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속담 총 86 개
- 신주치레하다가 제 못 지낸다 : 모양만 부리다가 정작 하여야 할 일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얻어 온 장 한 술 더 뜬다 : 제게 없어서 겨우 얻어다 놓은 것을 눈치 없이 축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적고양이 제상[제청]에 오른다 : 도적고양이가 밉살스럽게 제물을 탐내서 제상 위에 뛰어오른다는 뜻으로, 못된 자가 버릇없는 짓을 함부로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오달지기는 사돈네 가을 닭이다 : 사돈네 가을 닭이 아무리 살지고 좋아도 제게는 소용이 없으니 보기만 좋지 도무지 실속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오리 새끼는 길러 놓으면 물로 가고 꿩 새끼는 산으로 간다 : 자식은 다 크면 제 갈 길을 택하여 부모 곁을 떠난다는 말.
- 온면 먹을 제부터 그르다 : 국수를 먹는 혼인날부터 벌써 글렀다는 뜻으로, 일이 시작될 때부터 잘못됨을 이르는 말.
- 깻묵에도 씨가 있다 : 아무리 하찮아 보이는 물건에도 제 속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개를 때린다는 게 내 개가 맞아 죽었다 : ‘남 잡이가 제 잡이’의 북한 속담.
- 남 잡이가 제 잡이 : 남을 해하려다가 오히려 자기가 당하게 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내 노랑 병아리만 내라 한다 : 수없이 많은 노랑 병아리 속에서 제 노랑 병아리를 찾아내라고 한다는 뜻으로, 무리하게 억지로 무엇을 해 달라고 청함을 이르는 말.
- 제 밑 들어 남 보이기 : 자기가 한 짓이 자기를 모욕하는 결과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누워서 떡을 먹으면 팥고물이 눈에 들어간다 : 자기 몸 편할 도리만 차려서 일을 하면 도리어 제게 해로움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들어오는 복도 차 던진다 : 자기의 잘못으로 제게 차례가 오는 복을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일군이 나갈 제는 주인집 흉을 내고 며느리 나갈 제는 시집의 흉을 낸다 : 쫓겨나는 사람이 쫓는 사람에 대하여 좋은 감정을 가질 수 없다는 말.
- 제갈공명 칠성단에 동남풍 기다리듯 : 무엇을 잔뜩 기다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게서 나온 말이 다시 제게 돌아간다 : 소문이 빨리 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게서 나온 말이 다시 제게 돌아간다 : 말이란 한번 하고 나면 금방 자신에게로 돌아올 만큼 빨리 퍼지는 것이므로 그만큼 조심해야 함을 이르는 말.
- 제 꾀에 (제가) 넘어간다 : 꾀를 내어 남을 속이려다 도리어 자기가 그 꾀에 속아 넘어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녀편네가 해 주는 범벅이 제 에미가 해 주는 이밥보다 맛있다 : 자기 아내가 해 주는 음식은 맛이 없더라도 맛있게 먹는다는 뜻으로, 부부 사이의 정이 각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등이 가려워야 긁는다 : 자기 앞에 어려운 일이 닥쳐야 비로소 그것을 처리하려고 행동한다는 말.
- 제 먹기는 싫고 개 주기는 아깝다 : ‘저 먹자니 싫고 남[개] 주자니 아깝다’의 북한 속담.
- 제 먹기 싫은 떡 남 주기는 아깝다 : ‘저 먹자니 싫고 남[개] 주자니 아깝다’의 북한 속담.
- 제 밑 핥는 개 : 자기가 한 짓이 더럽고 추잡한 줄 모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비는 작아도 강남(을) 간다 : 모양은 비록 작아도 제 할 일은 다 한다는 말.
- 제비는 작아도 알만 낳는다 : 모양은 비록 작아도 제 할 일은 다 한다는 말.
- 제 살 궁리는 다 한다 : 어려운 경우를 당하여도 누구나 자기가 살아갈 궁리는 다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 제 속은 줄 모르고 남 속이려 든다 : 자기가 남에게 속은 줄도 모르고 제 딴에는 남을 속인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 제 속 짚어 남의 말 한다 : 자기 짐작으로 남의 사정을 이렇다 저렇다 평가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속 짚어 남의 말 한다 : 자기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남이 말하듯이 하면서 털어놓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앞에 큰 감 놓는다
: 여럿이 하는 일에서 자기 욕심만 채우려고 하는 이기적인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자루 떡메
: 공교롭게 일이 잘 맞아 들어가 쉽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집부터 꾸리고야 나라일도 본다
: 제 집안부터 잘 꾸려야 마음 놓고 제게 맡겨진 일을 훌륭히 수행할 수 있다는 말.
-
죽은 시어미도 (보리)방아 찧을 때는 생각난다
: 미운 사람도 제게 아쉬운 일이 생겼을 때는 생각난다는 말.
-
죽은 이만 불쌍하지 산 사람은 제살이한다
: 죽은 사람은 더 이상 한세상을 누릴 수 없으므로 불쌍하지만, 산 사람은 결국 제 살 궁리를 다하기 마련이며 아무리 고생스럽다고 하여도 죽은 사람에게 비할 바가 아니라는 말.
-
혼사말 하는데 장사말[상사말] 한다
: 제와 아무 관련이 없는 엉뚱한 이야기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황소 제 이불 뜯어 먹기
: 어떤 일을 한 결과가 결국 제 손해가 되었다는 말.
-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 정당한 근거와 원인을 밝히지 아니하고 제게 이로운 대로 이유를 붙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미장이에 호미는 있으나 마나
: 남에게는 요긴한 물건일지라도 제게는 아무 소용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갖바치에 풀무는 있으나 마나
: 남에게는 요긴한 물건일지라도 제게는 아무 소용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바퀴 모르는 음식이 없다
: 바퀴라는 벌레는 용케도 음식 있는 곳을 찾아서 모여든다는 뜻으로, 제게 조금이라도 잇속이 있는 일이면 만사 제쳐 놓고 찾아다님을 비꼬아 이르는 말.
-
받은 밥상을 찬다
: 제게 돌아온 복을 제가 내차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밤새도록 가도 문 못 들기
: 밤새도록 갔으나 끝내 성문 안에는 들어가지 못했다는 뜻으로, 몹시 애를 썼으나 제 기한에 미치지 못하여 애쓴 보람이 없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곰의 발바닥도 꾀가 있다
: 아무리 미련하고 우둔한 사람이라도 제 살 궁리는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에 내 아비 제도 못 지내거든 봄에 의붓아비 제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제사를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봄에 의붓아비 제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제사를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망둥이 제 동무 잡아먹는다
: 동류(同類)나 친척 간에 서로 싸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거지 제 쪽박 깨기
: 도리어 자기 손해만 자초하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게도 제 구멍이 아니면 들어가지 않는다
: 남의 영역을 함부로 침범하지 않는다는 말.
-
아이 밴 나를 어찌할까
: 제게 믿는 구석이 있어 상대편이 감히 어떻게 하지 못할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백정네 송아지 제 죽을 날 모른다
: 짐승을 잡는 백정네 집에서 키우는 송아지는 제가 언제 죽게 될지 그 날짜를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해를 가할 당사자가 가까이 있어도 자기에게 언제 위험이 닥쳐올지 짐작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백정네 송아지 제 죽을 날 모른다
: 남보다 잘 알 수 있는 환경에 있으면서도 미리 알아내지 못하고 끝내 화를 입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벗 줄 것은 없어도 도둑 줄 것은 있다
: 제게 가까운 사람들에게는 매우 인색하나 억지로 빼앗아 가는 데는 못 이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벙어리가 서방질을 해도 제 속이 있다
: 말은 하지 않더라도 제 딴에는 정당한 이유도 있고 뜻도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처녀가 한증을 해도 제 마련은 있다
: 말은 하지 않더라도 제 딴에는 정당한 이유도 있고 뜻도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봉사 제 점 못한다
: 남의 점을 쳐 주는 봉사가 자기의 앞일에 대해서는 점을 못 친다는 뜻으로, 남을 위해서는 할 수 있는 일도 자기가 직접 당하였을 때는 스스로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세상에 뜸부기가 한 마리뿐인가
: 어떤 물건을 제 혼자만 가지고 있는 듯이 뽐내는 것을 비꼬는 말.
-
소경 제 닭 잡아먹기
: 소경이 횡재라고 좋아한 것이 알고 보니 제 것이었다는 뜻으로, 이익을 보는 줄 알고 한 일이 결국은 자기 자신에게 손해가 되거나 아무런 이익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오목장이 암만 분주해도 제 볼 장만 본다
: 크게 선 장이 아무리 분주하고 복잡하여도 장에 온 사람들은 다 제가 목적하고 온 볼일을 보며 돌아간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수선하고 복잡한 환경 속에서라도 저마다 제 할 일은 틀림없이 찾아서 하는 침착한 행동을 이르는 말.
-
까마귀 제 소리 하면 온다
: 다른 사람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데 공교롭게 그 사람이 나타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남의 떡으로 조상 제 지낸다
: 남의 덕택으로 거저 이익을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아이 떡 주라는 소리는 내 아이 떡 주라는 소리(이다)
: 제 아이와 남의 아이가 같이 있는데 남의 아이 떡 주라고 권하는 것은 결국 제 아이에게 떡 주라고 하는 말이나 다름없다는 뜻으로, 남을 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기의 이익을 채우려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네 아들 형제가 내 아들 하나만 못하다
: 남의 아들이 아무리 많아도 자기에게는 소용이 없다는 뜻으로, 필요한 물건이나 조건이 제게 꼭 갖추어져야 제 일이 수월하게 풀려나갈 수 있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냥은 혼자 간다
: 남에게 무엇을 받으려 할 때 여럿이 같이 가면 아무래도 제게 돌아오는 분량은 적어진다는 말.
-
눈먼 고양이[구렁이] 달걀 어르듯
: 제게 소중한 것인 줄 알고 애지중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다 아는 상한다
: 제가 다 아는 듯이 거만하게 우쭐대는 모양을 비꼬는 말.
-
제를 제라니 샌님 보고 벗하잔다
: 자기를 대접해서 공대를 해 주니 되지 못하게 윗사람보고 벗하며 사귀자고 한다는 뜻으로, 교양이 부족한 사람이 남들의 대접에 대하여 예의 바르게 대할 줄 모르고 공연히 우쭐대면서 건방지게 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못 쓰는 것 남 주기 싫어한다
: 자기는 못 쓸 것이라도 남 주기는 싫어한다는 뜻으로, 구두쇠같이 옹졸하고 몹시 인색한 사람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밑 구린 줄은 모르고 남의 탓은 되우 한다
: 자기에게 있는 결점은 모르고 공연히 남만 탓하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거미는 작아도 줄만 잘 친다
: 모양은 비록 작아도 제 할 일은 다 한다는 말.
-
제 속 흐린 게 남보고 집 봐 달라고 말 못 한다
: 양심이 흐린 사람은 남도 자기와 같은 줄 알고 믿지 못한다는 말.
-
제 아재비 제 따라간다
: 자기 아저씨를 따라가는 것이 조금도 이상할 것이 없다는 뜻으로, 누구의 뒤를 따라나서는 것이 조금도 어색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좋을 땐 외삼촌 하고 나쁠 땐 돌아선다
: 제게 이로울 때는 아주 다정스러운 체하다가도 제게 불리할 때에는 싹 돌아서서 모르는 체한다는 뜻으로, 인간의 도리를 떠나 이해관계에 따라 태도를 달리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원의 부인이 죽으면 조객이 많아도 원이 죽으면 조객이 없다
: 원의 부인이 죽으면 원의 호감을 사기 위하여 조문을 하나 혜택을 주는 원이 죽으면 더 이상 조문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상인심이 제게 이로운 쪽으로 움직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눈먼 구렁이 꿩의 알 굴리듯
: 제게 소중한 것인 줄 알고 애지중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죽은 뒤 초혼의 제 지낸다
: 죽은 뒤에 아무리 영혼을 불러 제를 지낸다 하여도 소용이 없다는 뜻으로, 일이 일단 틀어진 다음에는 별의별 짓을 다한다 할지라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코 아래 제상(祭床)도 먹는 것이 제일
: 제 앞에 아무리 좋은 것이 많이 있다고 해도 실제로 제가 갖게 되어야 가치가 있다는 말.
-
사당 당직은 타도 빈대 당직 타서 시원하다
: 사당의 당직은 불타 버렸지만 그와 함께 빈대까지 탔으니 시원하다는 뜻으로, 제게 손해가 되더라도 시끄럽고 귀찮던 것이 없어져 시원함을 이르는 말.
-
무식한 도깨비가 부작을 모른다
: 무식한 사람이 제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몰라서 크게 실수를 하게 된다는 말.
-
가을에 내 아비 제도 못 지내거든 봄에 의붓아비 제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봄에 의붓아비 제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설 제 궂긴 아이가 날 제도 궂긴다
: 배 속에 처음 생길 때부터 힘든 아이는 태어날 때도 고생한다는 뜻으로, 처음 시작이 순조롭지 못하면 내내 순조롭지 못함을 이르는 말.
-
소경 눈치 보아 뭘 하나 점 잘 치면 됐지
: 점쟁이 소경이야 점이나 잘 치면 됐지 보지도 못하는 눈으로 눈치는 봐서 뭘 하겠느냐는 뜻으로, 사람은 제 할 일을 잘해서 실속을 차려야지 남의 눈치나 보아 가며 형세에 따라 살아서는 안 된다는 말.
-
처녀가 한증을 해도 제 마련은 있다
: 전혀 당치 아니한 행동을 하면서 이러저러한 구실을 대는 경우를 비꼬는 말.
-
장님 제 닭 잡아먹듯
: 횡재라 생각하며 잡아먹은 닭이 알고 보니 결국 자기 닭이라는 뜻으로, 남을 해치려다가 도리어 자신이 해를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못난 놈은 제 기른 짐승도 못 잡아먹고 죽는다
: 자기 앞에 차례가 온 몫이나 행운도 차지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단풍도 떨어질 때에 떨어진다
: 무엇이나 제 때가 있다는 말.
▹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초성이 같은 단어들
•
ㅈ
(총 104개)
:
자, 작, 잔, 잘, 잙, 잠, 잡, 잣, 장, 잩, 잫, 재, 잭, 잰, 잴, 잼, 잽, 쟁, 쟈, 쟉, 쟐, 쟛, 쟤, 저, 적, 전, 젇, 절, 젉, 점, 접, 젓, 정, 젖, 젙, 제, 젠, 젤, 젬, 젯, 젱, 져, 젹, 젼, 졈, 졍, 졎, 조, 족, 존, 졸, 좀, 좁, 좃, 종, 좆, 좋, 좌, 좍, 좔, 좕, 좨, 좩, 좬, 죄, 죈, 죠, 주, 죽, 준, 줄, 줅, 줌, 중, 줴, 줸, 쥐, 쥔, 쥠, 쥥, 쥬, 쥭, 즈, 즉, 즌, 즐, 즑, 즘, 즙, 즛, 증, 지, 직, 진, 짇, 질, 짉, 짐, 집, 짓
...