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아트
시작
끝
초성
사전
속담
한자
명언
포함
사투리
+
부분
에 관한 속담 총 15 개
•
온 바닷물을 다 켜야 맛이냐
:
한 부분으로 전체를 짐작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전체
#
있음
#
부분
#
짐작
#
바닷물
#
맛
•
달걀로 치면 노른자다
: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는 말.
#
달걀
#
노른자
#
부분
#
중요
•
나무를 보고 숲을 보지 못한다
:
부분만 보고 전체는 보지 못하는 근시안적인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숲
#
전체
#
부분
#
나무
#
행동
•
녹용 대가리 베어 가는 셈
:
어떤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부분을 가로채어 가는 염치없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
#
핵심
#
녹용
#
부분
#
염치
#
대가리
#
중요
#
행동
#
셈
•
족제비 잡은 데 꼬리 달라는 격
:
애써 얻은 것의 가장 긴요한 부분을 염치없이 빼앗으려는 행동을 비꼬는 말.
#
격
#
긴요
#
족제비
#
부분
#
꼬리
#
염치
#
행동
•
한 냥 장설(帳說)에 고추장이 아홉 돈어치라
:
값이 한 냥인 음식상에 아홉 돈어치의 고추장이 올랐다는 뜻으로, 전체에 비하여 어느 한 부분에 지나치게 많은 비용이 든 경우에 이르는 말.
#
경우
#
고추
#
전체
#
비용
#
돈
#
음식상
#
어치
#
부분
#
아홉
#
고추장
#
장
#
값
#
냥
•
부러진 송곳
:
가장 요긴한 부분이 못 쓰게 되어 쓸모없게 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부분
#
쓸모
#
송곳
•
부처님 가운데[허리] 토막
:
자비로운 부처의 가운데 부분과 같이 음흉하거나 요사스러운 마음이 전혀 없다는 뜻으로, 마음이 지나치게 어질고 순한 사람을 이르는 말.
#
가운데
#
사람
#
요사
#
부처
#
부분
#
자비
#
허리
#
토막
#
음흉
#
마음
#
부처님
•
엎어진 둥지에는 성한 알이 없다
:
전체가 요절난 것에서 그 부분을 이루는 것이 온전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온전
#
전체
#
부분
#
알
#
둥지
•
족제비는 꼬리 보고 잡는다
:
족제비는 긴요하게 쓸 부분인 꼬리가 있기 때문에 잡는다는 뜻으로, 모든 일은 까닭이 있어 행한다는 말.
#
일
#
때문
#
긴요
#
족제비
#
부분
#
꼬리
#
까닭
•
족제비 잡으니까 꼬리를 달란다
:
애써 얻은 것의 가장 긴요한 부분을 염치없이 빼앗으려는 행동을 비꼬는 말.
#
긴요
#
족제비
#
부분
#
꼬리
#
염치
#
행동
•
황아장수 망신은 고불통이 시킨다
:
한 사람이나 부분의 결함이 전체에 나쁜 영향을 줌을 이르는 말.
#
결함
#
사람
#
영향
#
전체
#
장수
#
부분
#
황아장수
#
망신
#
황
#
줌
•
머리를 삶으면 귀까지 익는다
:
큰일을 하면 거기에 딸린 부분도 자연히 따라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부분
#
큰일
#
머리
#
귀
•
객줏집 칼도마 같다
:
객줏집의 칼도마는 손님을 치르느라고 많이 써서 가운데 부분이 움푹 패었다는 뜻으로, 이마와 턱이 나오고 눈 아래가 움푹 들어간 얼굴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얼굴
#
객줏집
#
가운데
#
칼
#
이마
#
놀림
#
턱
#
눈
#
부분
#
패
#
손님
#
아래
#
칼도마
•
잿불 화로의 불씨가 끊어져서는 집안이 망한다
:
예전에 불씨를 보전하는 것이 살림살이의 중요한 부분이었던 데서, 불씨를 꺼뜨리는 소홀한 살림살이로는 한집안을 잘 꾸려 나갈 수 없다는 말.
#
예전
#
살림살이
#
화
#
집안
#
불씨
#
화로
#
소홀
#
불
#
망
#
부분
#
중요
#
보전
#
한집안
출처: 우리말샘
부분
스토리 보기
속담을 검색해 보세요.
(와)과 관련된
모든 속담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
부분
에 관련된
한자어
20개 더 보기
›
葉錢(엽전): (1)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들 수 있다. (2)우리나라 사람이 스스로를 낮잡아 이르는 말. (3)소나 말 같은 길짐승의 머리 앞부분에 장식으로 다는 둥글넓적한 금속.
›
德本財末(덕본재말): 사람이 살아가는 데 덕(德)이 뿌리가 되고 재물(財物)은 사소(些少)한 부분(部分)임.
›
盲人摸象(맹인모상): 일부분을 알면서도 전체를 아는 것처럼 여기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
부분
에 관련된
명언
14개 더 보기
›
노동이 반드시 불쾌한 일만은 아닌 것 같다. 노동은 늘 힘들거나 혹은 최소한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힘든 것임에는 틀림 없을 지 모른다. 하지만 노동도 즐거운 것이 될 수 있다는 증거가 충분히 있으며, 사실 노동은 종종 인생의 가장 즐거운 부분 중의 하나이다.
-
미하이 칙센미하이의 명언
›
모자라는 부분을 채워가는 것이 행복이다.
-
로버트 프로스트의 명언
›
책으로 한 나라의 상당 부분을 다닐 수 있다.
-
앤드루 랭의 명언
⇈
G
o
o
g
l
e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