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는 말
끝나는 말
초성(ㅊㅅ)
국어 사전
속담
한자어
사진과 명언
포함하는 말
속담을 검색해 보세요.
(와)과 관련된
시비
에 관한 속담 총 21 개
아래의 목록에서 속담 풀이를 사진과 함께 확인 가능합니다.
출처: 우리말샘
공유해 주세요. 힘이 됩니다.
아래 주소를 공유해주시면 좋습니다.
회오리밤 벗듯
:
남이 시비할 여지가 없이 사람됨이 원만하다는 말.
#
원
#
사람됨
#
시비
#
밤
#
남
#
여지
남의 말이라면 쌍지팡이 짚고 나선다
:
남의 허물에 대하여 시비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허물
#
시비
#
사람
#
지팡이
#
남
#
말
동정호 칠백 리를 훤화 사설한다
:
아무 상관도 없는 일에 간섭하며 당치도 아니한 시비를 따지고 떠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
#
동정호
#
백
#
시비
#
간섭
#
상관
#
치도
#
당
#
당치
#
사설
#
칠
#
리
한 푼 돈에 살인 난다
:
많지도 아니한 돈의 시비 끝에 큰일이 날 수도 있다는 말.
#
큰일
#
시비
#
돈
#
끝
#
날
#
푼
#
살인
콩이야 팥이야 한다
:
콩의 싹이나 팥의 싹이나 거의 비슷한데도 그것을 구별하느라 언쟁하는 것과 같이, 대수롭지 아니한 일을 가지고 서로 시비를 다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일
#
언쟁
#
시비
#
싹
#
구별
#
팥
#
그것
#
콩
콩 심어라 팥 심어라 한다
:
대수롭지 아니한 일을 가지고 지나칠 정도로 세세한 구별을 짓거나 시비를 가려 간섭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
#
시비
#
간섭
#
구별
#
팥
#
정도
#
콩
#
세세
방에서는 매부 말이 옳고 부엌에 가면 누이 말이 옳다
:
양편의 말이 모두 일리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가 어려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방
#
양편
#
매부
#
시비
#
부
#
누이
#
부엌
#
말
#
일리
안방에 가면 시어머니 말이 옳고 부엌에 가면 며느리 말이 옳다
:
양편의 말이 모두 일리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가 어려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며느리
#
양편
#
시비
#
부엌
#
말
#
안방
#
일리
#
시어머니
계집의 주둥이는 사기 접시를 뒤집어 놓는다
:
여자들의 말시비가 사기 접시까지 뒤집힐 정도로 심하다는 말.
#
사기
#
주둥이
#
여자
#
계집
#
시비
#
정도
#
말
#
접시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
:
가루는 체에 칠수록 고와지지만 말은 길어질수록 시비가 붙을 수 있고 마침내는 말다툼까지 가게 되니 말을 삼가라는 말.
#
가루
#
말
#
시비
#
가게
#
체
#
칠
#
말다툼
하늘에 돌 던지는 격
:
상대가 되지도 아니하는 보잘것없는 사람이 건드려도 꿈쩍도 아니 할 대상에게 무모하게 시비를 걸며 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하늘
#
격
#
대상
#
사람
#
시비
#
욕
#
무모
#
상대
하늘에 막대 겨루기
:
상대가 되지도 아니하는 보잘것없는 사람이 건드려도 꿈쩍도 아니 할 대상에게 무모하게 시비를 걸며 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하늘
#
대상
#
사람
#
시비
#
욕
#
무모
#
상대
상주 보고 제삿날 다툰다
:
제삿날을 가장 잘 알고 있을 상주와 제삿날을 가지고 시비한다는 뜻으로, 어떤 방면에 아주 잘 아는 사람을 상대로 어리석게 제 의견을 고집함을 비웃는 말.
#
시비
#
의견
#
사람
#
고집
#
방면
#
저
#
상주
#
제삿날
#
상대
서까랫감인지 도릿감인지도 모르고 길다 짧다 한다
:
서까래로 쓸 것인지 도리로 쓸 것인지도 모르면서 기니 짧으니 하며 시비한다는 뜻으로, 일의 내용도 모르면서 이러쿵저러쿵 시비함을 이르는 말.
#
일
#
내용
#
시비
#
도리
#
서까래
세 닢짜리 십만 냥짜리 흉본다
:
하찮은 존재가 감히 비교도 할 수 없는 대상을 흉보거나 시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닢
#
대상
#
시비
#
존재
#
비교
#
냥
지는 게 이기는 거다
:
맞설 형편이 못 되는 아주 수준이 어린 상대한테 옥신각신 시비를 가리기보다 아량 있고 너그럽게 대하면서 양보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승리하는 것임을 이르는 말.
#
형편
#
아량
#
승리
#
시비
#
옥신각신
#
수준
#
상대
#
양보
#
거
콩 났네 팥 났네 한다
:
콩의 싹이나 팥의 싹이나 거의 비슷한데도 그것을 구별하느라 언쟁하는 것과 같이, 대수롭지 아니한 일을 가지고 서로 시비를 다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일
#
언쟁
#
시비
#
싹
#
구별
#
팥
#
그것
#
콩
글에서 잘되고 못된 것은 내게 달렸고 시비하고 칭찬하는 것은 남에게 있다
:
글을 잘 짓고 못 짓는 것은 전적으로 자신의 준비 정도와 재능에 달려 있는 것이지만 그 결과에 대한 평가는 다른 사람에게 달려 있다는 뜻으로, 자신은 그저 일이 잘되도록 있는 힘을 다할 뿐 자기가 한 일에 대하여 스스로 남 앞에서 잘되었다고 자랑하지 말라는 말.
#
일
#
재능
#
사람
#
앞
#
준비
#
시비
#
뿐
#
힘
#
자랑
#
평가
#
남
#
전적
#
글
#
결과
#
정도
#
말
#
칭찬
#
자신
하늘 보고 손가락질한다[주먹질한다]
:
상대가 되지도 아니하는 보잘것없는 사람이 건드려도 꿈쩍도 아니 할 대상에게 무모하게 시비를 걸며 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하늘
#
대상
#
사람
#
시비
#
욕
#
손가락
#
무모
#
상대
상제와 젯날 다툰다
:
제삿날을 가장 잘 알고 있을 상주와 제삿날을 가지고 시비한다는 뜻으로, 어떤 방면에 아주 잘 아는 사람을 상대로 어리석게 제 의견을 고집함을 비웃는 말.
#
시비
#
의견
#
사람
#
상제
#
고집
#
방면
#
저
#
상주
#
제삿날
#
상대
장비는 만나면 싸움
:
만나기만 하면 시비를 걸고 싸우려고 대드는 사람을 이르는 말.
#
시비
#
싸움
#
장비
#
사람
모든 속담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시비
에 관련된
한자어
17개 더 보기
兼聽則明(겸청즉명): 여러 사람의 의견(意見)을 들어 보면 시비(是非)를 정확하게 판단(判斷)할 수 있음.
賊反荷杖(적반하장):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이르는 말.
兩是雙非(양시쌍비): (1)‘양시쌍비’의 북한어. (2)양편의 주장이 다 이유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 어려움.
G
o
o
g
l
e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