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
끝
초성
사전
속담
한자
명언
포함
사투리
+
부족
에 관한 속담 총 43 개
•
약빠른 고양이 밤눈이 어둡다
:
약빨라 실수가 없을 듯한 사람도 부족한 점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약
#
실수
#
사람
#
부족
#
있음
#
밤
#
눈
#
밤눈
#
점
#
고양이
•
약은 쥐가 밤눈 어둡다
:
약빨라 실수가 없을 듯한 사람도 부족한 점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실수
#
부족
#
사람
#
있음
#
밤
#
쥐
#
눈
#
밤눈
#
점
•
길마 무거워 소 드러누울까
:
어떤 일을 앞두고 힘이 부족할까 겁을 내지 말라는 말.
#
소
#
일
#
부족
#
겁
#
힘
#
길마
#
말
•
꽃이 좋아야[고와야] 나비가 모인다
:
자기는 부족하고 불완전하면서 남의 완전한 것만을 구하는 것은 부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부족
#
부당
#
불완전
#
남
#
꽃
#
나비
#
완전
•
내 딸이 고와야 나비가 모인다
:
자기는 부족하고 불완전하면서 남의 완전한 것만을 구하는 것은 부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부족
#
딸
#
부당
#
불완전
#
남
#
나비
#
완전
•
모내기 때는 고양이 손도 빌린다
:
모내는 시기에는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있는 대로 다 참여해야 할 정도로 일손이 부족하다는 말.
#
참여
#
때
#
부족
#
어른
#
손
#
아이
#
모
#
일손
#
모내기
#
정도
#
대
#
고양이
•
우물 좋고 정자 좋고 다 좋은 집 있나
:
모든 조건이 다 갖추어진 완전무결한 것은 거의 없으니 얼마간의 부족한 점은 참아야 한다는 말.
#
집
#
부족
#
얼마간
#
우물
#
완전
#
완전무결
#
조건
#
정자
#
점
#
무
•
땀은 땀대로 흘리고 농사는 풀농사만 짓는다
:
부지런히 애를 쓰고 힘을 들여도 요령이나 기술이 부족하여 별 성과가 없음을 이르는 말.
#
성과
#
농사
#
부족
#
힘
#
기술
#
풀
#
요령
#
별
#
애
#
땀
•
담을 것은 많은데 광주리가 작다
:
해야 할 일은 많은데 그것을 감당할 만한 여러 가지 준비나 역량이 부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광주리
#
일
#
부족
#
준비
#
담
#
부족
함
#
그것
#
감당
#
가지
#
역량
•
일 못하는 놈이 쟁기를 나무란다
:
자신의 능력이 부족한 줄 모르고 공연히 남의 핑계를 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능력
#
일
#
놈
#
줄
#
부족
#
남
#
자신
#
핑계
#
쟁기
•
있는 것은 모으고[마디고] 없는 것은 헤프다
:
많이 있는 것은 흔하여 덜 찾게 되니 모아지고 없는 것은 부족하여 보일 때마다 계속 쓰게 되니 헤프다는 뜻으로, 무엇이나 많이 있으면 오래 견디어 나가지만 없고 보면 한없이 궁하기만 함을 이르는 말.
#
때
#
부족
#
마디
#
무엇
#
함
•
자랑쟁이에게 흉[흠]이 더 많다
:
보통 자기 수양이 부족한 사람이 자기 자랑을 많이 한다는 뜻으로, 자기의 허물도 모르고 자기를 자랑하는 사람을 비꼬는 말.
#
수양
#
허물
#
사람
#
부족
#
흉
#
흠
#
자랑
•
줄수록 양양[냠냠]
:
주면 줄수록 부족하게 여기고 더 요구하게 된다는 말.
#
부족
#
요구
#
줄
•
산살구 지레 터진다
:
맛도 없는 산살구가 참살구보다 먼저 익어서 터진다는 뜻으로, 능력이 없거나 수양이 부족한 사람이 잘난 듯이 경망스럽게 행동함을 비웃는 말.
#
능력
#
수양
#
사람
#
부족
#
경망
#
구
#
행동
#
산살구
#
산
#
맛
•
밥 팔아 똥 사 먹겠다
:
사람이 미련하고 부족한 것을 비꼬는 말.
#
미련
#
사람
#
부족
#
사
#
밥
#
똥
•
서투른 무당이 장구만 나무란다
:
자기 기술이나 능력이 부족한 것은 생각하지 않고 애매한 도구나 조건만 가지고 나쁘다고 탓함을 비꼬는 말.
#
능력
#
애매
#
생각
#
부족
#
도구
#
탓
#
기술
#
조건
#
장구
#
무당
•
서투른 과방이 안반 타박한다
:
자기 기술이나 능력이 부족한 것은 생각하지 않고 애매한 도구나 조건만 가지고 나쁘다고 탓함을 비꼬는 말.
#
능력
#
애매
#
생각
#
과방
#
안반
#
부족
#
도구
#
탓
#
기술
#
안
#
조건
#
반
#
타박
•
서투른 무당이 마당 기울다 한다
:
자기 기술이나 능력이 부족한 것은 생각하지 않고 애매한 도구나 조건만 가지고 나쁘다고 탓함을 비꼬는 말.
#
능력
#
애매
#
생각
#
부족
#
도구
#
탓
#
마당
#
기술
#
조건
#
무당
•
선무당이 마당 기울다 한다
:
자기 기술이나 능력이 부족한 것은 생각하지 않고 애매한 도구나 조건만 가지고 나쁘다고 탓함을 비꼬는 말.
#
능력
#
애매
#
생각
#
부족
#
도구
#
탓
#
마당
#
기술
#
조건
#
선무당
•
선무당이 장구만 나무란다
:
자기 기술이나 능력이 부족한 것은 생각하지 않고 애매한 도구나 조건만 가지고 나쁘다고 탓함을 비꼬는 말.
#
능력
#
애매
#
생각
#
부족
#
도구
#
탓
#
기술
#
조건
#
선무당
#
장구
•
선무당이 장구 탓한다
:
자기 기술이나 능력이 부족한 것은 생각하지 않고 애매한 도구나 조건만 가지고 나쁘다고 탓함을 비꼬는 말.
#
능력
#
애매
#
생각
#
부족
#
도구
#
탓
#
기술
#
조건
#
선무당
#
장구
•
귀한 것은 상량문
:
모든 것이 다 구비되어 있는데 한 가지 부족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귀
#
부족
#
구비
#
상량문
#
가지
•
쌀광에 든 쥐
:
부족함이 없이 넉넉한 상태에 놓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상태
#
쌀
#
부족
#
쥐
#
넉넉
#
부족
함
•
쌀독에 앉은 쥐
:
부족함이 없이 넉넉한 상태에 놓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상태
#
쌀독
#
부족
#
쥐
#
넉넉
#
부족
함
•
곱다니까 노란 샤쯔 사 달랜다
:
그 됨됨이가 부족한 사람을 좋게 평가해 주면 우쭐하여 더욱 엉뚱하고 거슬리는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람
#
부족
#
사
#
짓
#
됨됨이
#
평가
#
엉뚱
•
곱다니까 운다
:
그 됨됨이가 부족한 사람을 좋게 평가해 주면 우쭐하여 더욱 엉뚱하고 거슬리는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람
#
부족
#
짓
#
됨됨이
#
평가
#
엉뚱
•
공자 앞에서 문자 쓴다
:
지식이 부족한 사람이 가소롭게도 자기보다 유식한 사람 앞에서 아는 체함을 이르는 말.
#
사람
#
앞
#
부족
#
지식
#
체
#
유식
#
문자
#
공자
•
쓸 줄 모르는 것이 책부터 나무란다
:
기술과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객관적인 조건만 탓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능력
#
줄
#
책
#
사람
#
부족
#
객관적
#
탓
#
기술
#
조건
•
아이들은 많고 도래떡은 적다
:
써야 할 데는 많은데 예산은 부족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예산
#
부족
#
아이들
#
도래떡
#
아이
#
떡
•
소경더러 눈멀었다 하면 노여워한다
:
사람은 자기가 알고 있는 부족한 점이라도 남이 그 결점을 들어 지적하면 싫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람
#
결점
#
부족
#
남
#
지적
#
소경
#
점
•
쭈그렁밤송이 삼 년 간다
:
부족해 보이는 것이 여간하여서 다치지 아니하기 때문에 피해를 입지 아니하고 오래 견디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때문
#
부족
#
년
#
피해
•
초미에 가오리탕
:
못마땅하게 여기거나 부족한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부족
#
사물
#
못마땅
#
초미
•
잔치날 신부를 가마에 태워 놓고 버선이 없다 한다
:
큰일을 치르면서도 그에 걸맞은 준비나 마련이 부족함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비난
#
버선
#
큰일
#
잔치날
#
부족
#
가마
#
준비
#
잔치
#
날
#
부족
함
#
마련
#
신부
•
쟁기질 못하는 놈이 소 탓한다
:
할 줄 모르는 저를 탓하지 아니하고 도구를 탓한다는 뜻으로, 자기의 능력 부족을 남의 잘못으로 돌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소
#
능력
#
경우
#
놈
#
줄
#
부족
#
도구
#
탓
#
남
#
잘못
#
쟁기질
#
저
•
영리한 고양이가 밤눈 어둡다[못 본다]
:
약빨라 실수가 없을 듯한 사람도 부족한 점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실수
#
부족
#
사람
#
있음
#
밤
#
눈
#
밤눈
#
점
#
영리
#
고양이
•
내 딸이 고와야 사위를 고르지
:
자기는 부족하고 불완전하면서 남의 완전한 것만을 구하는 것은 부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위
#
부족
#
딸
#
부당
#
불완전
#
남
#
완전
•
떡국이 농간한다
:
재질은 부족하지만 오랜 경험으로 일을 잘 감당하고 처리해 나감을 이르는 말.
#
떡국
#
일
#
부족
#
재질
#
경험
#
처리
#
감당
#
농간
•
제를 제라니 샌님 보고 벗하잔다
:
자기를 대접해서 공대를 해 주니 되지 못하게 윗사람보고 벗하며 사귀자고 한다는 뜻으로, 교양이 부족한 사람이 남들의 대접에 대하여 예의 바르게 대할 줄 모르고 공연히 우쭐대면서 건방지게 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줄
#
사람
#
부족
#
예의
#
교양
#
대접
#
공대
#
남
#
제
#
샌님
#
윗사람
#
대
#
예
•
국수를 못하는 년이 피나무 안반만 나무란다
:
자기 기술이나 능력이 부족한 것은 생각하지 않고 애매한 도구나 조건만 가지고 나쁘다고 탓함을 비꼬는 말.
#
능력
#
애매
#
생각
#
피
#
안반
#
부족
#
도구
#
탓
#
국수
#
기술
#
피나무
#
나무
#
년
#
조건
#
안
#
반
•
서투른 숙수가 (피나무) 안반만 나무란다
:
자기 기술이나 능력이 부족한 것은 생각하지 않고 애매한 도구나 조건만 가지고 나쁘다고 탓함을 비꼬는 말.
#
능력
#
애매
#
생각
#
안반
#
부족
#
도구
#
탓
#
기술
#
피나무
#
안
#
조건
#
반
•
찬밥에 국 적은 줄만 안다
:
가난한 살림에는 없는 것이 당연한 것인 줄 모르고 무엇이 부족하다고 하여 마음을 씀을 이르는 말.
#
살림
#
줄
#
국
#
부족
#
찬밥
#
가난
#
밥
#
무엇
#
당연
#
마음
•
첫맛에 가오릿국
:
못마땅하게 여기거나 부족한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국
#
부족
#
사물
#
못마땅
#
맛
•
담배는 꽁초 맛이 제일
:
무엇이든지 풍족할 때는 잘 모르나 부족하거나 없을 때에는 그 참된 맛을 더욱 느끼게 된다는 말.
#
제일
#
풍족
#
담배
#
부족
#
때
#
무엇
#
꽁초
#
맛
출처: 우리말샘
부족
스토리 보기
속담을 검색해 보세요.
(와)과 관련된
모든 속담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
부족
에 관련된
한자어
27개 더 보기
›
過猶不及(과유불급):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선진편(先進篇)>에 나오는 말이다.
›
猶爲不足(유위부족): 오히려 부족함.
›
冶家無食刀(야가무식도):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집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
부족
에 관련된
명언
16개 더 보기
›
나는 모든 논리적 잣대로 따져봤을 때, 절대 영화 배우가 되지 말았어야 하는 배우라는 특징을 가진 듯하다. 내 경력의 모든 단계에서 나는 경험이 부족했다.
-
오드리 햅번의 명언
›
능력이 부족할 수록 자만심이 더 강하다.
-
아하드 하암의 명언
›
나는 자유가 부족해서 오는 불편함보다는 자유가 넘쳐나서 오는 불편함을 겪겠다.
-
토마스 제퍼슨의 명언
⇈
G
o
o
g
l
e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