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속담 총 198 개
- 식전 마수에 까마귀 우는 소리 : 매우 불길한 조짐이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든 호박잎 같은 소리 : 패기나 의욕이 없는 이야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조를 하느냐 양시조를 하느냐 : 쓸데없는 소리를 중얼거리는 사람에게 비난조로 이르는 말.
- 더운밥 먹고 식은 소리 한다 : 쓸데없이 실없는 싱거운 소리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말로는 사람의 속을 모른다 : 말로는 별의별 소리를 다 할 수 있으므로 말을 들어서는 그 사람의 속마음을 알 수 없다는 말.
- 외짝손으로 소리 내지 못한다 : 상대 없는 분쟁이 없음을 이르는 말.
- 말로는 속여도 눈길은 속이지 못한다 : 말로는 별의별 소리로 사람을 속일 수 있으나 눈길에 나타나는 것은 속일 수 없다는 뜻으로, 사람의 마음이 눈길에 그대로 드러남을 이르는 말.
- 두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 : 무슨 일이든지 두 편에서 서로 뜻이 맞아야 이루어질 수 있다는 말.
- 없는 놈이 우는소리 하면 있는 놈도 우는소리 한다 : 남보다 많이 가진 사람들이 더 깍쟁이 노릇을 한다는 말.
- 손바닥에서 자갈 소리 난다 : 손바닥이 굳어져서 비빌 때 나는 소리가 자갈 만지는 것 같다는 뜻으로, 노동으로 손바닥이 굳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든에 이 앓는 소리 : 무엇이라고 흥얼거리기는 하나 무슨 말인지 똑똑지 않은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삶은 호박[무]에 이(도) 안 들 소리 : 삶아 놓아서 물렁물렁한 호박에 송곳이 안 들어갈 리가 없다는 뜻으로, 전혀 사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든에 이 앓는 소리 : 무엇이라고 말을 하기는 하나 별로 신기할 것이 없는 의견인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름벌레가 얼음을 얘기한다 : 제 처지에 맞지 않는 엉뚱한 소리를 함을 비꼬는 말.
- 솔잎이 버썩하니 가랑잎이 할 말이 없다 : 버썩 소리를 낼 리 없는 솔잎이 버썩하니 버썩 소리를 잘 내는 가랑잎이 어이가 없어 아무 소리도 내지 못한다는 뜻으로, 자기보다 정도가 덜한 사람이 먼저 야단스럽게 떠들어 대니 정작 큰 걱정거리가 있는 사람은 너무나 어이가 없어 할 말이 없게 됨을 이르는 말.
- 송장 먹은 까마귀 소리 : 매우 질이 나쁜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못된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까마귀 송장 먹은 소리 : 매우 질이 나쁜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못된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쇠라도 맞부딪쳐야 소리가 난다 : 서로 맞부딪쳐야 소리가 나지 한쪽이라도 가만히 있으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한쪽이라도 맞서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싸움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염병에 까마귀 소리 : 불길하여 귀에 아주 거슬리는 소리를 이르는 말.
- 돌림병에 까마귀 울음 : 불길하여 귀에 아주 거슬리는 소리를 이르는 말.
- 떡방아 소리 듣고 김칫국 찾는다 : 해 줄 사람은 생각지도 않는데 미리부터 다 된 일로 알고 행동한다는 말.
- 앞집 떡 치는 소리 듣고 김칫국부터 마신다 : 해 줄 사람은 생각지도 않는데 미리부터 다 된 일로 알고 행동한다는 말.
- 까마귀가 열두 번 울어도 까옥 소리뿐이다 : 미운 사람이 하는 일은 하나부터 열까지 다 밉기만 함을 이르는 말.
- 까마귀 소리 열 소리에 한마디 신통한 소리 없다 : 미운 사람이 하는 일은 하나부터 열까지 다 밉기만 함을 이르는 말.
- 까마귀 열두 소리에 하나도 좋지 않다 : 미운 사람이 하는 일은 하나부터 열까지 다 밉기만 함을 이르는 말.
- 까마귀 열두 소리 하나도 들을 것 없다 : 미운 사람이 하는 일은 하나부터 열까지 다 밉기만 함을 이르는 말.
- 까마귀 하루에 열두 마디를 울어도 송장 먹는 소리 : 미운 사람이 하는 일은 하나부터 열까지 다 밉기만 함을 이르는 말.
- 까마귀 아래턱이 떨어질 소리 : 상대편으로부터 천만부당한 말을 들었을 경우에 어처구니없어 그런 소리 말라고 이르는 말.
- 까마귀 열두 가지 소리 다 잘해도 마지막에는 저 맞아 죽을 소리 한다 : ‘까마귀가 열두 번 울어도 까옥 소리뿐이다’의 북한 속담.
-
범도 제 소리 하면 오고 사람도 제 말 하면 온다
: 다른 사람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데 공교롭게 그 사람이 나타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까막까치 소리를 다 하다
: 까마귀와 까치가 울어 대듯 시끄럽게 할 소리, 못할 소리를 다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까치 배 바닥[배때기] 같다
: 실속 없이 흰소리를 잘하는 것을 비웃는 말.
-
까치 배 바닥같이 흰소리한다
: ‘까치 배 바닥[배때기] 같다’의 북한 속담.
-
꽃은 웃어도 소리가 없고 새는 울어도 눈물이 없다
: 겉으로 표현은 안 하지만 마음속으로는 느끼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꽃은 웃어도 소리가 없고 새는 울어도 눈물이 없다
: 마음에 없는 행동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꿀컥 소리도 못하다
: 기가 질려 아무 소리도 내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꿈에 넋두리로 안다
: 잠꼬대와 같은 소리로 취급하여 대수롭지 않게 여김을 비꼬는 말.
-
꿈에 떡 같은 소리
: 꿈속에서 떡을 얻거나 먹었다는 허황된 소리라는 뜻으로, 하나도 들을 가치가 없는 허튼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모기도 모이면 천둥소리 난다
: 보잘 것 없이 작고 약한 것이라도 많이 모이면 큰 힘을 낼 수 있다는 말.
-
낡은 터에서 이밥 먹던 소리 한다
: 때와 환경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엉뚱한 말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목마른 사람에게 물소리만 듣고 목을 축이라 한다.
: 말만 달콤하게 하지 아무런 실속 있는 대책을 세워 주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아이 한 번 때리나 열 번 때리나 때렸단 소리 듣기는 마찬가지다
: 잘못을 한 번 저지르나 여러 번 저지르나 잘못하였다는 말을 듣기는 매한가지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아이 한 번 때리나 열 번 때리나 때렸단 소리 듣기는 마찬가지다
: 이러나저러나 매한가지인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시 이 앓는 소리
: 내시가 거세를 하여 가늘어진 목청으로 이앓이를 한다는 뜻으로, 맥없이 지루하게 흥얼거리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네 개 짖는 소리(만 못하게 여긴다)
: 남이 하는 말을 무시하여 들은 체도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지섣달에 베잠방이를 입을망정 다듬이 소리는 듣기 싫다
: 다듬이질 소리는 매우 듣기 싫은 소리임을 이르는 말.
-
동지섣달에 베잠방이를 입을망정 다듬이 소리는 듣기 싫다
: 들볶이면서 대접을 받느니보다 고생스러워도 마음 편안히 지내는 것이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두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
: 서로 똑같기 때문에 말다툼이나 싸움이 된다는 말.
-
먹지 않는 씨아에서 소리만 난다
: 못난 사람일수록 잘난 체하고 큰소리를 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못 먹는 씨아가 소리만 난다
: 못난 사람일수록 잘난 체하고 큰소리를 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들지 않는 솜틀은 소리만 요란하다
: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서 하는 체하고 떠벌리기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먹지 않는 씨아에서 소리만 난다
: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서 하는 체하고 떠벌리기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뚝배기 깨지는 소리
: 음성이 곱지 못하고 탁한 것을 이르는 말.
-
뚝배기 깨지는 소리
: 잘 못하는 노래나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뜨물 먹은 당나귀 청
: 컬컬하게 쉰 목소리로 소리 지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모주 먹은 돼지 껄때청
: 컬컬하게 쉰 목소리로 소리 지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외손뼉이 못 울고 한 다리로 가지 못한다
: 두 손뼉이 마주쳐야 소리가 나지 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일은 상대가 같이 응하여야지 혼자서만 해서는 잘되는 것이 아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외손뼉이 울랴
: 두 손뼉이 마주쳐야 소리가 나지 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일은 상대가 같이 응하여야지 혼자서만 해서는 잘되는 것이 아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외손뼉이 울지 못한다
: 두 손뼉이 마주쳐야 소리가 나지 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일은 상대가 같이 응하여야지 혼자서만 해서는 잘되는 것이 아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늦은 밥 먹고 파장(罷場) 간다
: 범두와 소리를 하고 다니는 순라군이 밤에는 다니지 아니하고 날이 밝아서야 비로소 일어나 다닌다는 뜻으로, 때가 이미 늦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입은 여럿인데 한소리
: 마음이 맞고 다른 의견이 없음을 이르는 말.
-
입찬소리는 무덤 앞에 가서 하라
: 자기를 자랑하며 장담하는 것은 죽고 나서야 하라는 뜻으로, 쓸데없는 장담은 하지 말라는 말.
-
찬 소리는 무덤 앞에 가 하여라
: 자기를 자랑하며 장담하는 것은 죽고 나서야 하라는 뜻으로, 쓸데없는 장담은 하지 말라는 말.
-
좋은 말[소리]도 세 번 하면 듣기 싫다
: ‘좋은 노래도 세 번 들으면 귀가 싫어한다’의 북한 속담.
-
귀신 듣는 데 떡 소리 한다
: 듣고 썩 좋아할 이야기를 그 사람 앞에서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죽 먹는다는 소리 하면 죽 먹게 되고 못산다는 소리 하면 못살게 된다
: 쓸데없이 궁한 소리를 자꾸 하지 말라는 말.
-
죽은 고양이가 산 고양이 보고 아웅 한다
: 전혀 사리에 맞지 아니하면서 있을 수도 없는 소리를 하는 경우를 비꼬는 말.
-
죽지 않으면 살 소리
: 들어 봤자 죽을 소리 아니면 살 소리라는 뜻으로, 들으나 마나 한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범도 제 말[소리] 하면 온다
: 깊은 산에 있는 호랑이조차도 저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찾아온다는 뜻으로, 어느 곳에서나 그 자리에 없다고 남을 흉보아서는 안 된다는 말.
-
활(이) 나간다 총(이) 나간다
: 이것저것 가리지 아니하고 큰 소리로 야단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치마에서 비파 소리가 난다
: 아주 바쁘게 싸대어 조금도 앉아 있을 겨를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궁둥이에서 (비파) 소리가 난다
: 아주 바쁘게 싸대어 조금도 앉아 있을 겨를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림 반 닷곱 없는 소리 한다
: 어림잡아 반에 다섯 홉이 모자라는 소리를 한다는 뜻으로, 조금도 이치에 맞지 아니하는 소리를 한다는 말.
-
큰북에서 큰 소리 난다
: 크고 훌륭한 데서라야 무엇이나 좋은 일이 생길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아니 때린 장구 북소리 날까
: 원인이 없으면 결과가 있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불탄 강아지 앓는 소리
: 불에 타서 죽어 가는 강아지의 울음소리라는 뜻으로, 기력이 다하여 소리도 제대로 못 내고 앓는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비 맞은 중놈 중얼거리듯
: 남이 알아듣지 못할 정도로 낮은 소리로 불평 섞인 말을 중얼거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비 맞은 중 담 모퉁이 돌아가는 소리
: 남이 알아듣지 못할 정도로 낮은 소리로 불평 섞인 말을 중얼거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비파 소리가 나도록 갈팡질팡한다
: 바짓가랑이에서 비파 소리가 나도록 급하게 오고 가고 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당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고 쩔쩔매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빈 깡통이 소리는 더 난다[요란하다]
: ‘빈 수레가[달구지가] 요란하다’의 북한 속담.
-
속이 빈 깡통이 소리만 요란하다
: 실속 없는 사람이 겉으로 더 떠들어 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빌어는 먹어도 다리아랫소리 하기는 싫다
: 아무리 궁핍하여도 비굴하게 남에게 아첨하거나 빌붙기는 싫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타구니에 방울 소리가 나도록
: 아주 급하게 뛰어가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삼 년 묵은 말가죽도 오롱조롱 소리 난다
: 봄이 되어 만물이 다시 활동하기 시작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물이 깊을수록 소리가 없다
: 덕이 높고 생각이 깊은 사람은 겉으로 떠벌리고 잘난 체하거나 뽐내지 않는다는 말.
-
밑천 먹는 소리
: 밑천을 들여서 배운 소리라는 뜻으로, 값이 있거나 수준이 있는 말이나 노랫소리를 이르는 말.
-
바지가랭이에서 비파 소리가 난다
: 매우 바삐 진행되거나 움직이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바지가랭이에서 비파 소리가 난다
: 어찌나 빠르게 걷는지 무릎을 꺾을 사이도 없이 마치 바짓가랑이에 자개바람이 일어난 것처럼 걷는다는 뜻으로, 매우 빨리 걷는 모양을 이르는 말.
-
받는 소는 소리 치지 않는다
: 능히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은 공연한 큰소리를 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밤눈 어두운 말이 워낭 소리 듣고 따라간다
: 밤눈이 어두운 말이 자기 턱 밑에 달린 쇠고리의 소리를 듣고 따라간다는 뜻으로, 맹목적으로 남이 하는 대로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방 안에 앉아 한데 소리 한다
: ‘방 안 풍수(風水)’의 북한 속담.
-
방울 소리만 듣고 따라가는 눈먼 강아지
: 자기의 주견이 없이 남이 하자는 대로만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괴 불알 앓는 소리
: 쉴 새 없이 듣기 싫게 중얼거리는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국사당에 가 말하듯
: 국사당에 가서 무엇을 빌 때 말하는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옆에서 잘 알아듣지도 못하는 소리를 중얼중얼하며 길게 외운다는 말.
-
귀신 듣는 데서는 떡 소리도 못 하겠다
: 무슨 말이 떨어지기 무섭게 그것을 해 줄 것을 요구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 조용하게 몇 사람이 수군거리는 소리를 비꼬는 말.
-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 분명하지 아니하게 우물우물 말하는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 이치에 닿지 않는 엉뚱하고 쓸데없는 말.
-
고려 적 잠꼬대 (같은 소리)
: 현실과 전혀 동떨어진, 말 같지 아니한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양이 간 골에 쥐 죽은 듯
: 고양이 소리만 나도 쥐가 옴짝달싹 못하고 죽은 듯이 조용하다는 데서, 겁이 나거나 놀라서 숨을 죽이고 꼼짝 못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 #소리에 관한 198개의 속담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초성이 같은 단어들
•
ㅅ
ㄹ
(총 660개)
:
사라, 사락, 사란, 사람, 사랍, 사랑, 사랖, 사래, 사램, 사략, 사량, 사레, 사려, 사력, 사련, 사렬, 사렴, 사렵, 사령, 사례, 사로, 사록, 사론, 사롬, 사롭, 사롱, 사료, 사룡, 사루, 사룩, 사룻, 사룽, 사류, 사륙, 사륜, 사륵, 사름, 사릅, 사릉, 사릋, 사리, 사린, 사림, 사립, 삭로, 삭료, 삭름, 삭립, 삭릿, 산락, 산란, 산랑, 산략, 산량, 산력, 산령, 산로, 산록, 산뢰, 산료, 산류, 산륜, 산릉, 산리, 산림, 산립, 살랑, 살래, 살략, 살럼, 살레, 살렘, 살렙, 살렴, 살로, 살롤, 살롱, 살륙, 살릭, 살림, 삼라, 삼락, 삼략, 삼량, 삼력, 삼련, 삼렬, 삼령, 삼례, 삼로, 삼록, 삼론, 삼롱, 삼뢰, 삼룡, 삼루, 삼류, 삼륜, 삼릉, 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