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목록에서 속담 풀이를 사진과 함께 확인 가능합니다.출처: 우리말샘
공유해 주세요. 힘이 됩니다.
:
술을 받아서 대접해 주고는 오히려 뺨을 맞는다는 뜻으로, 남을 잘 대접하고 나서 오히려 그에게 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뺨 #대접 #남 #술 :
술을 받아서 대접해 주고는 오히려 뺨을 맞는다는 뜻으로, 남을 잘 대접하고 나서 오히려 그에게 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뺨 #대접 #사 #남 #술 :
술을 사서 대접해 주고는 오히려 뺨을 맞는다는 뜻으로, 남을 잘 대접하고 나서 오히려 그에게 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뺨 #대접 #사 #사서 #남 #술 :
술을 사서 대접해 주고는 오히려 뺨을 맞는다는 뜻으로, 남을 잘 대접하고 나서 오히려 그에게 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뺨 #대접 #사서 #남 #술 :
도둑은 결코 그냥 물러서는 법이 없고 반드시 해로운 일을 하고야 만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도적 #일 #주인 #때 #돈 #뺨 #도둑 #법 :
욕을 당한 자리에서는 아무 말도 못 하고 뒤에 가서 불평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리 #행랑 #한강 #불평 #욕 #뺨 #눈 #종로 #뒤 #행 #말 :
욕을 당한 자리에서는 아무 말도 못 하고 뒤에 가서 불평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리 #서울 #송도 #불평 #시골 #욕 #뺨 #뒤 #말 :
남에게 잘해 주고도 도리어 해로움을 당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해로움 #뺨 #남 #저 #움 :
인정 없고 심술궂으며 무도한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놈 #인정 #무도 #무죄 #뺨 #짓 :
성미가 좋지 않거나 손버릇이 나쁜 친구와 함께 있다가 남에게 추궁받는 서슬에 자기도 함께 욕을 당한다는 말. #서슬 #동무 #추궁 #욕 #뺨 #손버릇 #남 #친구 #성미 :
그럴듯한 말로 꾀어서 은근히 남을 해롭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꾀 #뺨 #남 #말 #함 :
남을 위하여 좋은 일을 해 주고 도리어 욕을 보거나 화를 입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화 #욕 #뺨 #남 #떡 :
겉으로는 좋은 체하면서 실제로는 해롭게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사람 #뺨 #겉 #체 #실제 :
겉으로는 좋은 체하면서 실제로는 해롭게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뺨 #겉 #체 #실제 :
‘웃고 사람[뺨] 친다’의 북한 속담. #웃음 #사람 #낚시 #뺨 :
자기가 잘못하여 자신에게 해가 돌아오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뺨 #잘못 #저 #함 #자신 :
자기가 잘못하여 자신에게 해가 돌아오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손 #뺨 #잘못 #저 #함 #자신 :
누구한테나 겸손한 태도로 공대를 하면 남에게 봉변하지 않는다는 말. #태도 #봉변 #존대 #뺨 #공대 #남 #겸손 :
누구한테나 겸손한 태도로 공대를 하면 남에게 봉변하지 않는다는 말. #일 #태도 #봉변 #뺨 #공대 #남 #겸손 #절 :
:
중매는 함부로 할 일이 못 되며 신중히 잘해야 함을 이르는 말. #중매 #잔 #일 #뺨 #술 #대 #함 :
빚을 물지 못하는 값으로 빚진 사람의 아내를 빼앗아 간다는 뜻으로, 인정 없고 심술궂으며 무도한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놈 #인정 #무도 #사람 #무죄 #뺨 #빚 #짓 #값 #아내 :
남을 위하여 빚을 주고는 도리어 인사는 고사하고 뺨을 얻어맞게 되었다는 뜻으로, 남을 위하여 노력하거나 후하게 대접하고는 오히려 봉변을 당하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고사 #봉변 #인사 #뺨 #대접 #남 #빚 #후 #노력 :
쓸모없어 보이던 구레나룻도 뺨을 맞을 경우에는 아픔을 덜어 준다는 뜻으로, 아무 소용 없는 듯한 물건이 뜻밖에 도움을 주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뜻 #소용 #쓸모 #뺨 #구레나룻 #부조 #도움 #물건 :
이왕 꾸지람을 듣거나 벌을 받을 바에는 권위 있고 덕망 있는 사람에게 당하는 것이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바 #이왕 #사람 #손 #벌 #뺨 #덕망 #꾸지람 #권위 :
죄를 지어 마땅히 벌을 받아야 할 사람이 처분을 기다리지 아니하고 도리어 제 좋을 대로 요구함을 비웃는 말. #놈 #저기 #처분 #사람 #때 #벌 #뺨 #요구 #저 #대 #죄 :
뺨 잘 때리기로는 나막신 신은 깍정이를 따라잡을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되지 못하고 비열한 자가 도리어 잘난 체하며 남을 몹시 학대한다는 말. #학대 #신 #사람 #뺨 #체 #남 #자 #나막신 :
남을 위하여 좋은 일을 해 주고 도리어 피해를 입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뺨 #밥 #주걱 #남 #피해 :
가을걷이가 끝난 밭은 밟아 주는 것이 좋고, 봄에 녹아서 부푼 밭은 밟으면 안 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밭 #가을걷이 #세 #뺨 #가을밭 #가을 #개요 #개 #떡 #봄 :
좀 무안하더라도 사실을 사실대로 말해야지 거짓말을 하면 안 된다는 말. #뺨 #거짓말 #무안 #사실 #말 :
‘서울서 매[뺨] 맞고 송도서[시골에서] 주먹질한다’의 북한 속담. #고개 #성 #서울 #송도 #시골 #뺨 #주먹질 :
욕을 당한 자리에서는 아무 말도 못 하고 뒤에 가서 불평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영 #자리 #집 #불평 #계집 #욕 #뺨 #뒤 #말 :
곤란한 처지에 있는데 더욱 곤란한 일을 당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놈 #곤란 #뺨 #처지 :
아이가 울려고 할 때 잘 달래지는 않고 뺨을 치면 울음은 크게 터진다는 뜻으로, 일이 좀 틀어져 가려고 할 때 오히려 더 충동하여 더욱 큰 분란을 일으키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때 #뺨 #아이 #충동 #분란 #울음 :
아무렇지도 않은 일을 공연히 건드려서 걱정을 일으킨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걱정 #일 #뺨 #아이 :
:
일제 강점기에, 일본 사람이 툭하면 무고한 우리나라 사람을 때리고 업신여겼던 것을 증오하여 이르는 말. #우리나라 #신 #사람 #때 #뺨 #일본 #나라 #증오 #나막신 #무 :
집 밖에서 남에게 뺨을 얻어맞고 집에 돌아와 구들 위에 이불 쓰고 누워서 그 분풀이로 발로 이불을 차고 있다는 뜻으로, 욕을 당한 그 자리에서는 꼼짝하지 못하고 있다가 엉뚱한 데서 새삼스럽게 분풀이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리 #밖 #우 #위 #집 #욕 #구 #뺨 #구들 #이불 #발 #남 #꼼짝 #엉뚱 :
‘뺨을 맞아도 은가락지 낀 손에 맞는 것이 좋다’의 북한 속담. #바 #은 #손 #뺨 #가락지 #매 #은가락지 :
눈이 멀어 앞을 못 보는 사람은 앞에서 뺨을 치고 뒤보느라고 쭈그리고 앉은 사람은 뒷골을 친다는 뜻으로, 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어진 조건에 맞게 처리하거나 행동하여야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성과 #놈 #대상 #골 #앞 #사람 #뺨 #고려 #뒷골 #있음 #눈 #뒤 #조건 #처리 #특성 #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