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을 벌 때는 천한 일이라도 하면서 벌고 쓸 때는 떳떳하고 보람 있게 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떳떳
#일
#때
#돈
#정승
#개
#보람
•
:
대감이 죽은 후에는 그에게 잘 보일 필요가 없으나 대감이 살고 말이 죽으면 대감의 환심을 사기 위하여 조문을 간다는 뜻으로, 권력이 있을 때는 아첨을 하지만 권력이 없어지면 돌아다보지 않는 세상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
#당나귀
#상
#인심
#세상
#때
#대감
#정승
#세상인심
#환심
#필요
#문
#권력
#안
#아첨
#조문
#말
#후
#개
•
:
죽는 일이 매우 어렵다는 말.
#정승
#일
•
:
‘죽은 정승이 산 개만 못하다’의 북한 속담.
#산
#반
#량반
#정승
#개
•
:
살아서 아무리 권세를 부려도 죽으면 산 개의 신세만도 못하게 된다는 말.
#개
#권세
#신세
#종
#정승
#산
•
:
아무리 천하더라도 살아 있는 것이 죽은 것보다는 낫다는 뜻으로, 세상을 비관하지 말고 살아가라는 말.
#세상
#비관
#천하
#정승
#개
•
:
아무리 천하더라도 살아 있는 것이 죽은 것보다는 낫다는 뜻으로, 세상을 비관하지 말고 살아가라는 말.
#세상
#새끼
#비관
#산
#천하
#정승
#개
•
:
훌륭한 사람이라도 발전이 멈추면 현재는 별 볼 일 없더라도 계속 발전하는 사람을 당하기 어렵다는 말.
#일
#훌륭
#사람
#정승
#계속
#별
#개
#발전
•
:
사람을 지나치게 무시하고 깔본다는 말.
#사람
#무시
#정승
#치도
•
:
청빈한 황희 정승의 아내와 두 딸이 치마가 없어 치마 하나를 번갈아 입고 손님 앞에 인사하였다는 데서, 옷 하나를 여럿이 서로 번갈아 입음을 이르는 말.
#치마
#옷
#인사
#앞
#정승
#딸
#청빈
#손님
#여럿
#어이
#아내
•
:
아무리 존귀했던 몸이라도 한번 죽으면 거들떠보지 않는 것이 세상인심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임
#세상
#새끼
#인심
#번
#세상인심
#산
#존귀
#정승
#몸
#개
•
:
삼대에 걸쳐서 계속 거지 노릇만 하는 집안도 없고 계속 부자인 집안도 없다는 뜻으로, 많은 재산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없으며 가난한 형편 또한 오래가지 않는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재산
#집안
#오랫동안
#노릇
#삼대
#부자
#정승
#가난
•
:
가난하여 곧 굶어 죽을 것 같으나 잘 견디어 낸다는 뜻으로, 가난 속에서도 갖은 고생을 하며 그럭저럭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생
#속
#정승
#가난
•
:
운수가 나쁘면 하는 일마다 잘 안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뼈
#일
#복
#계란
#안
#운수
#정승
•
:
첫아들 낳기가 어렵다는 말.
#정승
•
:
음식 가운데에 특히 술은 배에 차지 아니하게 알맞게 먹기가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려움
#가운데
#차지
#배
#술
#음식
#정승
•
:
훌륭한 사람이 나면 따라서 훌륭하지 못한 사람도 난다는 말.
#훌륭
#강아지
#때
#사람
#날
#정승
•
: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제 마음에 내키지 아니하면 좋을 게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정승
#저
#마음
•
:
장차 훌륭한 인재가 될 아이는 어려서부터 남다른 데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뿔
#훌륭
#고뿔
#있음
#아이
#인재
#정승
•
:
호장이 죽은 후에는 그에게 잘 보일 필요가 없으나 호장이 살고 호장댁이 죽으면 호장의 환심을 사기 위하여 조문을 간다는 뜻으로, 권력이 있을 때는 아첨을 하지만 권력이 없어지면 돌아다보지 않는 세상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
#당나귀
#상
#인심
#세상
#때
#호장
#정승
#세상인심
#환심
#필요
#문
#권력
#안
#아첨
#조문
#말
#후
#개
•
:
권세나 권세 있는 사람들의 도움에 헛된 욕심을 두지 말고 제 몸의 건강이나 바른 행실을 위해 힘쓰라는 말.
#입
#권세
#행실
#건강
#사람
#정승
#판
#저
#욕심
#도움
#몸
•
:
별로 대단치 아니한 사람이 거만하여 사람을 만만히 보거나 자기보다 나은 사람을 업신여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사람
#거만
#백정
#저
#남
#대단치
#정승
•
:
정승이 죽은 후에는 그에게 잘 보일 필요가 없으나 정승이 살고 말이 죽으면 정승의 환심을 사기 위하여 조문을 간다는 뜻으로, 권력이 있을 때는 아첨을 하지만 권력이 없어지면 돌아다보지 않는 세상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
#당나귀
#상
#인심
#세상
#때
#정승
#세상인심
#환심
#필요
#문
#권력
#안
#아첨
#조문
#말
#후
#개
•
:
정승이 죽은 후에는 그에게 잘 보일 필요가 없으나 정승이 살고 말이 죽으면 정승의 환심을 사기 위하여 조문을 간다는 뜻으로, 권력이 있을 때는 아첨을 하지만 권력이 없어지면 돌아다보지 않는 세상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
#세상
#인심
#때
#대감
#정승
#세상인심
#환심
#필요
#권력
#안
#아첨
#조문
#말
#후
•
:
정승이 죽은 후에는 그에게 잘 보일 필요가 없으나 정승이 살고 말이 죽으면 정승의 환심을 사기 위하여 조문을 간다는 뜻으로, 권력이 있을 때는 아첨을 하지만 권력이 없어지면 돌아다보지 않는 세상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
#말
#세상
#인심
#때
#대감
#세상인심
#환심
#필요
#권력
#밥
#아첨
#조문
#정승
#후
•
:
정승이 죽은 후에는 그에게 잘 보일 필요가 없으나 정승이 살고 말이 죽으면 정승의 환심을 사기 위하여 조문을 간다는 뜻으로, 권력이 있을 때는 아첨을 하지만 권력이 없어지면 돌아다보지 않는 세상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
#인심
#세상
#때
#호장
#정승
#세상인심
#환심
#필요
#권력
#아첨
#조문
#말
#후
#가지
•
:
정승네 집의 개까지도 삼 년의 세월이면 육십갑자를 다 꼽게 된다는 뜻으로, 유리한 환경에서 이것저것 많이 얻어들어 일정한 지식을 쌓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개
#환경
#집
#일정
#유리
#이것저것
#지식
#년
#정승
#삼
#세월
출처: 우리말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