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아트
시작
끝
초성
사전
속담
한자
명언
포함
사투리
+
여든
에 관한 속담 총 16 개
•
여든에 이 앓는 소리
:
무엇이라고 흥얼거리기는 하나 무슨 말인지 똑똑지 않은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소리
#
경우
#
여든
#
무엇
#
말
•
여든 살 난 큰아기가 시집가랬더니 차일이 없다 한다
:
오랫동안 벼르고 벼르던 일을 하려 할 때 장애물이 생겨서 하지 못하고 맒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
#
때
#
여든
#
차일
#
장애물
•
여든 살이라도 마음은 어린애라
:
사람은 아무리 나이를 먹어도 마음 한구석에는 언제나 어린애와 같은 심정이 숨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심정
#
한구석
#
사람
#
나이
#
살
#
있음
#
여든
#
마음
#
어린애
•
여든에 낳은 아들인가
:
자기 아이를 지나치게 귀여워함을 비꼬는 말.
#
아이
#
여든
#
아들
•
여든에 능참봉을 하니 한 달에 거둥이 스물아홉 번이라
:
운수가 나빠 일이 안되려면 일마다 낭패만 본다는 말.
#
일
#
능
#
번
#
여든
#
거둥
#
낭패
#
안
#
아홉
#
운수
#
달
•
여든에 둥둥이
:
진취성이 없어 도무지 행동이 시원스럽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행동
#
여든
#
시원
•
여든에 이가 나나
: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
#
여든
•
여든에 이 앓는 소리
:
무엇이라고 말을 하기는 하나 별로 신기할 것이 없는 의견인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소리
#
경우
#
의견
#
여든
#
무엇
#
말
•
여든에 죽어도 구들 동티에 죽었다지
:
당연한 일인데도 무언가 핑계와 원망이 붙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
#
당연
#
여든
#
구
#
동티
#
구들
#
원망
#
무언가
#
핑계
•
여든에 첫 아이 비치듯
: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고 몹시 어려움을 이르는 말.
#
어려움
#
일
#
진행
#
순조
#
여든
#
아이
•
여든에 첫 아이 비치듯
:
남이 하지 않는 큰일을 하는 듯이 거드름을 피우거나 뽐냄을 비꼬는 말.
#
큰일
#
여든
#
아이
#
남
#
거드름
•
이레 안에 경풍(驚風)에 죽으나 여든에 상한병(傷寒病)에 죽으나 죽기는 일반이라
:
이유는 다르지만 결과는 같으니 동일하게 취급해야 함을 이르는 말.
#
결과
#
이레
#
경
#
여든
#
병
#
안
#
이유
#
취급
#
일반
#
함
•
자식이 여든 살이라도 세 살 적 버릇만 생각난다
:
부모에게는 자식이 아무리 나이를 많이 먹어도 늘 어린아이처럼 여겨진다는 뜻으로, 자식에 대하여 늘 마음을 놓지 못하고 걱정하는 부모의 심정을 이르는 말.
#
심정
#
걱정
#
자식
#
어린아이
#
적
#
나이
#
여든
#
부모
#
마음
#
버릇
•
세 살 적 버릇[마음]이 여든까지 간다
:
어릴 때 몸에 밴 버릇은 늙어 죽을 때까지 고치기 힘들다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나쁜 버릇이 들지 않도록 잘 가르쳐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적
#
때
#
여든
#
몸
#
함
#
마음
#
버릇
•
여든에 능참봉을 하니 한 달에 거둥이 스물아홉 번이라
:
오래 바라고 고대하던 일이 이루어졌으나 허울만 좋을 뿐 수고롭기만 하고 실속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바
#
일
#
허울
#
능
#
고대
#
번
#
뿐
#
여든
#
거둥
#
실속
#
아홉
#
달
#
수고
•
이레 안에 경풍(驚風)에 죽으나 여든에 상한병(傷寒病)에 죽으나 죽기는 일반이라
:
어떻게 죽든지 죽는다는 사실과 죽은 결과는 같다는 말.
#
이레
#
경
#
여든
#
병
#
사실
#
안
#
결과
#
일반
출처: 우리말샘
여든
스토리 보기
속담을 검색해 보세요.
(와)과 관련된
모든 속담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
여든
에 관련된
한자어
6개 더 보기
›
三歲之習至于八十(삼세지습지우팔십):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감.
›
達八十(달팔십): 부귀와 관록이 따르는 영달의 삶을 이르는 말. 강태공이 여든 살에 주(周)나라 무왕을 만나 정승이 된 후 80년을 호화롭게 살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八旬(팔순): 여든 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