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칠 년이나 계속되는 큰 가뭄에 비 오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몹시 간절히 바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비
#바람
#가뭄
#년
#계속
#칠
›
:
칠 년이나 계속되는 큰 가뭄에 비 오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몹시 간절히 바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대우
#칠년대한
#대한
#바람
#가뭄
#계속
#비
#년
#칠
›
:
시앗 싸움에서 정을 뗀다 하여 흔히 요강을 깨는 바람에 요강 장수가 이익을 본다는 뜻으로, 두 사람의 싸움에 다른 사람이 이익을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요강
#시앗
#정
#사람
#장수
#이익
#바람
#싸움
›
:
열무김치가 익지도 않은 것이 군내가 난다는 뜻으로, 사람이 장성하기도 전에 못된 버릇부터 배워 바람을 피우는 경우를 비꼬는 말.
#경우
#열무김치
#사람
#전
#군내
#바람
#장성
#버릇
›
:
열무김치가 익지도 않은 것이 군내가 난다는 뜻으로, 사람이 장성하기도 전에 못된 버릇부터 배워 바람을 피우는 경우를 비꼬는 말.
#경우
#열무김치
#사람
#전
#군내
#바람
#장성
#맛
#버릇
›
:
실이 가는 데 바늘이 항상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실
#구름
#사람
#관계
#바늘
#바람
›
:
›
:
나쁜 짓을 하고도 사모라는 배짱으로 도리어 남을 야단치고 뽐내며 횡포를 부린다는 말.
#도둑질
#배짱
#부
#도둑
#남
#짓
#바람
#횡포
#사모
›
:
나쁜 짓을 하고도 사모라는 배짱으로 도리어 남을 야단치고 뽐내며 횡포를 부린다는 말.
#배짱
#부
#남
#짓
#바람
#횡포
#사모
›
:
아무리 작고 약한 것이라도 계속되면 무시할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무시
#오뉴월
#바람
#계속
#결과
›
:
꽃들이 한창 피어나는 봄철에 바람이 몹시 부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바람꽃
#바람
#이리
#꽃
#봄철
›
:
›
:
남의 것을 턱없이 바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밥
#바람
#남
#턱
#장
›
:
반드시 같이 다녀서 둘이 서로 떠나지 아니할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둘
#구름
#범
#용
#바람
›
:
반드시 같이 다녀서 둘이 서로 떠나지 아니할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둘
#범
#바람
›
:
무슨 일이나 뜻한 바를 다 이루어, 두려운 것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바
#경우
#일
#뜻
#범
#여의주
#용
#바람
#탐
›
:
지위가 높아질수록 더욱 지위의 안정성이 적고 신변이 위태로워진다는 말.
#신변
#지위
#바람
#나무
#위태
›
:
돌보아 줄 사람이 너무 많아서 서로 미루는 바람에 도리어 하나도 도움을 못 받게 됨을 이르는 말.
#바람
#사람
#도움
#절개
›
:
맹랑하고 허황된 짓을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허황
#사람
#바람
#짓
#뒤웅박
›
:
›
:
미운 사람이 더욱 미운 짓을 함을 이르는 말.
#사람
#바람
#짓
#똥
#년
›
:
늦게 불기 시작한 바람이 초가집 지붕마루에 얹은 용마름을 벗겨 갈 만큼 세다는 뜻으로, 사람도 늙은 후에 한번 바람이 나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지붕
#용마름
#사람
#시작
#용
#지붕마루
#번
#초가집
#만큼
#바람
#후
#마루
›
:
늦게 불기 시작한 바람이 초가집 지붕마루에 얹은 용마름을 벗겨 갈 만큼 세다는 뜻으로, 사람도 늙은 후에 한번 바람이 나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지붕
#시작
#사람
#번
#용
#지붕마루
#초가집
#만큼
#바람
#후
#마루
›
:
여러 사람이 함께 걷는 경우에 절름발이도 덩달아 걸을 수 있다는 뜻으로, 여럿이 공동으로 하는 바람에 평소에 못하던 사람도 할 수 있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절름발이
#평소
#봉
#사람
#공동
#다리
#바람
#여럿
#걸음
›
:
자기가 한 일에 자기가 놀라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바람
#자기
#봄
#꿩
›
:
산모가 바람을 잘못 쐬면 몸에 탈이 나므로 바람을 쐬지 아니하도록 조심하라는 말.
#조심
#해산
#탈
#바람
#산모
#몸
#구멍
›
:
혀끝에 쥐가 나서 혀가 굳었느냐는 뜻으로, 말을 전혀 하지 않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놀림
#쥐
#바람
#말
#혀
›
:
‘용 가는 데 구름 가고 범 가는 데 바람 간다’의 북한 속담.
#룡
#안개
#구름
#범
#용
#바람
#호랑이
›
:
아무런 노력도 아니 하면서 좋은 결과가 이루어지기만 바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입
#결과
#감나무
#바람
#밑
#홍시
#노력
#리
›
:
큰일을 치르느라고 들끓던 분위기가 일이 끝나고 잠잠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큰일
#고요
#바람
#뒤
#분위기
#짐
#잠
›
:
비는 가까운 거리에서도 내리는 정도가 같지 않으며, 바람은 비교적 먼 거리까지도 한 모양으로 분다는 말.
#백
#비교
#바람
#바람세
#거리
#비
#모양
#정도
#리
›
:
사이가 뜨면 아무리 두터운 정이라도 멀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이
#정
#바람
#운
#짐
#빈틈
›
:
드센 바람 속에 꿋꿋이 서 있는 굳센 풀을 알아낼 수 있다는 뜻으로, 마음의 굳은 의지와 절개는 시련을 겪고 나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말.
#의지
#속
#시련
#뚜렷
#바람
#풀
#절개
#마음
›
:
늦게 불기 시작한 바람이 초가집 지붕마루에 얹은 용마름을 벗겨 갈 만큼 센 것처럼 사람도 늙은 후에 한번 바람이 나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지붕
#시작
#사람
#번
#용
#지붕마루
#초가집
#만큼
#바람
#후
#마루
›
:
늦게 불기 시작한 바람이 초가집 지붕마루에 얹은 용마름을 벗겨 갈 만큼 센 것처럼 사람도 늙은 후에 한번 바람이 나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지붕
#용마름
#사람
#시작
#용
#지붕마루
#번
#초가집
#만큼
#바람
#후
#마루
›
:
삶아 놓아 병아리가 나올 수 없는 달걀에서 병아리가 나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도저히 이루어질 가망이 없는 것을 부질없이 바람을 이르는 말.
#병아리
#가망
#달걀
#닭알
#바람
#삶
#닭
›
:
바람이 제멋대로 오르락내리락한다는 뜻으로, 거들먹거리면서 하는 일 없이 놀아나거나 출입이 잦음을 비웃는 말.
#바람
#일
#출입
#삼각산
›
:
물에서 가는 돛배인 만큼 물이 있어야 갈 수 있다는 뜻으로, 기회나 경우가 맞아야 일을 제대로 이룰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있음
#물
#바람
#만큼
#기회
#배
#돛
›
:
바늘이 가는 데 실이 항상 뒤따르고 바람이 가는 데 구름이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실
#구름
#사람
#관계
#바람
#바늘
›
:
바늘이 가는 데 실이 항상 뒤따르고 바람이 가는 데 구름이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실
#구름
#사람
#관계
#바람
#바늘
›
:
바늘이 가는 데 실이 항상 뒤따르고 바람이 가는 데 구름이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실
#구름
#사람
#관계
#바람
#바늘
#저
#비
›
:
바늘이 가는 데 실이 항상 뒤따르고 바람이 가는 데 구름이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실
#구름
#사람
#관계
#바람
#바늘
›
:
바늘이 가는 데 실이 항상 뒤따르고 바람이 가는 데 구름이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실
#구름
#사람
#범
#관계
#바늘
#바람
›
:
바늘이 가는 데 실이 항상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실
#사람
#범
#관계
#바늘
#바람
›
:
추울 때에는 바늘구멍 같은 작은 구멍에도 엄청나게 센 찬 바람이 들어온다는 뜻으로, 작은 것이라도 때에 따라서는 소홀히 하여서는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황소
#때
#바람
#구멍
›
: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범
#사람
#관계
#바람
›
:
›
:
사람은 무엇이나 과거의 것을 더 좋게 여긴다는 말.
#사람
#과거
#바람
#무엇
›
:
바람이 부는 데 따라 구름이 흘러가고 구름이 가는 데 용이 갈 수 있다는 뜻으로, 모든 현상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말.
#룡
#구름
#현상
#용
#밀접
#바람
#연관
›
:
바람이 부는 데 따라 구름이 흘러가고 구름이 가는 데 용이 갈 수 있다는 뜻으로, 모든 현상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말.
#룡
#구름
#현상
#용
#밀접
#바람
#연관
›
:
바람이 부는 형세를 보아 가며 돛을 단다는 뜻으로, 때를 잘 맞추어서 일을 벌여 나가야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성과
#일
#때
#있음
#바람
#형세
#돛
›
:
일정한 신념과 주견이 없이 기회나 형편을 엿보다가 조건이 좋은 쪽을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는 모양을 비꼬는 말.
#형편
#주견
#쪽
#일정
#신념
#기회
#바람
#조건
#모양
#돛
›
:
일정한 신념과 주견이 없이 기회나 형편을 엿보다가 조건이 좋은 쪽을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는 모양을 비꼬는 말.
#형편
#주견
#쪽
#일정
#신념
#기회
#바람
#바람세
#조건
#모양
#돛
›
:
형체도 없는 바람을 먹고 둥둥 떠가는 구름 똥을 싼다는 뜻으로, 허황된 짓을 하는 경우를 비꼬는 말.
#경우
#허황
#구름
#형체
#바람
#짓
#똥
›
:
겉은 그럴듯하나 실속이 없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겉
#바람
#실속
#모양
#열매
›
:
언제 꺼질지 모르는 바람 앞의 촛불이란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바람
#앞
#있음
#처지
›
:
언제 꺼질지 모르는 바람 앞의 촛불이란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앞
#있음
#바람
#처지
#등불
#촛불
›
:
바람벽에도 듣는 귀가 있어서 몰래 한 말도 다 알게 된다는 뜻으로, 어떤 환경에서나 말을 함부로 하지 말고 조심하여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귀
#조심
#환경
#벽
#바람
#말
#함
#바람벽
›
:
가루를 펼쳐 놓지도 못할 정도로 바람이 부는 험상한 날에 가루를 팔러 나간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서 그 알맞은 기회를 알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루
#일
#기회
#바람
#날
#정도
›
:
바람이 부는 형세에 따라 돛을 단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부
#바람
#모양
#형세
#대
#돛
›
:
바람이 부는 형세에 따라 돛을 단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물결
#바람
#모양
#형세
#대
#돛
›
:
바람이 부는 형세와 물결이 치는 형세에 따라 돛을 단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물결
#부
#바람
#모양
#형세
#대
#돛
›
:
바람이 부는 형세와 물결이 치는 형세에 따라 돛을 단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물결
#부
#바람
#모양
#형세
#대
#돛
›
:
바람이 부는 형세에 따라 산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부
#바람
#모양
#형세
#대
›
:
바람이 부는 형세에 따라 산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부
#바람
#모양
#형세
#대
#돛
›
:
바람이 부는 형세에 따라 산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물결
#바람
#모양
#형세
#대
›
:
바람이 꽤 기세 있게 불어야 돛을 단다는 뜻으로, 조건이 알맞아야 일을 벌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바람
#바람세
#조건
#기세
#돛
›
:
언제 꺼질지 모르는 바람 앞의 등불이란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앞
#있음
#바람
#처지
#등불
›
:
언제 꺼질지 모르는 바람 앞의 등불이란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앞
#있음
#바람
#처지
#등불
#촛불
›
:
모질고 사납게 굴던 현상이 일정한 고비를 지나면서 숙어 들기 시작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시작
#숙어
#일정
#현상
#고비
#바람
›
:
바람 타고 가는 돛배인 만큼 바람이 불어야 갈 수 있다는 뜻으로, 기회나 경우가 맞아야 일을 제대로 이룰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있음
#기회
#만큼
#바람
#배
#돛
›
:
바람 타고 가는 돛배인 만큼 바람이 불어야 갈 수 있다는 뜻으로, 기회나 경우가 맞아야 일을 제대로 이룰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있음
#물
#기회
#만큼
#바람
#배
#가야
#돛
›
:
매우 바삐 진행되거나 움직이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모양
#바람
#바지
#진행
›
:
어찌나 빠르게 걷는지 무릎을 꺾을 사이도 없이 마치 바짓가랑이에 자개바람이 일어난 것처럼 걷는다는 뜻으로, 매우 빨리 걷는 모양을 이르는 말.
#소리
#사이
#무릎
#바짓가랑이
#바람
#비파
#모양
#바지
›
:
남 보기에 절대로 그럴 것 같지 않은 사람이 좋지 못한 짓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사람
#배추
#바람
#짓
#남
#밑
›
:
구름이 가는 데 비가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름
#범
#사람
#관계
#바람
#비
›
:
구름을 따라 용이 가고 바람이 부는 데 따라 구름이 흘러갈 수 있다는 뜻으로, 모든 현상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말.
#룡
#구름
#현상
#용
#밀접
#바람
#연관
›
:
구름을 따라 용이 가고 바람이 부는 데 따라 구름이 흘러갈 수 있다는 뜻으로, 모든 현상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말.
#룡
#구름
#현상
#용
#밀접
#바람
#연관
›
:
굴뚝에 바람이 들면 아궁이로 연기가 나와 불을 때는 이의 눈에서 눈물이 난다는 데 빗대어, 왜 우느냐고 되묻는 투로 이르는 말.
#때
#연기
#아궁이
#대어
#눈물
#투
#눈
#바람
#굴뚝
#불
›
:
나쁜 짓을 하고도 벼슬아치라는 배짱으로 도리어 남을 야단치고 뽐내며 횡포를 부린다는 말.
#벼슬아치
#배짱
#부
#남
#짓
#바람
#횡포
#사모
›
:
쑥대를 엮어서 만든 바자일지언정 충분히 바람을 막는다는 뜻으로, 비록 보잘것없는 것이라도 자기의 몫을 제대로 해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바
#쑥대
#쑥
#몫
#바람
#바자
›
:
‘가만한 바람이 대목을 꺾는다’의 북한 속담.
#소리
#소
#모
#바람
#대목
›
:
가을에는 남자가 바람이 나기 쉽고, 봄에는 여자가 바람이 나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처녀
#여자
#가을바람
#총각
#가을
#바람
#남자
#봄바람
#봄
›
:
가을바람에 이리저리 날리는 새털처럼 매우 가볍고 꿋꿋하지 못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을바람
#가을
#새털
#바람
#털
›
:
가지가 많고 잎이 무성한 나무는 살랑거리는 바람에도 잎이 흔들려서 잠시도 조용한 날이 없다는 뜻으로, 자식을 많이 둔 어버이에게는 근심, 걱정이 끊일 날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걱정
#어버이
#자식
#근심
#잎
#바람
#나무
#날
#잠시
›
:
›
:
›
:
이른 봄철에 찬 바람이 휘몰아치면서 변덕을 부리는 추위가 만만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뼈
#만만
#겨울
#변덕
#바람
#추위
#살이
#봄철
#봄
›
:
일하기는 싫어하면서 그 성과만을 바람을 비꼬는 말.
#성과
#놈
#일
#바람
#풀
›
:
›
:
›
:
›
:
›
:
›
:
베주머니로 바람을 잡더라도 베올이 굵어 바람이 새어 나간다는 뜻으로, 헛수고만 한다는 말.
#베주머니
#헛수고
#새
#주머니
#바람
#수고
›
:
‘복 없는 가시내(가) 봉놋방에 가 누워도 고자 곁에 가 눕는다’의 북한 속담.
#가시
#가루
#놈
#곁
#골목
#복
#바람
#장사
›
:
비록 봄이지만 바람 부는 날은 매우 쌀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바람
#봄바람
#날
#봄
›
:
새벽바람에 꺼질까 봐 조심스럽게 들고 있는 비단 초롱이라는 뜻으로, 매우 사랑스럽고 소중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새벽
#초롱
#소중
#조심
#사랑
#새벽바람
#사
#바람
#비단
›
:
새벽바람에 꺼질까 봐 조심스럽게 들고 있는 비단 초롱이라는 뜻으로, 매우 사랑스럽고 소중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새벽
#초롱
#소중
#조심
#사랑
#새벽바람
#바람
#비단
#잉어
#얼음
›
:
조상의 무덤을 잘 쓴 덕에 자손이 훌륭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덕
#훌륭
#자손
#조상
#바람
#선영
#무덤
#명
출처: 우리말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