
피천 대[반] 푼(도) 없다
:
가진 돈이 한 푼도 없다는 말.
2
쇠코에 경 읽기
:
소의 코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3
말 귀에 염불
:
소의 코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산
: 총 138 개의 산에 관한 속담 모두 보기
1
도토리는 벌방[벌]을 내려다보면서 열린다
:
도토리는 산에서 벌을 내려다보고 벌이 풍년이면 안 열리고 벌이 흉년이면 잘 열린다는 말.
2
여산 중놈 쓸 것
:
전혀 관계없는 남이 쓸 것이라는 말.
3
여산 풍경에 헌 쪽박이라
:
도무지 어울리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떡
: 총 225 개의 떡에 관한 속담 모두 보기
1
누워서 떡 먹기
:
하기가 매우 쉬운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쉰 떡 도르듯
:
물건을 마구 나누어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말이란 발이 달리기 마련이다
:
‘말은 보태고 떡은 뗀다’의 북한 속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