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
끝
초성
사전
속담
한자
명언
포함
사투리
+
유리
에 관한 속담 총 23 개
•
말로 온 공을 갚는다
:
말을 잘하는 사람은 처세에 유리하다는 말.
#
말
#
사람
#
유리
#
공
#
처세
•
말만 잘하면 천 냥 빚도 가린다
:
말을 잘하는 사람은 처세에 유리하다는 말.
#
사람
#
유리
#
천
#
빚
#
말
#
처세
#
냥
•
팔이 들이굽지[안으로 굽지] 내굽나[밖으로 굽나]
:
자기 혹은 자기와 가까운 사람에게 정이 더 쏠리거나 유리하게 일을 처리함은 인지상정이라는 말.
#
일
#
정
#
밖
#
사람
#
유리
#
인지상정
#
안
#
처리
#
팔
•
솥 속의 콩도 쪄야 익지
:
솥 속에 넣은 콩도 불을 때서 찌거나 끓여야 익는 법이라는 뜻으로, 아무리 유리한 조건에 있다 할지라도 힘써 노력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
속
#
때
#
유리
#
아무것
#
솥
#
법
#
불
#
조건
#
콩
#
노력
•
칼날 쥔 놈이 자루 쥔 놈을 당할까
:
처음부터 월등하게 유리한 입장에 있는 사람을 상대로 해서는 도저히 이길 수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루
#
놈
#
칼날
#
처음
#
사람
#
유리
#
입장
#
상대
•
널도깨비 복은 못 줘도 화는 준다
:
관에 붙은 도깨비가 사람에게 복을 주지는 못하지만 화는 줄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 못된 것은 남에게 유리한 조건은 지어 주지 못하지만 불리하게는 만들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도깨비
#
화
#
관
#
사람
#
복
#
유리
#
있음
#
남
#
조건
#
불리
•
늙은 우세 하고 사람 치고, 병 우세 하고 개 잡아먹는다
:
늙음을 구실로 하여 사람을 치고 병든 것을 구실로 하여 개를 잡아먹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자기에게 유리한 핑계로 삼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구실
#
일
#
사람
#
유리
#
병
#
우세
#
개
#
핑계
•
제 딸이 고와야 사위를 고른다
:
자기의 처지나 조건이 유리해야 높은 수준의 요구를 내세우고 자기 의사대로 그 요구를 관철해 나갈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관철
#
의사
#
사위
#
유리
#
딸
#
있음
#
수준
#
요구
#
자기
#
저
#
조건
#
처지
•
유리와 처녀는 깨어지기[깨기] 쉽다
:
잘못하면 깨지기 쉬운 유리처럼, 처녀는 몸가짐에 조심하여야 한다는 말.
#
처녀
#
조심
#
몸가짐
#
유리
#
잘못
•
박쥐구실 새 편에 붙고 쥐 편에 붙다
:
낮에는 쥐가 되고 밤에는 새가 된다는 박쥐처럼 환경에 따라 구실을 바꾼다는 뜻으로, 자기에게 유리하다면 이쪽에도 붙고 저쪽에도 붙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이쪽
#
편
#
새
#
환경
#
유리
#
밤
#
저쪽
#
쥐
#
박쥐
#
행동
#
구실
#
낮
•
걸어가다가도 말만 보면 타고 가자고 한다
:
자기 힘만으로 할 수 있는 일도 어떤 유리한 조건이 만들어지면 그것에 의지하고 자신의 힘을 쓰지 아니하려 함을 이르는 말.
#
의지
#
일
#
유리
#
힘
#
조건
#
그것
#
말
#
함
#
자신
•
잘 걷던 놈도 말만 보면 타고 가련다
:
자기 힘만으로 할 수 있는 일도 어떤 유리한 조건이 만들어지면 그것에 의지하고 자신의 힘을 쓰지 아니하려 함을 이르는 말.
#
의지
#
일
#
놈
#
유리
#
힘
#
조건
#
그것
#
말
#
함
#
자신
•
풍년에 못 지낸 제사 흉년에 지내랴
:
유리한 조건에서 하지 아니하던 일을 불리한 조건에서 굳이 할 필요가 없다는 말.
#
일
#
풍년
#
유리
#
필요
#
조건
#
불리
#
제사
#
흉년
•
부자 몸 조심
:
유리한 처지에서는 모험을 피하고 되도록 안전을 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조심
#
유리
#
부
#
모험
#
안전
#
처지
#
몸
#
부자
•
손이 들이굽지 내굽나
:
자기 혹은 자기와 가까운 사람에게 정이 더 쏠리거나 유리하게 일을 처리함은 인지상정이라는 말.
#
일
#
정
#
사람
#
손
#
유리
#
인지상정
#
처리
•
올챙이 물로도 못 다니게 되였다
:
유리한 생활 조건이 없어져서 형편이 아주 딱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형편
#
유리
#
생활
#
물
#
조건
#
올챙이
•
길로 가라니까 뫼로 간다
:
편하고 유리한 방법을 가르쳐 주었는데도 굳이 자기 고집대로만 함을 이르는 말.
#
길
#
뫼
#
유리
#
방법
#
고집
#
함
•
날 잡은 놈이 자루 잡은 놈을 당하랴[당할까]
:
처음부터 월등하게 유리한 입장에 있는 사람을 상대로 해서는 도저히 이길 수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루
#
놈
#
처음
#
사람
#
유리
#
날
#
입장
#
상대
•
키 큰 놈의 집에서 내려 먹을 것 없다
:
높은 곳에 놓인 물건을 잘 내릴 수 있는 키 큰 사람의 집에 내려서 먹을 만한 것이 없다는 뜻으로, 남과 다른 유리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써먹을 형편이 되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형편
#
놈
#
집
#
사람
#
유리
#
남
#
특징
#
키
#
그것
#
불구
#
물건
•
겨울에 짓는 집은 더운 집 짓고 여름에 짓는 집은 서늘한 집 짓는다
:
겨울에 집을 지을 때는 집이 춥지 않도록 하는 데 마음을 쓰고 여름에 집을 지을 때는 집이 시원하도록 하는 데 관심을 기울인다는 뜻으로, 주위 환경에 따라 거기에 맞게 유리한 조건을 마련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관심
#
시원
#
환경
#
주위
#
집
#
때
#
유리
#
겨울
#
여름
#
조건
#
마련
#
마음
•
하늬바람에 엿장수 골내듯
:
하늬바람이 부는 겨울은 엿이 녹지 아니하므로 값이 더 나가는데도 엿장수가 공연히 성을 낸다는 뜻으로, 자기에게 유리한 조건이 이루어지는데도 도리어 못마땅하게 여기고 성을 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성
#
엿장수
#
골
#
유리
#
겨울
#
하늬바람
#
엿
#
장수
#
바람
#
못마땅
#
조건
#
값
•
정승 집 개도 삼 년이면 륙갑을 한다
:
정승네 집의 개까지도 삼 년의 세월이면 육십갑자를 다 꼽게 된다는 뜻으로, 유리한 환경에서 이것저것 많이 얻어들어 일정한 지식을 쌓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개
#
환경
#
집
#
일정
#
유리
#
이것저것
#
지식
#
년
#
정승
#
삼
#
세월
•
어느 떡이 더 싼지 모르겠다
:
어떤 일이 여러 가닥으로 벌어져서 어느 쪽에 가담해야 유리할지 몰라 망설이는 경우를 이르는 말.
#
경우
#
일
#
가닥
#
쪽
#
유리
#
떡
#
가담
출처: 우리말샘
유리
스토리 보기
속담을 검색해 보세요.
(와)과 관련된
모든 속담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
유리
에 관련된
한자어
5개 더 보기
›
流離乞食(류리걸식): (1)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며 빌어먹음. (2)‘유리걸식’의 북한어.
›
天時不如地利(천시불여지리): 하늘의 때는 자리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 전쟁(戰爭)을 함에 있어 설사(泄瀉) 때가 아군(我軍)에 유리(有利)하다 할지라도 적이 이편보다 유리(有利)한 지형(地形)을 차지하고 있으면 승리(勝利)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牽强附會(견강부회): 억지로 끌어다 붙여 모은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나 상황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끌어댄다는 의미.
+
유리
에 관련된
명언
3개 더 보기
›
유리, 도자기, 그리고 평판은 쉽게 깨지지만, 결코 잘 고쳐지지 않는다.
-
벤자민 프랭클린의 명언
›
비즈니스계에서는 백미러가 앞 유리보다 항상 더 선명하다.
-
워런 버핏의 명언
›
유리, 도자기, 그리고 평판은 쉽게 깨지지만, 결코 잘 고쳐지지 않는다.
-
벤자민 프랭클린의 명언
⇈
G
o
o
g
l
e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