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아트
시작
끝
초성
사전
속담
한자
명언
포함
사투리
+
아들
에 관한 속담 총 52 개
•
효부 없는 효자 없다
:
며느리가 착하고 시부모께 효성스러워야 아들도 효도하게 된다는 말.
#
며느리
#
시부모
#
효성
#
효부
#
아들
#
효자
#
효도
•
막내아들이 첫아들이라
:
무엇이든지 맨 나중 것이 가장 소중히 여겨진다는 말.
#
첫
아들
#
아들
#
무엇
#
나중
•
막내아들이 첫아들이라
:
단 하나밖에 없다는 말.
#
첫
아들
#
아들
•
여든에 낳은 아들인가
:
자기 아이를 지나치게 귀여워함을 비꼬는 말.
#
아이
#
여든
#
아들
•
영감 밥은 누워 먹고 아들 밥은 앉아 먹고 딸의 밥은 서서 먹는다
:
남편 덕에 먹고사는 것이 가장 편하고, 아들의 부양을 받는 것은 그보다 편하지 않으며, 시집간 딸의 집에 붙어사는 것은 어렵다는 말.
#
영감
#
덕
#
남편
#
집
#
딸
#
아들
#
밥
#
부양
•
오이 덩굴에서 가지 열리는 법은 없다
:
그 아버지에 그 아들밖에 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아들
#
덩굴
#
아버지
#
법
#
날
#
오이
#
가지
•
꽃이 먼저 피고 열매는 나중 맺는다
:
딸을 먼저 낳고 다음에 아들을 낳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딸
#
아들
#
꽃
#
열매
#
나중
#
다음
•
남의 열 아들 부럽지 않다
:
자기 자식이 남이 아들을 많이 둔 것에 못지않거나 그보다 낫다는 말.
#
자식
#
아들
#
열
#
남
•
낳은 아이 아들 아니면 딸이지
:
둘 가운데에 하나라는 말.
#
둘
#
가운데
#
딸
#
아들
#
아이
•
네 아들 형제가 내 아들 하나만 못하다
:
남의 아들 둘을 데려와도 내 아들 하나만 못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자기 아들이 잘났다고 여기는 부모의 심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심정
#
형제
#
둘
#
아들
#
남
#
부모
•
동네마다 후레아들 하나씩 있다
:
사람이 모여 사는 곳에는 반드시 악한 사람도 섞여 있기 마련이라는 말.
#
악
#
사람
#
아들
#
동네
#
마련
#
후
•
동네마다 후레아들 하나씩 있다
:
많은 것 가운데는 좋은 것도 있지만 나쁜 것도 있다는 말.
#
가운데
#
아들
#
동네
#
후
•
두벌자식이 더 곱다
:
아들보다 손자가 더 귀여움을 이르는 말.
#
손자
#
자식
#
아들
•
딸 손자는 가을볕에 놀리고 아들 손자는 봄볕에 놀린다
:
딸 손자를 아들 손자보다 더 귀엽게 여긴다는 말.
#
손자
#
딸
#
아들
#
가을
#
봄볕
#
볕
#
가을볕
•
딸은 두 번 서운하다
:
딸은 태어날 때 아들이 아니라 서운하고, 시집보낼 때도 서운하다는 말.
#
때
#
번
#
서운
#
딸
#
아들
•
딸은 예쁜 도적
:
딸은 키울 때나 출가한 후에도 아들보다 더 돈이 들고 친정집 세간도 축내지만, 딸에 대한 애정이 커서 그것이 도리어 예쁘게만 보임을 이르는 말.
#
도적
#
친정집
#
출가
#
때
#
세간
#
돈
#
아들
#
딸
#
그것
#
후
#
애정
•
딸자식 길러 시집보내면 륙촌이 된다
:
딸과 아들을 혼인시키고 나면 관계가 멀어진다는 말.
#
딸
#
아들
#
관계
#
딸자식
#
혼인
•
아들은 말 태워 놓으면 사촌 되고 딸은 시집보내면 륙촌 된다
:
딸과 아들을 혼인시키고 나면 관계가 멀어진다는 말.
#
시집
#
사촌
#
딸
#
아들
#
관계
#
혼인
#
말
•
아들도 말 태워 놓으면 사촌 된다
:
딸과 아들을 혼인시키고 나면 관계가 멀어진다는 말.
#
사촌
#
딸
#
아들
#
관계
#
혼인
#
말
•
일 잘하는 아들 낳지 말고 말 잘하는 아들 낳으라
:
말을 잘하면 남들과 사귀면서 살아가는 데 유리함을 이르는 말.
#
일
#
아들
#
남
#
말
•
한 아들에 열 며느리
:
부모들이 흔히 아들이 여러 첩을 거느리는 것을 말리지 아니할 때 쓰는 말.
#
부모들
#
며느리
#
때
#
아들
#
열
#
부모
#
첩
#
리
•
한 아들에 열 며느리
:
아들이 첩을 여럿 얻어도 그 며느리들이 밉지 아니하다는 말.
#
며느리
#
첩
#
아들
#
열
#
여럿
•
형 미칠 아우 없고 아비 미칠 아들 없다
:
아우가 아무리 잘났어도 형만 못하고 아들이 아무리 잘났어도 아비만 못하다는 말.
#
아비
#
아우
#
아들
#
형
•
기른 개가 아들 불알 잘라 먹는다
:
은혜를 베푼 사람으로부터 큰 화를 입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화
#
불알
#
사람
#
아들
#
개가
#
은혜
#
개
•
발이 의붓자식[맏아들,효도 자식]보다 낫다
:
성한 발이 있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구경도 할 수 있고 맛있는 음식도 먹을 수 있다는 말.
#
자식
#
구경
#
아들
#
맏
아들
#
발
#
음식
#
효도
#
여기저기
•
다리뼈가 맏아들이라
:
성한 발이 있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구경도 할 수 있고 맛있는 음식도 먹을 수 있다는 말.
#
뼈
#
구경
#
아들
#
맏
아들
#
다리
#
발
#
음식
#
여기저기
•
정강이가 맏아들보다 낫다
:
성한 발이 있으면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구경도 할 수 있고 맛있는 음식도 먹을 수 있다는 말.
#
구경
#
아들
#
맏
아들
#
정강이
#
발
#
음식
#
여기저기
•
배 안의 아이 아들 아니면 딸이다
:
쓸데없는 걱정을 하는 경우를 핀잔하는 말.
#
경우
#
걱정
#
핀잔
#
쓸데
#
딸
#
아들
#
아이
#
배
#
안
•
어린 아들 굿에 간 어미 기다리듯
:
떡을 가지고 올까 하고 굿에 간 어미를 기다리는 아이처럼, 어떤 일에 희망이 있을 때 몹시 초조하게 기다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
#
때
#
희망
#
아들
#
굿
#
간
#
아이
#
어미
#
초조
#
떡
•
그 아버지에 그 아들
:
아들이 여러 면에서 아버지를 닮았을 경우를 이르는 말.
#
경우
#
아들
#
면
•
그 어머니에 그 아들[딸]
:
아들딸의 재능이나 행실이 자기 어머니를 닮았을 경우를 이르는 말.
#
경우
#
행실
#
아들
딸
#
재능
#
딸
#
아들
#
어머니
•
가난이 소 아들만도[아들보다] 못하다
:
가난하여 받는 천대와 멸시는 소 새끼들의 처지보다도 못하다는 뜻으로, 가난한 처지나 신세를 한탄하여 이르는 말.
#
소
#
신세
#
새끼
#
아들
#
천대
#
멸시
#
가난
#
한탄
•
가난이 소 아들이라
:
소처럼 죽도록 일해도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소
#
아들
#
가난
•
아들네 집 가 밥 먹고 딸네 집 가 물 마신다
:
흔히 딸 살림살이를 더 아끼고 위하여 주는 부모의 심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심정
#
살림살이
#
집
#
위
#
딸
#
아들
#
물
#
밥
#
부모
•
아들 못난 건 제집만 망하고 딸 못난 건 양 사돈이 망한다
:
여자가 못되어 먹으면 친가와 시가가 모두 망하게 된다는 말.
#
여자
#
딸
#
아들
#
사돈
#
친가
#
망
#
양
#
시가
#
건
#
제집
•
팔자가 사나우니까 의붓아들이 삼 년 맏이라
:
닥친 일이 여의치 못함을 탄식하여 이르는 말.
#
일
#
아들
#
맏이
#
팔자
#
년
#
탄식
•
아비 아들 범벅 금 그어 먹어라
: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한계를 분명히 해야 함을 이르는 말.
#
사이
#
아들
#
사
#
금
#
한계
#
범벅
#
아비
#
함
•
뱁새가 수리를 낳는다
:
못난 어버이한테서 훌륭한 아들이 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뱁새
#
어버이
#
훌륭
#
아들
#
수리
•
아침 아저씨 저녁 소 아들
:
농가에서 한창 바쁠 때 머슴의 비위를 맞추려고 아침에는 대접을 잘하지만 저녁에 일 끝나고 돌아오면 대접은커녕 함부로 대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소
#
일
#
때
#
농가
#
아저씨
#
아들
#
대접
#
저녁
#
아침
#
머슴
#
비위
•
아침 아저씨 저녁 소 아들
:
자신의 이해관계에 따라 일시 아첨하다가 일이 끝나면 짐승만큼도 여기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소
#
이해관계
#
일
#
아저씨
#
아들
#
일시
#
짐승
#
저녁
#
아첨
#
아침
#
자신
•
부잣집 가운데 자식 (같다)
:
부잣집 둘째 아들이 흔히 무위도식하며 방탕하다는 데서, 일은 하지 아니하고 놀고먹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
#
자식
#
가운데
#
사람
#
무위도식
#
아들
#
부잣집
#
놀고먹
#
방탕
•
천둥 우는 날에 낳은 아들이냐
:
몹시 부산하게 구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부산
#
사람
#
놀림
#
아들
#
천둥
#
날
•
장날이 맏아들보다 낫다
:
많은 것을 구할 수 있는 장날이 아들의 손을 빌어 무언가를 얻는 것보다 나음을 이르는 말.
#
손
#
아들
#
맏
아들
#
장날
#
무언가
•
재롱받이 아들 손자쯤으로 보듯
:
누구를 몹시 사랑하고 귀여워함을 이르는 말.
#
손자
#
아들
#
사랑
•
영감님 주머니 돈은 내 돈이요 아들 주머니 돈은 사돈네 돈이다
:
남편이 버는 돈은 마음대로 할 수 있지만 아들이 버는 돈은 며느리가 주관하므로 어찌할 수 없다는 말.
#
남편
#
영감
#
며느리
#
사돈네
#
돈
#
아들
#
주머니
#
사돈
#
어찌
#
주관
#
마음
•
내 발등의 불을 꺼야 아비[아들] 발등의 불을 끈다
:
급할 때에는 다른 사람의 일보다도 자기에게 닥친 위험이나 바쁜 일부터 막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
#
위험
#
때
#
사람
#
아들
#
불
#
급
#
발등
#
아비
•
네 아들 형제가 내 아들 하나만 못하다
:
남의 아들이 아무리 많아도 자기에게는 소용이 없다는 뜻으로, 필요한 물건이나 조건이 제게 꼭 갖추어져야 제 일이 수월하게 풀려나갈 수 있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
#
수월
#
형제
#
소용
#
아들
#
필요
#
남
#
제
#
저
#
조건
#
물건
•
이발이 맏아들보다 낫다
:
‘이가 자식보다 낫다’의 북한 속담.
#
이발
#
자식
#
아들
#
맏
아들
•
그 애비에 그 아들 그 남편에 그 녀편네
:
아들이 못된 제 아비를 닮고 아내가 제 남편을 닮아서 못된 짓을 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경우
#
남편
#
편
#
아들
#
녀편네
#
짓
#
저
#
아비
#
애비
#
아내
•
아버지는 아들이 잘났다고 하면 기뻐하고 형은 아우가 더 낫다고 하면 노한다
:
형제간의 우애가 부모의 사랑을 따를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노
#
형
#
사랑
#
아들
#
아버지
#
아우
#
부모
#
우애
#
형제간
•
며느리 시앗은 열도 귀엽고 자기 시앗은 하나도 밉다
:
흔히 아들이 첩을 얻는 것은 좋아하면서도 제 남편이 첩을 얻어 시앗을 보게 되면 못 견디어 한다는 말.
#
남편
#
며느리
#
시앗
#
아들
#
열
#
저
#
첩
•
무던한 며느리 아들 맞잡이
:
무던한 며느리는 제가 낳은 아들이나 다름없다는 말.
#
며느리
#
저
#
아들
#
무
출처: 우리말샘
아들
스토리 보기
속담을 검색해 보세요.
(와)과 관련된
모든 속담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
아들
에 관련된
한자어
54개 더 보기
›
是父是子(시부시자):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
當代發福(당대발복): 풍수지리에서, 부모를 좋은 묏자리에 장사 지낸 덕으로 그 아들 대에서 부귀를 누리게 됨.
›
抱痛西河(포통서하):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아들
에 관련된
명언
5개 더 보기
›
아버지의 성품을 닮는 아들은 참 드문데, 대부분은 더 못나고, 일부만 더 나은 사람이 된다.
-
호메로스의 명언
›
아들아, 항상 진실만을 말하거라. 그럼 지난 번에 뭐라고 말했는지 기억할 필요가 전혀 없단다.
-
샘 레이번의 명언
›
마약 중독자들과 컴퓨터 매니아들 둘 다 '사용자'라 부르는 이유는 뭔가?
-
클리포드 스톨의 명언
⇈
G
o
o
g
l
e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