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
끝
초성
사전
속담
한자
명언
포함
사투리
+
자루
에 관한 속담 총 48 개
•
식칼이 제 자루를 못 깎는다
:
자신이 관계된 일은 자신이 하기가 더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려움
#
자루
#
일
#
식칼
#
관계
#
저
#
자신
•
칼날이 날카로워도 제 자루 못 깎는다
:
자신이 관계된 일은 자신이 하기가 더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려움
#
자루
#
일
#
칼날
#
관계
#
저
#
자신
•
식칼이 제 자루를 못 깎는다
:
자신의 허물은 자기가 고치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려움
#
자루
#
허물
#
식칼
#
저
#
자신
•
칼날이 날카로워도 제 자루 못 깎는다
:
자신의 허물은 자기가 고치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려움
#
자루
#
허물
#
칼날
#
저
#
자신
•
도끼가 제 자루 깎지 못한다
:
자기의 허물을 자기가 알아서 고치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려움
#
자루
#
허물
#
도끼
#
자기
#
저
•
도끼가 제 자루 못 찍는다
:
자기의 허물을 자기가 알아서 고치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려움
#
자루
#
허물
#
도끼
#
자기
#
저
•
예조의 서어
:
둥근 구멍과 네모진 자루는 어긋난다는 뜻으로, 서로 용납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용납
#
예
#
자루
#
구멍
•
칼날 쥔 놈이 자루 쥔 놈을 당할까
:
처음부터 월등하게 유리한 입장에 있는 사람을 상대로 해서는 도저히 이길 수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루
#
놈
#
칼날
#
처음
#
사람
#
유리
#
입장
#
상대
•
내를 건너서 지팡이 추수하고 나서 자루
:
요긴하게 쓰일 때가 지난 물건을 이르는 말.
#
자루
#
때
#
지팡이
#
추수
#
물건
#
요긴
•
동냥자루도 제멋에 찬다
:
세상 사람들이 다 좋다고 하는 일은 아니하고 나쁘다고 하는 일만 하는 사람을 보고 하는 말.
#
동냥
#
자루
#
일
#
세상
#
사람
#
동냥
자루
#
제멋
•
동냥은 아니 주고 자루 찢는다
:
요구하는 것은 안 주고 도리어 방해만 한다는 말.
#
동냥
#
자루
#
요구
#
방해
•
동냥자루도 마주 벌려야 들어간다
:
무슨 일이나 조건이 되어 있지 아니하면 일정한 결과를 바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냥
#
일
#
자루
#
일정
#
조건
#
결과
#
동냥
자루
•
동냥자루도 마주 벌려야 들어간다
:
간단한 일이라도 서로 협조하여야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냥
#
자루
#
일
#
간단
#
협조
#
동냥
자루
•
동냥자루를 찢는다
:
하찮은 자루를 두고 다투다가 자루를 찢었다는 뜻으로, 대수롭지 아니한 일을 가지고 서로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냥
#
자루
#
일
#
다툼
#
서로
#
동냥
자루
•
자루를 찢는다
:
하찮은 자루를 두고 다투다가 자루를 찢었다는 뜻으로, 대수롭지 아니한 일을 가지고 서로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루
#
일
#
다툼
#
서로
•
동냥자루를 찼나
:
먹고도 곧 허기져서 또 먹을 궁리만 함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동냥
#
자루
#
놀림
#
함
#
동냥
자루
#
궁리
•
입이 터진 팥 자루 같다
:
기분이 너무 좋아 입을 헤벌리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입
#
자루
#
기분
#
팥
#
모양
•
자루 베는 칼 없다
:
아무리 잘 드는 칼이라도 제 자루를 베지는 못한다는 뜻으로, 자기 일을 자기가 처리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자루
#
일
#
칼
#
자기
#
저
#
처리
•
자루 속에 든 쥐
:
옴짝달싹 못하고 잡히게 된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루
#
속
#
못
#
싹
#
짝
#
쥐
#
처지
#
옴
•
자루 속에 든 쥐
:
남의 손아귀에 완전히 쥐이게 된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루
#
속
#
쥐
#
남
#
손아귀
#
처지
•
자식을 키우는 데 오만 자루의 품이 든다
:
자식을 키우는 데 부모의 공력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이 든다는 말.
#
자루
#
자식
#
부모
#
공
•
제 자루 떡메
:
공교롭게 일이 잘 맞아 들어가 쉽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루
#
일
#
떡메
#
제
#
저
#
떡
•
강아지 깎아[갉아] 먹던 송곳 자루 같다
:
둘쭉날쭉하여 보기 흉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자루
#
둘
#
강아지
#
송곳
#
날
•
한 자루에 양식 넣어도 송사한다
:
매우 친한 사이에도 송사가 일어날 수 있다는 말.
#
양식
#
사이
#
자루
#
송사
•
친정 가면 자루 아홉 가지고 온다
:
시집간 딸이 친정에서 되도록 많은 것을 가져가려 함을 이르는 말.
#
자루
#
친정
#
딸
#
아홉
#
함
•
터진 팥 자루 같다
:
기분이 좋아 입을 다물지 못하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입
#
자루
#
기분
#
팥
#
모양
•
비렁뱅이 자루 찢기
:
서로 동정하여야 할 사람들끼리 오히려 아옹다옹 다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자루
#
비렁뱅이
#
사람
#
동정
#
사람들
•
거지끼리 자루 찢는다
:
서로 동정하여야 할 사람들끼리 오히려 아옹다옹 다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거지
#
자루
#
사람
#
동정
#
사람들
•
비렁뱅이 자루 찢기
:
못사는 주제에 없는 살림마저 부수어 없애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주제
#
자루
#
살림
#
비렁뱅이
•
비자루로는 개도 안 때린다
:
빗자루로는 개조차도 안 때리는 법인데 인격을 존중하여야 할 사람을 빗자루로 때릴 수 없다는 뜻으로, 빗자루로 사람을 때리는 것을 말리는 경우에 이르는 말.
#
경우
#
인격
#
자루
#
때
#
사람
#
빗
자루
#
법
#
존중
#
개
#
리
•
밤에 보아도 낫자루 낮에 보아도 밤나무
:
낫자루는 낮이 아닌 밤에 보아도 낫자루이고, 밤나무는 밤이 아닌 낮에 보아도 밤나무란 뜻으로, 무슨 물건이고 그 본색은 어디서나 드러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루
#
밤나무
#
밤
#
본색
#
남
#
낫
#
물건
#
어디
#
낮
•
거지 자루 기울 새 없다
:
가난한 살림이라도 생활하여 나가려면 바쁘고 짬이 없다는 말.
#
살림
#
거지
#
자루
#
새
#
짬
#
생활
#
가난
•
거지 자루 크면 자루대로 다 줄까
:
그릇이 크니 많이 달라고 할 때 그대로 다 줄 수는 없다는 뜻으로 하는 말.
#
거지
#
자루
#
때
#
그릇
•
거지 자루 크면 자루대로 다 줄까
:
지나치게 큰 그릇을 가지고 옴을 비웃는 말.
#
거지
#
자루
#
그릇
•
풀자루가 주저앉듯
:
아무런 맥을 추지 못하고 소르르 주저앉거나 고꾸라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모양
#
자루
#
맥
#
풀
•
소경 북자루 쥐듯
:
제대로 하지도 못하면서 어떤 일이나 물건 따위를 무턱대고 꼭 쥐고 놓지 아니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북
자루
#
일
#
자루
#
물건
#
북
#
모양
#
소경
#
따위
•
장님 떡자루부터 잡고 있듯
:
어리숙한 사람이 잇속에는 밝아 자기에게 이익이 되는 것을 놓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자루
#
잇속
#
장님
#
사람
#
이익
#
떡
•
장에 쌀자루 나지 글 자루 나나
:
장사와 공부는 서로 관계가 없으므로 공부를 하려면 장 같은 곳은 드나들지 말아야 한다는 말.
#
자루
#
공부
#
쌀
자루
#
관계
#
서로
#
장사
#
글
#
장
•
장마당에 쌀자루는 있어도 글 자루는 없다
:
당장 먹고살 수 있는 벌이를 하는 것이 공부를 하는 것보다 낫다는 말.
#
자루
#
장마당
#
공부
#
벌이
#
쌀
자루
#
마당
#
글
#
장
#
당장
•
장에 쌀자루 나지 글 자루 나나
:
당장 먹고살 수 있는 벌이를 하는 것이 공부를 하는 것보다 낫다는 말.
#
자루
#
공부
#
벌이
#
쌀
자루
#
글
#
장
#
당장
•
날 잡은 놈이 자루 잡은 놈을 당하랴[당할까]
:
처음부터 월등하게 유리한 입장에 있는 사람을 상대로 해서는 도저히 이길 수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루
#
놈
#
처음
#
사람
#
유리
#
날
#
입장
#
상대
•
동냥자루도 제멋에 찬다
:
모든 사람이 천시하는 동냥질도 제가 하고 싶어서 한다는 말.
#
동냥
#
자루
#
사람
#
동냥
자루
#
저
#
천시
#
제멋
•
딸의 굿에를 가도 자루 아홉을 가지고 간다
:
아무리 남을 위하여 하는 일이라도 자기의 이익을 바라게 된다는 말.
#
자루
#
일
#
딸
#
굿
#
이익
#
남
#
아홉
•
자루 속의 송곳
:
송곳은 자루에 있어도 밖으로 삐져나와 송곳의 위치를 알 수 있다는 뜻으로, 아무리 숨기려 하여도 숨길 수 없고 그 정체가 드러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위치
#
경우
#
자루
#
속
#
밖
#
정체
#
송곳
•
망치 자루가 가벼우면 쐐기가 돋는다
:
‘마치가 가벼우면 못이 솟는다’의 북한 속담.
#
자루
#
못
#
망치
#
마치
#
쐐기
•
명주 자루에 개똥
:
겉치장은 그럴듯하나 실은 보잘것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
자루
#
사람
#
개똥
#
명주
#
겉치장
•
장님 북자루 쥐듯
:
장님이 한번 놓치면 쉽게 찾을 수 없기에 북자루를 힘껏 쥔다는 뜻으로, 꼭 쥐고 놓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북
자루
#
자루
#
장님
#
번
#
북
•
장마당에 쌀자루는 있어도 글 자루는 없다
:
장사와 공부는 서로 관계가 없으므로 공부를 하려면 장 같은 곳은 드나들지 말아야 한다는 말.
#
자루
#
장마당
#
공부
#
쌀
자루
#
관계
#
마당
#
장사
#
글
#
서로
#
장
출처: 우리말샘
자루
스토리 보기
속담을 검색해 보세요.
(와)과 관련된
모든 속담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
자루
에 관련된
한자어
13개 더 보기
›
三刀之夢(삼도지몽): 칼 세 자루의 꿈이라는 뜻으로, 영전(榮轉)함을 이르는 말.
›
酒囊飯袋(주낭반대): 술을 담는 부대와 밥을 담는 주머니라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은 아니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倒持太阿(도지태아): 칼을 거꾸로 잡고 자루를 남에게 준다는 뜻으로, 남에게 이롭게 해 주고 오히려 자기(自己)가 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
⇈
G
o
o
g
l
e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